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적 재난에 투입된 군 병력들의 고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철도파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sures to improve the difficulties of military personnel in social disasters - Focusing on the case of a railway dispatch -

  • 투고 : 2019.09.03
  • 심사 : 2019.10.07
  • 발행 : 2019.11.30

초록

본 연구는 국가재난 사태에서의 군의 역할이 포괄적 안보의 일환으로 그 중요성이 새삼 떠오르고 있고, 특히 포괄적 안보 측면에서 군의 역할 증대 방안으로 국가재난 유형별 지원 중 사회적 재난에 따른 여러 지원 요소가 있었으나,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미흡한 부분이 사실이다. 또한, 국가재난 사태 관련 군 지원 사례 중 가장 오랜기간 임무 수행 했던 2016년 한국철도공사 철도노조 파업 기간(72일)을 사례로 수도권 전동철(1 3 4호선) 대체기관사로 투입되었던 군 병력(상 원사급 부사관)에 대한 관찰과 면담 등을 통하여 임무 수행 간 애로사항 등 여러 제반 사항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차후 지원 임무 시 효과적인 임무 수행을 통한 국가위기 해소 및 대군 신뢰도 향상에 대한 기대가 그 목적이다.

The following study, as the importance of military role in a national disaster is emerging as a part of comprehensive security, there has been a number of elements of social disaster-related support in support of each type of national disaster aimed to improve the military's role towards comprehensive security but there has been no regular study of this topic.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aspects and hardships during the mission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support missions by observing and interviewing the military personnel which substituted the role of train drivers in the Seoul Metro in 2016, when the Korean Railroad Corporation [KORAIL] Workers Union was on strike [72 days] which is the longest period of a national disaster requiring military assist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G. S. Wi & M. H. Baek & G. J. Yang & G. G. Yang (2009), Korea's Response System to Disaster Sites, pp. 11.
  2. D. W. Lee, Ph.D. thesis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9.
  3. J. W. Lee, Ph.D. thesis of Keimyung University, 2013.
  4. S. T. Kim, A master's degree at Kyonggi Universit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