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 박윤정 (조우경 아동상담센터) ;
  • 최미경 (덕성여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9.08.15
  • Accepted : 2019.10.13
  • Published : 2019.10.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mother'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315 young children who attend a kindergarten or day care center and their mothers from Seoul, Inchon, and Gyeonggi-do Province.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young children's regularity/adapt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nse of competence as a parent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Young children's regularity/adapt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satisfaction as a parent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negativity. Sense of competence as a par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young children's emotional instability/negativity. In addition, it was further found that the mother'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tended to play a perfectly/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respectively.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lays a crucial role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2014. 2. 27). 영유아 정신건강 '위험' 국가지원 시급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02271841432&rccde=900303에서 2014년 4월 3일 인출
  2. 권연희 (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 해결 전략 및 어머니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연희 (2014).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부정적 정서성과 수줍음 및 의도적 통제의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4(4), 215-235.
  4. 김경희, 김경회 (1999). 유아 정서지능의 구인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1), 25-38.
  5. 김미정, 이경님 (2011).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53-271.
  6. 김민정 (2008).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사회적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민정, 도현심, 신나나, 최미경 (2013).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2), 101-119. doi:10.5723/kjcs.2013.34.2.101
  8. 김보영 (2012). 유아리더십과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유미 (2005). 뇌를 통해 본 아동의 정서 :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10. 김인희 (201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정서지능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정은 (2015).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의도적 통제 및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윤 (2007).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나, 이경님 (2008). 성별에 따른 유아의 기질,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71-92.
  14. 김현주 (2009).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혜순 (2009). 어머니의 집착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03-226.
  16. 김혜원 (2018).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훈육행동 유형이 유아기 자녀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남재희 (200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혁준 (2001).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205-219.
  19. 문혁준 (2005). 취학 전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6(5), 139-150.
  20. 박미리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석규, 이은희 (2011).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능력과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257-278.
  22. 박소영 (200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예랑 (2017). 어머니가 지각한 영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능력: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박지련 (2014). 부모의 정서적 공감능력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부모 간의 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지숙 (2008). 아동의 기질, 정서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박재윤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기질-양육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혜원 (2012).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 변인으로. 이화여자대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배미경 (2012).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또래갈등해결 전략 간의 관계. 유아교육ž보육복지연구, 16(2), 195-220.
  29. 배주희 (2011). 유아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서울경제 (2012. 2. 9). 올부터 초.중.고교생에 정서행동 발달 선별검사. http://www.sedaily.com/NewsView/1HRJCS8ZIE에서 2014년 4월 5일 인출
  31.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32.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신혜진, 신나리 (2014). 유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관계가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47-68. doi:10.14698/jkcce.2014.10.3.047
  34. 안라리 (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여은진 (2009).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사회화 행동 및 유아 정서조절간의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유경, 민경환 (2003).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 이해의 발달: 정서 원인과 정서 조절에 대한 이해. 심리과학, 12(1), 13-29.
  38. 유지현, 이경님 (2017).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 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277-303. doi:10.22155/jfece.24.1.277.303
  39. 윤서희 (201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경하, 서소정 (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41. 이승은, 서현 (2007).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감성지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8(4), 127-144.
  42. 이소은 (2011). 기질, 성, 심리적.행동적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5(3), 409-430.
  43. 이예원, 진미경 (2016). 유아의 기질 및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모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1(1), 23-46.
  44. 이윤진 (2007). 사회적 지원과 유아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주연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5), 35-48.
  46. 이화선 (2016).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임희수 (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장미희, 이지연 (2011). 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1), 35-53.
  49. 정경화 (2013). 어머니 대모애착 및 양육효능감과 영아와 유아의 발달 단계에 따른 애착 및 기질과의 관계.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정보라 (2017).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정점옥 (2009).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조미숙 (201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조부월 (2012).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2), 133-157.
  54. 채경진, 유연옥 (2015). 유아의 활동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1), 19-34.
  55. 최빛나 (2013).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최은숙 (2013). 부모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정서조절 행동.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131-151.
  57. 최지현 (200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통제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최지영, 김미애 (2010). 유아기질과 부모양육태도가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19-137.
  59. 최형성 (2005). 남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및 아동의 기질. 아동학회지, 26(1), 319-328.
  60. 최형성 (2006). 어머니 양육효능감의 매개적 역할 -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의 제 변인들에 대한 모형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4(11), 79-89.
  61. 홍계옥, 이상덕 (2009). 유아의 기질과 정서지능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주연구, 18(2), 180-198.
  62. Bandura, A. (1989). Regulation of cognitive processes through perceived self-efficacy. Developmental Psychology, 25(2), 729-735. doi:10.1037//0012-1649.25.5.729
  6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rch: Conceptu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6.1173
  64. Berry, W. D., & Feldman, S. (1985). Multiple regression in practice :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65. Buss, A. H., & Plomin, R. (1975). A temperament theory of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66. Cole, P. M., Martin, S. E., & Dennis, T. A. (2004). Emotion regulation as a scientific construct: Methodological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research. Child Development, 75(2), 317-333. doi:10.1111/j.1467-8624.2004.00673.x
  67.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507-1518. doi:10.1111/j.1467-8624.1986.tb00475.x
  68. Denham, S. A. (1993). Maternal emotional reponsiveness and toddler'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5), 715-728. doi:10.1111/j.1469-7610.1993.tb01066.x
  69. Dunn, J., & Brown, J. (1994). Affective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137.
  70. Fettig, N. B. (2015).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Predicting social competen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outcom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e Mason University, USA.
  71. Goodman, S. H., Brogan, D., Lynch, M. E, & Fielding, B. (1993).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children of depressed mothers. Child Development, 64(2), 516-531. doi:10.1111/j.1467-8624.1993.tb02925.x
  72. Gottman, J. M., & Katz, L. F. (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73-381. doi:10.1037//0012-1649.25.3.373
  73. Planalp, E. M., Van Hulle, C. A., & Goldsmith, H. H. (2019). Parenting in context: Marital adjustment, parent affect, and child temperament in complex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3(5), 532-541. doi:10.1037/fam0000511
  74.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5), 918-929. doi:10.1111/j.1467-8624.1991.tb01580.x
  7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Oxford, England: Brunner/Mazel.

Cited by

  1.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변화 양상에 따른 진로관련 행동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학업적 특성 차이 vol.21, pp.12, 2020,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234
  2.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내면의 힘이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vol.17, pp.2,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