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aning of Collective Relationships Becoming by Large-scale Interview Project - Focused on the media exhibition art <70mk> -

대규모 인터뷰 작업이 생성하는 집단적 관계성의 의미 - 미디어전시예술 <70mK>를 중심으로

  • OH, Se Hyun (Dept. of Film, TV & Multimedia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9.05.18
  • Accepted : 2019.07.10
  • Published : 2019.07.25

Abstract

This study was describ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media exhibition work <70mK>, which aims to capture the topography of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large-scale interviews. <70mK> edits and organizes interview images of individual beings in mosaic-like layouts and forms, creating video exhibitions and holding exhibitions. The objects in the split frame show the continuity of differences that reveal their own thoughts and personalities. This is a synchronic and conscious collective typology in which the intrinsic nature of the individuals is embodied in a simultaneous and holistic image. Interview images reveal their own form as a actual being and convey the intrinsic nature of one's own as oral information. <70mK> constructs a new individualization by aesthetically structuring the forms and information of life individuals in the extension of a specific group. The beings in the frame are not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are looking straight ahead. it conveys to visitors their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as the preindividual reality. It is the repetitive arrangement and composition of heterogeneity and difference that each individual shows, and is a chain operation that includes collective identity behind it. <70mK> constructs the direct images and sounds of individual interviewee, creating a new form of information transfer called Video Art Exhibition. This makes metaphors and perceptions of the meaning and process of transindividual relationships and the meaning of psychic individuation and collective individuation. This is an appropriate case to explain with modern technology and individualization of Gilbert Simondon thought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becoming and relation of individualization. The exhibition space constructed by <70mK> is an aesthetic methodology of the psychic and collective meaning and its relationship to a particular group of individuals through which they are connected. Simondon studie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and the meaning of becoming, and is a philosopher who positively considered the potential of modern technology. <70mK> is a new individual as structured and generated ethical reality mediated by modern technology mechanisms and network behaviors. It is an case of an aesthetic and practical methodology of how interviews function as 'transduction' i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in which technology is cooperated. The direct images and sounds of <70mK> are systems in which the information of life individuals is carried, amplified, accumulated and transmitted. It is also a new individual as a psychic and collective landscape. It is a newly became exhibition art work through the multiple individualization, and is a representation of transindividual meanings and process. The media exhibition art of individualized metastable states leads to new relationships in which viewers perceive the same preindividual reality and feel affectivity. The exhibition space of <70mK> becomes a stage for preparing the actual possibility of the transindividual group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the semantic function.

본 연구는 대규모 인터뷰 작업을 통해 한민족이 가진 집단적 의식의 지형도를 담아내고자 하는 미디어전시작업 <70mK>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70mK>는 개별 존재자들의 인터뷰 영상들을 마치 모자이크와 같은 배치와 형태로 편집, 구성된 영상전시물을 만들고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분할된 프레임 속의 개체들은 저마다의 생각과 개성을 드러내는 차이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개체들의 내재성이 동시다발적이고 총체적인 이미지로 구현된 공시적이고 의식적인 집단적 타자의 형상이다. 인터뷰 영상들은 실제 존재자로서의 자신의 형태를 드러내고 자신이 가진 특유의 내재성을 구술적인 정보로서 발산한다. <70mK>는 특정 집단이라는 동일선의 연장에서 이런 생명적 개체들의 형태와 정보를 미학적으로 구조화하여 새로운 개체화를 이루어낸다. 프레임 속의 존재자들, 각 개체들은 서로가 대화를 나누거나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향한 전면 응시, 즉 작품을 관람하는 사람들을 향해 그들이 가진 전개체적 실재로서의 관계성과 개성을 전달한다. 그것은 각 개체들이 보여주는 이질성과 차이의 반복적 배치와 구성인 동시에 그 이면에 집단적 동일성을 내포한 연쇄 작용이다. <70mK>는 개성을 드러내는 인터뷰이들의 직접적인 이미지와 소리를 구조화하여 전시영상작품이라는 새로운 정보전달 방식의 형태를 이루어낸다. 이러한 점은 정신적이고 집단적인 개체화의 의미와 관개체적인 관계성의 의미와 과정을 은유하게 하고 지각하게 한다. 이것은 개체화라는 생성의 과정과 관계의 의미를 현대 기술과 함께 사유한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론으로 설명하기 적합한 사례이다. <70mK>가 구축한 전시공간은 특정 집단의 개체들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정신적이고 집단적인 의미와 그 관계성을 미학적인 방법론으로 함의하고 있다. 시몽동은 개체화라는 과정에 대한 사유와 생성의 의미를 고찰하며 현대의 기술이 가진 가능성과 잠재력을 긍정한 철학자이다. <70mK>는 현대의 기술 매커니즘과 네트워크적 행위들이 매개되어 구조화되고 생성된 윤리적 실재성으로서의 새로운 개체이다. 그것은 기술이 협업 된 개체화 과정에 인터뷰가 어떻게 '변환' 작용으로 기능하는지에 대한 미학적이고 실천적인 방법론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70mK>가 보여주는 직접적인 이미지와 소리는 생명적 개체의 정보들이 운반, 증폭, 축적되며 발산하는 정보의 체계이자 정신적이고 집단적인 풍경으로서의 새로운 개체이다. 그것은 복수의 개체화를 통해 새롭게 생성된 전시예술작품에 내포된 개체초월적인 의미작용과 과정에 대한 하나의 표상이기도 하다. 개체화된 준안정적 상태로서의 미디어전시예술은 작품을 관람하는 이들이 동일한 전개체적 실재를 인지하고 정념적 감정을 느끼는 새로운 관계 맺기를 이끌어낸다. <70mK>의 전시공간은 의미작용의 표상을 넘어 관개체적 집단의 실질적인 가능성을 예비하는 무대가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희, 시몽동의 기술철학 -포스트휴먼 사회를 위한 청사진, 아카넷, 2017.
  2. 미하엘 할러, 인터뷰 -저널리스트를 위한 핸드북, 강태호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 비올라 팔켄베르크, 인터뷰이를 위한 인터뷰의 이론과 실제, 이현표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4. 스테이나 크베일, 내면을 보는 눈 - 인터뷰, 신경림 옮김, 하나의학사, 1998.
  5.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 김재희 옮김, 그린비, 2011.
  6. 질베르 시몽동, 형태와 정보 개념에 비추어 본 개체화, 황수영 옮김, 서울: 그린비, 2017.
  7. 오광수, 인터뷰, 서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2011.
  8. 황수영, 시몽동, 개체화 이론의 이해, 그린비, 2017.
  9. Barthelemy Jean-Hugues, Life and Technology :beyond Simondon, Trans. Barnaby Norman, Meson Press, 2015.
  10. Combes, Muriel, Gilbert Simondon and the Philosophy of the Transindividual, Trans. Thomas LaMarre, Cambridge, MIT Press, 2013.
  11.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12. 김동현, 모크 다큐멘터리의 다큐적 관습과 영화시간의 명시성 -포스카인드, 인터뷰의 시간 장면화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45권, 2013.
  13. 강승엽, TV 다큐멘터리 영상물에 있어서 나레이션과 인터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현대사진영상학회 4권, 2001.
  14. 강진숙, 포스트휴먼 담론의 사유와 미학적-윤리적 역량 연구 -시몽동과 들뢰즈, 과타리의 인간-기계 사유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3), 2018.
  15. 강태호, 기억하기로서의 인터뷰 다큐멘터리 -블랙박스 독일연방공화국 Black Box BRD을 중심으로, 독일언어문학 43권, 2009.
  16. 김재희, 물질과 생성: 질베르 시몽동의 개체화론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93권, 2011.
  17. 김재희, 기술과 개체초월성: 시몽동과 스티글레르, 범한철학 88권, 2018.
  18. 김현강, 매체 인터뷰의 담화 전략 연구 : 라디오의 시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학위논문(박사), 2008.
  19. 김화자, 연구 논문 : 기술적 대상(L'objet technique)의 존재: 디지털 이미지의 존재론을 위한 예비적 고찰, 미학 예술학 연구 32권, 2010.
  20. 김화자,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적 '관계'에 대한 탐색 - 시몽동의 개체화와 기술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로, 철학과 현상학 연구 56권, 2013.
  21. 남승석, 에롤 모리스 감독의 다큐멘터리 미학, 서강대학교 학위논문(박사), 2017.
  22. 이주갑, TV 휴먼다큐멘터리의 인터뷰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012.
  23. 이창재 심지현, 다큐멘터리 <노무현입니다> 인터뷰 미장센 사례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4권 1호, 2018.
  24. 조국현, 텍스트의 매체성 -'인터뷰'의 매체적 변이형 고찰, 텍스트언어학 41권, 2016.
  25. 조현준, 다큐멘터리에서의 인터뷰 활용 방식 연구, 씨네포럼 16권, 2013.
  26. 트랜스미디어연구소 http://tmi.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