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Adjustment to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평택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 임광명 (평택대학교 피어선칼리지)
  • Received : 2019.08.10
  • Accepted : 2019.09.1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s are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adjustment to college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265 usable questionnaires among college students in Pyeongtek University.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dimensions of self-esteem which were talent/attitude and capacity/pride. And results of factor analysis also yielded three dimensions of social supports which were family, friends, and professor suppor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apacity/pride and all of social support factors affected significantly f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female and aptitude for students' major had a positive a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t was suggested that self-esteem, social supports, and aptitude for students' major should be considered in college management policy.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평택대학교

References

  1. 강미진.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민경, & 서보준. (2011).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지행정논총, 21(1), 75-112.
  3. 김경민. (2011). 대학생의 낙관성과 행복추구경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명숙. (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성남. (2005). 전문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의사결정 유형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소라. (2003). 부모애착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7. 김소영. (1996). 가족체계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소현. (2010). 중학교 진학 과정에서의 청소년기 자아존중감 변화 및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종단적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순희. (2002).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예정, & 서윤경. (2018). 대학생의 자기 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2), 847-866.
  11. 김원경. (2013).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정체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윤희. (2012). 남자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적응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정, 이정윤, & 오경자. (1992).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pp. 525-534). 제92차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14. 김종운, & 김지현. (2013).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9), 248-25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248
  15. 김지현. (2012).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충희. (1995). 해외귀국 청소년의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혜래. (2013). 청년기 후기 발달적 특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율성, 사회적유대감, 진로효능감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4, 85-105.
  18. 문은식. (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사회, 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2), 219-241.
  19.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박진영. (2013). 지역대학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원, 학업탄력성, 자아존중감의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47-75.
  21. 박은민. (2011). 대학생활적응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정민. (2015). 사회적지지가 지체장애인의 장애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지연. (2008).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희수, & 문승연. (2014).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28(3), 197-218.
  25. 서은선, & 정경아. (2015). 일 대학 안경광학과 재학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시과학회지, 17(3), 213-226.
  26. 서희채. (2005).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분리-개별화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심지연. (2013). 대학생의 지로의식성숙과 부모애착, 심리적 독립,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경완, 문인오, & 박숙경. (2013).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4(2), 15-27.
  29. 양현정. (2003).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 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여운철. (2003). 자아존중감이 학습된 무기력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31. 유정희. (2015). 대학의 삶에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2. 이용헌. (2015).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성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정애, & 이혜숙. (1998). 대학생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5(2), 34.
  34. 임민아. (2007).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정원식. (1986). 교사의 의무와 신분보장에 관한 법적 고찰.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정효주, & 정향인. (2012).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1(3), 188-196.
  37. 제문희. (2012).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차경호. (2004).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 상담연구, 9, 7-26.
  39. 차영희. (2017).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최송미. (1999). 한,중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중국 조선족, 중국 한족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최영희. (1983). 지지적 간호중재가 가족 지지행위와 환자 역할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최임숙. (2004). 성역할 정체감과 대인 갈등관리 및 학교적응 행동의 관계.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최해림. (199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증, 가정적 자아와의 관계. 상담가심리치료, 112, 183-197.
  44. 허영선. (2009).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Brownell, A., & Shumarker, S. A. (1984). Social support: An introduction to a complex phenomenon. Journal of Social Issues, 40(4), 1-9. https://doi.org/10.1111/j.1540-4560.1984.tb01104.x
  46. Castle, J. (2004). Persistence and the adult learner.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5(2), 166-170. https://doi.org/10.1177/1469787404043813
  47.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125.
  4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 of self-esteem. San francisco, LA: Freeman.
  49. Friedlander, L. J., Reid, G. J., Shupak, N., & Cribbie, R. (2007).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tress as predictors of adjustment to university among first-year undergraduat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8(3), 259-274. https://doi.org/10.1353/csd.2007.0024
  50.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 in perception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 Child Development, 63, 103-115. https://doi.org/10.2307/1130905
  51. Geist, C. R., & Borecki, S. (1982).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as a predictor of perceived locus of control and level of self-esteem.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8, 611-613. https://doi.org/10.1002/1097-4679(198207)38:3<611::AID-JCLP2270380325>3.0.CO;2-H
  52. Grant-Vallone, E., Reid, K. Umali, C., & Pohlet, E. (2003).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student support services on student's adjustment and commi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5(3), 255-274. https://doi.org/10.2190/C0T7-YX50-F71V-00CW
  53. Harter, S. (1985). Processes underling the construct, maintenance and enhancement of the self-concept in children. In J. Suts, & A. Greenwald (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Vol. 3). Hillsdale, NJ: Eribaum.
  54.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s. Boston, MA: Addison-Wiley Publishing Co.
  55. Lauu, E. Y. H, Chann, K. K. S., & Lamm, C. B. (2018).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outcomes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Self-esteem as a mediator.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9(1), 129-134. https://doi.org/10.1353/csd.2018.0011
  56. Li, S. T., Albert, A. B., & Dwelle, D. G. (2014). Parental and peer support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55(2), 120-138. https://doi.org/10.1353/csd.2014.0015
  57. Morrisan, T. L., & Morrison, R. L. (1978). Self-esteem, need for approval, and self-estimates of academic performance. Psychological Reports, 43, 503-507. https://doi.org/10.2466/pr0.1978.43.2.503
  58. Rosenberg, M. (1965). Social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59. Rogenberg, M. (1986). Self concept from middle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In J. Suts, & A. Greenwald (Eds.),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Vol. 3). Hillsdale, NJ: Eribaum.
  60. Tafarodi, R. W., & Swan, W. B. Jr. (1995). Self-liking and self-competence as dimension of global self-esteem: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Assessment, 65(2), 32-342.
  61. Thoits, P. A. (1986).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problem in studying social support as a buffer against life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3, 145-149. https://doi.org/10.2307/2136511
  62. Wetzel, J. L. (2009). The effects of first generation status on the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A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being,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college among a unique group of non-traditional students. Ph.D. dissertation in University of Detroit Merch.
  63. Wilson, W. R. (1967).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67(4), 294-306. https://doi.org/10.1037/h0024431

Cited by

  1. COVID-19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요인 vol.11, pp.3, 2021,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3.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