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ay and characteristics of Shaman's play

무당굿놀이의 연행방식과 특징

  • 윤동환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 Received : 2019.01.01
  • Accepted : 2019.02.0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Shaman's pla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public theater for a long time in the theatrical and dramatic history. Unlike upper class who could call entertainer or Korean geisha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e majority of ordinary people could see professional performances through gut. Therefore, the shaman of the traditional society pulled the play which developed in the gut and the outside play into the gut and prepared the performance street for the ordinary people. shaman's play, apart from the religious context, has also functioned as a theatrical performance. Through shaman's play, you can see the process of ritual development into play. Shaman's play is a ritual ritual of expel calamity in an agriculture based society. In Korean consciousness, evil spirits are thought to bring disease or disaster to humans, so they should be good for evil spirits. This is a ritual that goes hand in hand with the Confucian Yeoje and the Buddhist Suryukjae. Most traditional plays, including masque performance, tend to weaken and become stifling after the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However, shaman's play is transformed every time it is executed and is given a new meaning. Depending on the ability of the shaman to respond to and accommodate social change, adaptability is excell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e field. Shaman's play has richness, prevent calamity and playful elements such as imitation of god and sexual connection based on the element of shamanis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Shaman's play because it is differentiated into play including social subject beyond mere magic imitation.

무당굿놀이는 연극적·극문학사적 차원에서 주목을 받았다. 전통사회에서 전문적 공연집단인 광대나 기생을 부를 수 있었던 상층 계층과는 달리 대다수의 일반 서민들은 굿을 통해 공연 욕구를 충족할 수 있었다. 전통사회의 무당들은 굿의 놀이적 요소와 외부의 놀이들을 굿 속에 끌어들여 서민을 위한 공연거리를 마련했다. 무당굿놀이는 종교적 맥락을 떠나 하나의 연극적 공연물로서 기능한 것이다. 무당굿놀이를 통해서 의례에서 놀이로 전개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입춘굿놀이·세경놀이·소놀이굿·방아놀이 등의 무당굿놀이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사회에서 풍농을 기원하는 놀이적 의례이고, 거리굿이나 뒷전은 잡귀잡신(雜鬼雜神), 즉 무사귀신과 무주고혼을 위로하고 돌려보내는 굿이다. 잡귀잡신들이 인간들에게 질병이나 재앙을 가져온다고 의식했기 때문에 신격이 낮은 잡신에 대한 굿놀이를 생성한 것이다. 무당굿놀이는 유교식 여제(厲祭)와 불교 수륙재(水陸齋)와도 일맥상통한다. 여제의 대상인 여귀(厲鬼)는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이승을 떠도는 잡귀들로, 미혼 남녀의 귀신이나 자손이 없는 귀신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제사를 받을 수 없는 무사귀신을 말한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와 민간에서 여제를 지냄으로써 마을의 역질(疫疾)이나 재난을 막아내고자 했다. 불교 수륙재도 여제와 동일한 목적에서 거행되었다. 여제와 수륙재에서 잡귀잡신들을 호명하며 제사지내는 것에 비해 무당굿놀이에서 잡귀잡신으로 분장하여 형상화한 것이 더욱 강한 인상을 준다. 가면극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통연희는 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전승력이 약화되고 박제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장성과 전승력이 살아있는 무당굿놀이는 연행될 때마다 변모되며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무당이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현장의 상황에 따라 잘 적응하기 때문이다. 무당굿놀이에는 샤머니즘의 요소를 바탕으로 신의 모방과 성적 결합 등 풍요·재액·놀이적 의미가 내포되어있다. 무당굿놀이는 단순히 주술적 모방을 넘어서 사회적 주제를 포함한 놀이로 분화하고 있어서 향후 무당굿놀이의 의미와 지향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7S1A5B8057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