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conomic Value of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 Focused on UI / UX Field of IT Service

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IT서비스 분야 UI/UX를 중심으로-

  • Ahn, Jinho (idinnolab Inc.) ;
  • Lee, Jeungsun (Eulji University, College of Health Industry, Mortuary Science Department) ;
  • Lee, Pildo (Eulji University, College of Health Industry, Mortuary Science Department)
  • 안진호 ((주)아이디이노랩) ;
  • 이정선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장례지도학과) ;
  • 이필도 (을지대학교 바이오융합대학, 장례지도학과)
  • Received : 2019.02.12
  • Accepted : 2019.03.15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e key to the success of IT services is to ensure user-oriented strategic planning and system design capabilities to accurately read the user's mind. In order to establish a stable UI/UX strategy that provides user-oriented service, estimating the size of the relevant market and predicting the growth potential should be given priority, but there is no research on this.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the relevant market based on the 'SW market size (IDC Worldwide Blackbook.')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amount and the number of cases, the planning and design area of UI/UX is lower than that of overseas mar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establishment of UI/UX strategy that depends on individual competence so far, It is possible to make economic value judgments by standard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UI/UX by establishing an opportunity to access the interface. From the technical viewpoint of application of the user's viewpoint on the existing interface, We expect to be able to lead the UX strategy management through the occasion of access to UI/UX. Identify needs and to demonstrate the value of UX strategy applied is significant.

IT서비스의 성공의 핵심은 사용자 중심의 전략기획 및 시스템 설계 역량을 확보하여 사용자 마인드를 정확히 읽어내는데 있다. 사용자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UI/UX전략수립이 안정적으로 구축되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시장의 규모를 추정하여, 성장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SW시장규모(IDC Worldwide Blackbook'에 근거하여 관련시장을 추정하였다. 금액과 건수를 추정한 결과, UI/UX에 있어 기획 및 설계 영역이 해외 시장규모에 비해 낮은 수치로 형성되고 있으며, 디자인 중심의 관련 기업들의 역량도 기획자와 설계자를 구분하여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개인의 역량에 의존하던 UI/UX전략 수립을 체계화시키고, 시스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UI/UX 에 대한 표준화와 정량화 등으로 경제적 가치 판단이 가능해 지는데 있다. 기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관점을 적용한다는 기술적 측면에서 해당 서비스에 대한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UI/UX에 대한 접근의 계기를 통한 UX전략 경영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지식서비스 차원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적용하는 UX전략의 가치를 증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Ahn,Jinho, Lee,Jeungsun(2018),'Study on strategy formulation and system through mining of UI/UX related unstructured data', Pfoceednings of IT service science society, Spring Conference, Seoul, Korea
  2. Electronic newspaper(2018), 'correlation between fat finger and user experience (UX), 2018. 09. 26.
  3.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2018), public sector SW ICT equipment information protection demand forecast survey'
  4. Electronic newspaper(2018), 'Public SI business success depends on UI and UX, 2018.02.19. http://www.etnews.com/20180219000184
  5. Digital Times(2016), 'Public site user interface is still far away'
  6. https://www.idc.com/tracker/showproductinfo.jsp?prod_id=241, IDC Worldwide Black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