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Zhongkui(鍾馗) Performances' of Calendaric Rituals in the Jiaofang(敎坊) of the Ming dynasty

명대 교방(敎坊)의 세시의례 속 '종규(鍾馗) 공연' 연구

  • 김순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 Received : 2019.07.15
  • Accepted : 2019.08.08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Based on the text reference from the Variety Theatre compiled and performed by the Jiaofang of the Ming Dynasty Palace, the characteristics of Zhongkui performance in the New Year Ceremon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differentiation and diachronic change in aspect between court dance and civilian. In China's folk beliefs, 'Zhongkui'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spirit of fighting against evil spirits. Relevant rituals and performing arts have been held mainly on New Year's Eve or the Dragon Boat Festival. Although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he situation of Zhongkui performance was largely unnoticed, only generally addressed in China, even with the given fact that the Ming Dynasty's text reference of miscellaneous court dance was exclusively retained, Therefore, the analysis intends to propose Zhongkui performances of Calendaric Rituals in the aspect of its elements and differentiate the play handed down among people as a specific example. Through the text analysis of miscellaneous court dance, 'Imperial examination' and religious belief was regulated usuriously by a so-called edification expressed as imperial reign ideology extracted to an implementation situation, revealing that this court dance was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performances including the 'Zhongkui'.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study intends to provide a positive foundation for not only the field of Chinese studies but also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theatre, dance, folklore, religion, anthropology and art.

명나라 궁정의 교방(敎坊)에 의해 편찬되고 공연된 잡극(雜劇) 텍스트를 중심으로, 궁정 공연의 통시적 변화 양상 및 민간과의 차별성에 주목하여 세시의례 속 '종규(鍾馗) 공연'의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중국의 민간신앙에서 '종규'는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대표적 신령으로 간주되어, 주로 제석(除夕)이나 단오절(端午節)에 관련 의례와 공연이 거행되어 왔다.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유일하게 궁정 잡극 텍스트가 남아 있는 명나라 교방에 의한 종규 공연 상황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여 중국에서도 개괄적인 언급 속에서 간략히 다루어졌다. 따라서 명대 궁정교방 잡극에 드러나는 세시의례 속 종규 공연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와 차별성을 띠는 민간에서 전승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궁정 잡극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과거제도'와 신앙 통제를 고리로 하는 소위 교화(敎化)라 표현되는 황실 통치 이념의 구현 상황을 추출하였고, 이 잡극이 '종규 공연'을 포함한 버라이어티 한 퍼포먼스로의 특징을 띠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학 분야는 물론 국문학·연극학·무용학·민속학·종교학·인류학·미술학 등 연계 학문에도 긍정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6S1A5B5A0791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