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f Salvage Archaeology in Korea and a Joint Research and Excavation Plan for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남북 문화유산 조사 현황과 공동조사를 위한 제언

  • 최종택 (고려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 성춘택 (경희대학교 사학과)
  • Received : 2018.12.28
  • Accepted : 2019.01.31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Three Inter-Korea summits and a North Korea-USA summit that were previously unexpected provide a basis for an optimistic outlook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archaeology. While Korean archaeology has witnessed a great advance since the mid-20th century, it also exhibits significant weaknesses in explaining cultural changes in prehistory and the early historical period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paucity of information on archaeological evidence of North Korea. Recent development of favorable conditions for research and excavations of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could be a valuable opportunity for Korean archaeology to overcome the current adversity. Especially, given the expected large-scale SOC industrial project in North Korea, we need to prepare for the systematic research and excavation of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present essay attempts to provide a suggestion for the joint archaeological expeditions to excavate and manage cultural resources in North Korea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salvage excavations in South Korea, such as those cond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rapid transit railway system (KTX). We suggest that professional archaeologists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ject and oversee the planning and design of road and railway constructions and other SOC projects in order to minimize the cost of trial and error processes that were well exemplified by the KTX salvage excavations.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and North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may organize a common association that will supervise joint archaeological expeditions. Importantly,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and other related institutions should prepare to build an organization that conducts impending archaeological excavation in North Korea. While we likely fac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during the various stages of archaeological research and excavations in North Korea, only through thorough and systematic preparation can we avoid the destruction of valuable cultural heritage and find an opportunity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archaeology.

2018년 현재 남과 북의 관계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물론 정치 상황은 예측할 수 없는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하지만 몇 차례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이어지면서 남북관계에도 큰 변화가 올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제 한국 고고학은 통일시대를 대비해야 한다. 그동안 한국 고고학은 크게 발전했지만 북한의 고고 자료에 대해 포괄적인 정보를 알지 못한 상태에서 남한 지역의 자료만으로는 선사시대의 문화 변동과 고대 문화의 전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앞으로 남북관계가 더욱 진전되고 북한에서 도로 철도를 비롯한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SOC)사업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북한 지역에서 벌어질 다양한 개발 사업에 따른 문화유산 조사와 연구는 한국 고고학이 질적으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이 글은 고속철도를 비롯하여 그동안 이루어진 대규모 개발 사업에 따른 문화유산 조사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남북 공동조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시행착오의 과정, 그리고 더 큰 비용과 노력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SOC사업 계획 단계에서부터 고고학 전문가가 참여하고 지금부터 철저하고도 체계적으로 준비할 것을 주장한다. 또한 장기적이고도 학술성 높은 조사와 연구를 위해 한국고고학회가 주도하여 북한의 조선고고학회와 함께 "남북고고학협회"와 같은 기구를 만들고 항공사진과 지도 등을 이용하여 문화유적 분포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북한의 고고학 인력 현황을 생각할 때 남북 공동조사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바, 실제 조사를 담당할 실행 기구도 조직해야 한다. 계획을 세우고 조사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도 따를 것이지만, 그럴수록 더 철저하고도 체계적으로 준비해야 소중한 문화유산의 훼손을 막을 뿐 아니라 한국 고고학 발전의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7, 발굴 통계, 2016 한국고고학저널, 국립문화재연구소
  2. 김범철, 2017, 북한 문화유산 디지털지도 제작 사업 추진방안 한국 고고학의 과제와 발전 방향 모색, 2017년도 한국고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61-75
  3. 김인수, 2014, 매장문화재 조사기법을 활용한 전사자 유해 발굴,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남보라.서순복, 2014,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 관련 법제의 변천과 내용 분석 法學論叢 제21집 제3호,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pp.191-224
  5. 박성진.윤형준, 2012, 고고분야 남북교류협력 현황과 향후과제 민족문화자산 남북 공동보존 학술 심포지엄 - 통일시대를 위한 민족문화자산 남북협력, 통일부.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소, pp.21-32
  6. 박양진, 1998, 統一의 展望과 人文學 硏究 - 북한 고고학의 몇 가지 특징 人文學硏究 제25권 제2호, 충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pp.1-14.
  7. 안형기, 2017, 고고학과 ICT 융합 활용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양시은, 2017, 북한 고고학 인명사전 제작사업의 추진방안 한국 고고학의 과제와 발전 방향 모색, 2017년도 한국고고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55-60
  9. 이기성, 2011, 초기 북한 고고학의 신석기, 청동기시대 구분 湖西考古學報 25집, 호서고고학회, pp.4-29
  10. 이선복.이교동.신정원, 1989, 북한 고고학 문헌 목록 한국고고학보 제23집, 한국고고학회, pp.93-217
  11. 이선복, 1992, 북한 고고학사 시론 東方學志 74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pp.1-74
  12. 이선복.이근욱.조대연, 1996, 경부고속철도 서울.경기권 문화유적 지표.시굴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박물관.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13. 장호수, 2000, 북녘의 고고학과 문화재 관리, 백산자료원
  14. 정호섭, 2012, 민족 공동 문화유산 관련 남북 교류협력의 역사와 평가 민족문화자산 남북 공동보존 학술 심포지엄 - 통일시대를 위한 민족문화자산 남북협력, 통일부.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소, pp.3-16
  15. 최종택, 2010, II. 국내 발굴조사 현황 및 분석 발굴조사 실시기준 마련을 위한 학술연구 보고서, 한국고고학회.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 pp.4-26
  16. 최종택, 2016, 통일시대의 고고학 제39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37-49
  17. 최종택.성춘택, 2017, (가칭)남북고고학협회 설립 방안 한국 고고학의 과제와 발전 방향 모색, 2017년도 한국고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47-54
  18.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4, 북한 이해, (주)늘봄플러스
  19. 하문식, 2007, 북한의 문화재 관리와 남북 교류 정신문화연구 제30권 제1호, 한국학중앙연구원, pp.276-305
  20. 한국고고학회, 1995, 경부고속철도 경주 통과에 반대하는 한국고고학회 성명서 한국고고학보 33집, 한국고고학회, pp.200-211
  21. 한창균, 1990, 북한 고고학계의 구석기시대 연구 동향 - 제4기의 연구와 구석기시대의 시대 구분을 중심으로 東方學志 6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pp.267-293
  22. 한창균, 2017, 하담 도유호: 한국 고고학 첫 세대, 혜안
  23. 데일리안, 2018.5.15, 현대그룹, 북한 SOC사업 '다국적 컨소시엄' 검토
  24. 오마이뉴스, 2018.8.4, 4.27 판문점선언 100일, 그동안 무슨 일이 있었나
  25. 충북일보, 2015.8.4, 경원선 철도 남측구간 복원 사업 5일 착공
  26. 한국교통연구원, 2017.8.23 보도자료, 남북 교통협력 관점에서 보는 문재인 대통령 '신베를린 선언'에 담긴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실현을 위한 전제조건 (인터넷 자료: https://blog.naver.com/koti10/221080199452)
  27. News1뉴스, 2014.3.14, 개성-신의주 고속철 한중 합작 건설, 북과 본계약
  28. News1뉴스, 2018.5.9, '150억 달러 규모' 서울-신의주-중국 대륙철도 이번엔 연결될까
  29. 한국철도시설공단 홈페이지 http://www.kr.or.kr/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