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hod for Establishing Chronology of Cloud Patterns Based on the Cover Patterns of Oegyujanggak Uigwe Books in the Late Joseon Period

외규장각 의궤 책의 문양을 통한 운보문 편년 설정 방법

  • Lee, Eunjoo (Dept. of Contents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은주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9.08.06
  • Accepted : 2019.11.11
  • Published : 2019.12.30

Abstract

This study derived a method for establishing the chronology of cloud patterns by examining the arrangement of the treasure motifs in the cloud pattern used in the relevant pattern-decorated book covers of 89 Oegyujanggak Uigwe books, which are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cloud pattern with a treasure motif was used in the covers of a total of 89 books from King Hyojong Gukjangdogam Uigwe (1659) to Sadoseja Garyedogam Uigwe (1744), spanning 86 years. First, to analyze the cloud pattern, it should be broken down into smaller parts to the extent that the different shapes of treasure motifs can be recognized. Secondly, the method of decoding the pattern is as follows: First, check whether the pattern is arranged in one or two directions from the vertex of the cloud's head,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cloud tail. Then, decode the treasure motif's arrangement starting from the vertex of the cloud's head toward the direction the tail of manja is headed. Record the findings of this decoding process by categorizing them. Third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8 types of cloud patterns with treasure motifs were identified in 89 books. There were 45 types of treasure motifs used in such patterns. Finally, we have concluded that applying the method of decoding the treasure motif in the cloud pattern to portraits, excavated costumes, and various relics can be useful to establish the chronology of cloud pattern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is called 'The Reading Method of Chronology in Cloud Pattern with Treasure Motifs' (also 'Jeung-ha Cloud Pattern Reading Method').

국립중앙박물관의 외규장각 의궤 중 운보문단(雲寶紋緞) 책의(冊衣)를 대상으로 운보문의 편년 설정 방법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규장각 의궤 중 운보문단 책의는 현종 즉위년(1659) 『효종국장도감의궤(상·하)』부터 영조 20년(1744)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까지 86년간 89책(冊)에서 사용되었다. 둘째, 의궤 책의에 사용된 보문 종류는 14종으로 파악되었는데 잡보(雜寶)인 금정(金錠), 만자(卍字), 방승(方勝), 방승(쌍), 보주(寶珠), 산호(珊瑚), 서각(犀角), 서보(書寶), 애엽(艾葉), 여의두(如意頭), 전보(錢寶), 전보(쌍), 특경(特磬), 화보(畵寶)이다. 셋째, 운보문 판독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보문의 명칭을 결정한다. (2)운두(雲頭) 꼭지점을 기준으로 운두가 일방향(一方向)으로 배열되었는지 양방향(兩方向)으로 배열되었는지를 확인한다. (3)운두에 연결된 만자꼬리 중 상하꼬리 방향이 좌향인지 우향인지 파악한다. (4)운두를 중심으로 사분면에 배열된 보문 조합이 '1조(組) 보문형'인지 '2조 보문형'인지 확인하고 운두 꼭지점을 기준으로 좌향꼬리는 좌상(左上) 면에서 시계 역방향으로 보문을 판독하고 우향꼬리 운보문은 우상(右上) 면에서 시계 순방향으로 보문을 판독한다. 2조 보문인 경우는 첫 보문의 명칭을 가나다 순으로 따져 '제1조 보문'과 '제2조 보문'을 결정한다. (4)운보문에서 판독한 내용을 유물명부터 유물번호, 소장처, 왕조, 연도, 1-1면, 1-2면, 1-3면, 1-4면, 방향, 2-1면, 2-2면, 2-3면, 2-4면, 운두 크기, 단위문 크기 등 16항목으로 정리한다. 이러한 판독법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운보문의 연대 파악을 위한 '정하 운보문 판독법'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현종 즉위년(1659)부터 영조 20년(1744)까지 86년간의 의궤 89책 책의에서 28종의 운보문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운보문에 사용된 보문은 단독보문과 조합보문을 포함하여 45종으로 확인되었는데, 특히 보주(85건), 산호(84건), 서보(42건), 방승(쌍)(41건) 등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운보문 판독법을 연대가 정확한 초상화와 출토복식, 전세유물 등에 운보문 판독법을 적용해본 결과, 유물의 연대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9년 (사)한국복식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17~18세기 운보문단의 편년 설정을 위한 방법론"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References

  1.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2. 영조실록(英祖實錄)
  3. 경기도박물관, 2001, 전주이씨 묘 출토복식 조사 보고서, p.54, 185, 213, 216
  4. 경기도박물관, 2016, 衣紋의 조선 무늬, p.100, 134
  5. 고려대학교박물관, 2003, 坡平尹氏 母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p.174
  6. 고부자, 2001, 朝鮮時代 피륙[織物]의 무늬, 단국대학교출판부
  7. 국립고궁박물관, 2011,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p.65
  8. 국립대구박물관, 2011, 신득연家 여인 외출하다 , p.28
  9. 국립민속박물관, 2000, 오백 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p.16
  10. 국립중앙박물관, 2012, 조선왕조의궤 현황과 전망, p.187, pp.190-192
  11. 국립중앙박물관, 2014,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p.13, 98, 143, pp.89-91, 142-173, 175-203
  12. 김민정, 2002, 朝鮮時代 出土服饰에 나타난 雲.雲寶紋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金鎭九, 1996, 老乞大의 服飾硏究 복식문화연구 4(1), p.7
  14. 단국대학교.국립고궁박물관, 2013, 어책 조사연구 결과보고서 2, p.138
  15. 박승원, 2012, 외규장각 의궤 원표지 직물의 현황과 특징 조선왕조의궤 현황과 전망, 국립중앙박물관, p.190, pp.186-187, 190-192
  16. 박승원, 2014, 외규장각 의궤 책의에 사용된 직물무늬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국립중앙박물관, pp.88-115
  17. 박윤미, 2016, 17-20세기의 어책 장황 직물에 관한 연구 고궁문화 9, p.9
  18.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예술과 정보의 만남, p.21
  1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 한국학의 여정, 2012, p.83
  20. 심연옥, 2006, 한국 직물 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p.265
  21. 安芝園, 2000,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구름무늬의 상징성 및 조형적 특성, 暻園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2. 유새롬, 2014, 외규장각 의궤 장황의 특징 외규장각 의궤의 장황, 국립중앙박물관, p.40, 45
  23. 안현주.조우현, 2010, 근대 여자한복 유물의 문양 연구 服飾 60(10), pp.100-117
  24. 榮州市, 1998, 判決事 金欽祖先生 合葬墓 發掘調査 報告書, p.260
  25. 오하나, 2008, 15세기 이후 한.중 전통직물의 보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3, 25
  26. 이은주.조효숙.하명은(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p.305
  27. 이은진.조효숙.홍나영, 2007, 조선 말기 단(緞)의 종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 服飾 57(3), pp.37-52
  28. 이주영 외, 2004, 보문(寶紋)의 유형과 조형성 연구 服飾 54(2), pp.11-23
  29. 임영자, 1980, 實物로 본 色彩와 무늬(紋)의 考察: 李朝時代 衣裳中 雲紋을 中心으로 服飾 3, p.70, pp.67-84
  30. 조효숙, 2006, 우리나라 전통 무늬 1 직물, 눌와, p.364
  31. 조효숙.이은진, 2015,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보배무늬의 변화 경향과 구성 유형 服飾 65(7), pp.32-46
  32. 조효숙.임경화.김지연, 2003,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袍類)에 사용된 직물 유형 연구 服飾 53(4), pp.113-129
  33. 河美子, 1997, 寶紋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2
  34. 國立故宮博物院, 2016, 精彩一百, 臺北: 國立故宮博物院, p.171
  35. 薛雁, 2000, 明代丝绸中的四合如意雲紋 丝绸 2001(6), p.44
  36.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钟祥市博物馆, 2007, 梁莊王墓 下, 北京: 文物出版社, p.33
  37. MBC NEWS http://imnews.imbc.com/
  38.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 http://www.museum.go.kr/uigwe/content/
  39. 뉴스천지 http://www.newscj.com/
  40.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41. 문화재청 http://www.cha.go.kr/
  42. 브릿지경제 http://www.viva100.com/

Cited by

  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항복 종가 기증 운보문단 보자기 무늬의 특징과 연대추정 vol.23, 2019,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0.23.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