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ies through a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the Item of Jeongseon Arirang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 지식연결망 연구 -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

  • Oh, Jung-shim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오정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부)
  • Received : 2019.06.12
  • Accepted : 2019.08.1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Knowled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usually disseminated through word-of-mouth and actions rather than written records. Thus, people assemble to teach others about it and form communities. Accordingly, to understand and spread information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not only their attributes but also a community's relational characteristics. Community members include specialized transmitters who work under the auspices of institutions, and general transmitters who enjo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ir daily lives. They converse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lose relationships. However, to date,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professionals.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s of general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ies centering around Jeongseon Arirang; a social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Regarding the research objective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97 links between 74 members of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One individual had connections with 2.7 persons on average, and all were connected through two steps in the community. However, the density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were low, 0.036 and 0.32,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hesiveness of this community was low,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embers were not strong. Second, 'Young-ran Yu', 'Nam-gi Kim' and 'Gil-ja Kim' were found to be the prominent figures of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and the central structure of the network was concentrated around these three individuals. Being located in the central structure of the network indicates that a person is popular and ranked high. Also, it means that a person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the speed and quantity of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resources, and is in a relatively superior position in terms of bargaining power. Third, to understand the replaceability of the roles of Young-ran Yu, Nam-gi Kim, and Gil-ja Kim, who were found to be the major figur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central structure, structural equivalence was profil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sitions and roles of Young-ran Yu, Nam-gi Kim, and Gil-ja Kim were unrivaled and irreplaceable in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However, considering that these three members were in their 60s and 70s, it seem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for the smooth maintenance and operation of the community. Fourth, to examine the subgroup hidden in the network of the Jeongseon Arirang Transmission Community, an analysis of communities was conducted. A community refers to a subgroup clearly differentiated based on modular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dentified the existence of four communiti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central structure showed that the communities were formed and centered around Young-ran Yu, Hyung-jo Kim, Nam-gi Kim, and Gil-ja Kim. Most of the transmission TAs recommended by those members, students who completed a course, transmission scholarship holders, and the general members taught in the transmission classes of the Jeongseon Arirang Preservation Society were included as members of the communities. Through these findings, it was discovered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genealogy, making an exchange with the general members by employing the present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Jeongseon Arirang, the joint transmission method.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joint transmission method as it overcomes the demerits of the existing closed one-on-one apprentice method and provides members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their masters' various singing sty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y collecting and examining data us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d phenomena that had been difficult to investigate using existing statistical analyses. Second, by adopting a different approach to the previous method in which the genealogy was understood, looking at oral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s of the transmitters' relationships with objective and quantitative data. Third, this study visualized and presented the abstract structure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ransmitt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on a 2D spring ma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eline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centered policies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pecified in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achieve this,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is study through case studies and follow-up studies on more aspects in the future.

본 논문의 목적은 무형문화유산 일반전승자의 역할을 주목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무형문화유산 전승공동체의 연결망과 전승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식 흐름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을 국가무형문화재 종목들 중에서 일반인의 전승활동이 활발한 '아리랑'으로 선정하였다. 아리랑은 오랜 기간 제도권 밖에서 일반대중 활동을 중심으로 자생적으로 전승되었으며, 2015년에 전문전승자 지정 없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최초의 사례이다. 현재 아리랑은 약 60여 종, 3,600여 곡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전문전승자와 일반전승자의 상호교류가 활발한 향토민요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노드(Node)와 링크(Link)로 모델링하여 수치화 통계화 시각화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전통적으로 사회학에서 사회조직 및 취약계층을 연구하는 데 꾸준히 활용되었다. 최근에는 문헌정보학, 문화콘텐츠학, 경영학 등과 같은 분야에서 연구경향, 시장동향, 조직관리 등을 연구하는 데 이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학문 분야에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문화재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크게 3단계, '연결망 모델링',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로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 2017년 기준으로 정선아리랑보존회 회원 전체를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완전한 연결망으로 모델링하였다. 두 번째, 데이터 수집은 보존회 회원 명부를 확보해 2017년 10월 17일 면대면 조사와 2017년 12월 15일 전화 설문조사를 통해 하였다. 세 번째, 데이터 분석은 Netminer 4.0 프로그램을 이용해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 커뮤니티 분석 등을 주요 지표로 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에 무형문화유산 계보조사에서 소수 사람들의 구술자료에 의존해 파악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으로 조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그리고 무형문화유산 전승공동체 구성원들의 관계 및 지식 흐름의 구조를 지식지도(2D Spring Map) 형태로 시각화함으로써 추상적인 내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등학, 1992, 정선아라리의 기능 역사민속학 제2호, pp.107-121
  2. 강등학, 2008, 정선아라리의 민요 생태와 문화적 의미 한국민요학회 제23권, pp.257-288
  3. 강등학, 2012, 아리랑의 부류별 국면과 문화 형질의 전승 맥락 한국민요학 제35호, pp.7-32
  4. 강원도 정선군, 2007, 정선아리랑 전승실태 조사보고서, pp.1-210
  5. 김성희.장로사, 2010, 사회연결망 분석 연구동향 및 정보학 분야에서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7권 제4호, pp.71-87 https://doi.org/10.3743/KOSIM.2010.27.4.071
  6. 김용학, 2010,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pp.1-289
  7. 김용학.김영진, 2016,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pp.1-330
  8. 김윤기, 2018, 커뮤니티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전의 주요 쟁점 확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20집 1호, pp.15-35
  9. 김인나, 2003, 가족과 사회연결망 -독일과 한국의 개인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학 제37권 제4호, pp.67-99
  10. 김태구.조남욱.홍정식, 2014,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국내 영화 시장의 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93-107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093
  11. 노연희.이상균.박현선.이채원, 2012,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 : 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한국사회복지학, pp.159-183
  12. 노영미, 2015, 한산모시 짜기 전승 지식의 변화 비교민속학 제56집, 비교민속학회, pp.255-288
  13. 리차드 쿠린, 2007, 무형문화유산의 보호: 2003년 협정 이행을 위한 핵심 요소 국제저널 무형유산 제2호, 국립민속박물관, pp.10-22
  14. 문화재청, 2006, 아리랑 종합 전승실태 조사보고서
  15. 박상미, 2016,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과 무형문화유산의 공동체 무형유산학회 2016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13-25
  16. 박찬웅, 2007, 예술세계 연결망과 예술시장 성과에 대한 관계론적 접근 한국사회학 제41권 제4호, 한국사회학회, pp.280-317
  17. 오정심, 2015a, 무형문화유산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인식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한국콘텐츠학회, pp.29-36 https://doi.org/10.5392/JKCA.2015.15.09.029
  18. 오정심, 2015b, 생태계적 방식에 의한 무형문화유산 체계 연구 : 자생력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문화재 제48권 제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30-45 https://doi.org/10.22755/KJCHS.2015.48.3.30
  19. 오정심, 2015c,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무형문화유산의 창조적 전승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오정심, 2017,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 연구 문화정책논총 제31집 1호, pp.158-183
  21. 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1, 정선아리랑의 전승과 계보, pp.34-35
  22. 조세훈, 2013, 판소리 도제관계 연구 : 예술적 승인과 사적연계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최윤희, 2014,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적용한 국내 무용계의 창작활동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Linton C. Freeman, 2004,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Analysis : A Study in the Sociology of Science, Vancouver: Empirical Press
  25. Noriko Aikawa, 2004, "An Historical Overview of the Preparation of the UNESCO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useum International, Vol.56
  26. Yahaya Ahmad, 2006, "The Scope and Definitions of Heritage: From Tangible to Intangible",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Vol.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