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Firstborn's Gender and Temperament on the Fertility Intention and Follow-up Childbirth

만 1세 첫째 자녀의 성별과 기질이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계획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백지희 (서영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11.03
  • Accepted : 2020.12.0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firstborn's gender and temperament on the fertility intention and follow-up childbirth of parents. Methods: A total 120 firstborns and their mothers were selected from the sampl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Child temperament traits were measured by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ECBQ) and mothers stated their fertility intention in 2009 when their first child was under 2 years old. Follow-up childbirth of mothers was assessed from the data of PSKC in 2016.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follow-up birth. Among aspects of temperament, fertility intention was affected by the firstborn's inhibitory control and follow-up birth was affected by the firstborn's gender and discomfort. For mothers with a boy, the firstborn's soothability affected mothers' follow-up childbirth.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gender and temperament of the first child are connected to mothers' fertility intention and follow-up childbirth. Extra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how those factors affect mothers' parenting or psychological status. Meanwhile, the firstborn's gender and tempera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with one child in order to increase follow-up birth rate.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2007).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639-653.
  2. 권용은, 김의철 (2004). 자녀가치와 출산율. 아동교육, 13(1), 211-226.
  3. 권연희 (2011). 유아의 관계적 및 외현적 공격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 정서조절, 어머니 양육행동의 3영향. 한국생활과학지, 20(5), 927-940.
  4. 권연희, 이종희 (2005).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정서성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201-216.
  5. 권혜진, 전숙영 (2015).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역량,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79-96. doi:10.14698/jkcce.2015.11.079
  6. 김병희, 황윤세 (2009). 유아의 기질과 또래유능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8, 41-59.
  7. 김미나, 이소은 (2018). 보육서비스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이 후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36개월 이하 한 자녀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123-144. doi:10.22590/ecee.2018.22.3.123
  8. 김미정, 이경님 (2011).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53-271.
  9. 김상림, 박창현 (2017). 영아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온정적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8(2), 229-239. doi:10.7856/kjcls.2017.28.2.229
  10. 김은경 (2014). 부부관계특성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4), 199-217.
  11. 김일옥, 왕희정, 정구철, 최소영 (2011). 출산장려 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4(3), 139-155.
  12. 김일옥, 정구철 (2015). 결혼 인식도, 첫째 자녀 연령, 공동 양육 및 가사노동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0(3), 5-23. doi:10.16978/ecec.2015.10.3.001
  13. 김정석 (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14. 노진형, 김은주 (2006). 둘째 자녀 출산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7(4), 111-138.
  15. 민동옥, 박혜원 (2012). 영아 정서성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어머니 특성의 상호작용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0(3), 51-58. doi:10.6115/khea.2012.50.3.051
  16. 배광일 (2015). 모의 심리적 특성 및 가정환경이 출산의도와 출산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 연구, 46(4), 59-84.
  17. 박수미 (2008).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18. 박찬화 (2012). 10개월 이하 영아를 둔 취업모의 양육지원체계, 자녀가치관 및 심리적 안녕감이 둘째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95-111. https://doi.org/10.5934/KJHE.2012.21.1.95
  19. 보건복지부 (2019. 2). 제3차(2016-2020)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수정).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4200&CONT_SEQ=327714&FILE_SEQ=249906에서 2020년 9월 30일 인출
  20. 송영주, 이주옥, 김춘경 (2011).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6(3), 185-206.
  21. 신나리 (2013). 기혼여성의 취업 여부에 따른 둘째자녀 출산의도,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2(3), 405-420. https://doi.org/10.5934/kjhe.2013.22.3.405
  22. 오정순, 신나리 (2018).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생애학회지, 8(2), 21-45. doi:10.30528/jolss.2018.8.2.002
  23. 이성림 (2010). 자녀 양육비와 둘째 자녀 출산의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10), 105-119.
  24. 이정원, 유해미, 김문정 (2014).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 8(1), 47-80.
  25. 이진화, 김경은, 임원신 (2015). 한자녀 가정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가족 환경적 특성과 유아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9(2), 1-22.
  26. 이진화, 조하나, 최혜윤 (2012). 모의 후속출산계획에서 한자녀 취업모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차이와 부모됨이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6(1), 125-141.
  27. 인구보건복지협회 (2020). (2020) 세계인구현황보고서: 나의 의지에 반하는 것들. 서울: 인구보건복지협회.
  28. 임현주 (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방식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부정적 심리변인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8(1), 1-23.
  29. 장혜인 (2015).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간의 종단적 상호관계: 교류모형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2), 19-39.
  30. 정은희, 최유석 (2013).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5-34. doi:10.15709/hswr.2013.33.1.5
  31. 정혜은, 진미정 (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47-164.
  32. 진경선 (2019). 만 0세 자녀 어머니들의 심리적 변인과 향후 7년 이내 후속 출산 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2), 175-192.
  33. 진경선, 김고은 (2020). 후속 출산을 포기한 한 자녀 어머니들의 임신.출산 및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1-29. doi:10.14698/jkcce.2020.16.04.001
  34. 차승은 (2008).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3, 111-134. doi: 10.15855/swp.2008..33.111
  35. 최미란, 장경은 (201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53-73. doi:10.14698/jkcce.2017.13.04.053
  36. 최항준 (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37. 하민경 (2020). 어머니가 인식하는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 양육참여가 후속출산계획 자녀수에 미치는 영향 - 첫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3), 1139-1155. doi:10.22251/jlcci.2020.20.3.1139
  38. 한영선, 이연숙 (2014).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여성의 추가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63-182.
  39. 현정환 (2019). 부모의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114, 25-43. doi:10.37918/kce.2019.01.114.25
  40. Bates, J. E. (1989). Applications of temperament concepts. In G. A. Kohnstamm, J. E. Bates, & M. K. Rothbart (Eds.), Temperament in childhood (pp. 321-355). Chichester, England: Wiley.
  41. Buck, R. (1984).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New York: Guilford.
  42. Buss, K. A., & Plomin, R. (1975). A temperament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43. Campbell, D. W., & Eaton, W. O. (1999). Sex differences in the activity level of infant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8(1), 1-17. doi:10.1002/(SICI)1522-7219(199903)8:1<1::AID-ICD186>3.0.CO;2-O
  44. Cote, S., Tremblay, R. E., Nagin, D., Zoccolillo, M., & Vitaro, F. (2002). The development of impulsivity, fearfulness, and helpfulness during childhood: Patterns of consistency and change in the trajectories of boys and girl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3(5), 609-618. doi:10.1111/1469-7610.00050
  45. Crnic, K. A., & Low, C. (2002). Everyday stress and parenting. In M.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ume 5, Practical issues in parenting (pp. 243-26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6.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doi:10.2307/1131543
  47. Eisenberg, N., Fabes, R. A., Carlo, G., & Karbon, M. (1992). Emotional responsivity to others: behavior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antecedents.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5, 57-73. doi:10.1002/cd.23219925506
  48. Gartstein, M. A., & Rothbart, M. K. (2002). Studying infant temperament via the revised Infant Behavior Questionnair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6(1), 64-86. doi:10.1016/S0163-6383(02)00169-8
  49. Honjo, S., Mizuno, R., Ajiki, M., Suzuki, A., Nagata, M., Goto, Y., et al. (1998). Infant temperament and child-rearing stress: Birth order influences. Early Human Development, 51(2), 123-135. doi:10.1016/S0378-3782(97)00102-3
  50. Hsu, C. C., Soong, W. T., Stigler, J. W., Hong, C. C., & Liang, C. C. (1981).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babies. Child Development, 52(4), 1337-1340. doi:10.2307/1129528
  51. Ostberg, M., & Hagekull, B. (2000).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res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4), 615-625. doi:10.1207/S15374424JCCP2904_13
  52. Putnam, S. P., Gartstein, M. A., & Rothbart, M. K. (2006). Measurement of fine-grained aspects of toddler temperament: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9(3), 386-401. doi:10.1016/j.infbeh.2006.01.004
  53. Rothbart, M. K., & Bates, J. E. (2006). Temperament. In N. Eisenberg, & W. Dam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pp. 99-166). New York: Wiley.
  54. Rubin, K. H., Burgess, K. B., & Hastings, P. D. (2002). Stability and social-behavioral consequences of toddlers' inhibited temperament and parenting behaviors. Child Development, 73(2), 483-495. doi:10.1111/1467-8624.00419
  55. Sanson, A., & Rothbart, M. K. (1995).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In M.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4 (pp. 299-321). New York: Wiley.
  56. Scarr, S., & McCartney, K. (1983). How people make their own environments: A theory of genotype greater than environment effects. Child Development, 54(2), 424-435. doi:10.2307/1129703
  57. Schoen, R., Astone, N. M., Kim, Y. J., Nathanson, C. A., & Fields, J. M. (1999). Do fertility intentions affect fertility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1(3), 790-799. doi:10.2307/353578
  58. Torr, B. M., & Short, S. E. (2004).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1), 109-130. doi:10.1111/j.1728-4457.2004.0000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