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lass sizes in Korea

전국 초등학교 재학생수 및 학급수 조사 연구

  • 윤용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08.07
  • Accepted : 2019.09.24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e results of a survey on 6,192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April 2019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number of classes. Second, 2,788 schools (45.0%) were small schools, 1,931 schools (31.2%) were suitably sized schools, and 1,473 schools (23.8%) were large schools among the 6,192 elementary schools surveyed.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small schools, suitably sized schools, and large schools by province. Among the 8 metropolitan cities, Seoul had the lowest percentage of small schools at 9.8%, followed by Incheon at 18.0%. Among the 9 provinces, Gyeonggi Province had the lowest rate at 26.8%, while Jeollanam-do had the highest rate at 87.2%. This means that adopting the same standard for abolition of small schools throughout different provinces can cause serious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each province.

우리나라의 인구감소 추세는 심각하여 전국적으로 학령아동의 급격한 감소로 인하여, 소규모학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비한 학교수용정책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전국 17개 시도 전체 6,192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2019년 4월 기준으로 조사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수와 학급수간의 상관관계를 단순회기분석 한 결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6,192개 초등학교중 소규모학교는 2,788개교(45.0%), 적정규모학교는 1,931개교(31.2 %), 대규모학교는 1,473 개교(23.8 %)로 나타났다. 셋째, 시도별 소규모학교와 적정규모학교, 대규모 학교 비율에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개 특별시나 광역시 중에서 소규모학교 비율이 가장 낮은 순위는 서울시가 9.8%로 가장 낮았고, 그 다음은 인천시로 18.0%를 차지하고 있다. 9개 도 중에서는 경기도가 26.8%로 소규모학교 비율이 가장 낮고, 전라남도가 78.0%로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는 강원도가 76.9%를 차지한다. 이는 시도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단지행정편의상의 획일적인 관리차원에서 동일한 잣대로 소규모학교 통폐합기준으로 삼는다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도별 교육여건을 반영할 수 있는 더욱 사려깊은 학교수용정책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외(2008). 초.중.고등학교 적정규모 학교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2. 윤용기(2019). 우리나라 적정규모 학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서울시 소규모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녹색환경연구, 18(1), http://doi.org/10.7743/kisee.2019.18.1.027.
  3. 윤용기(2018). 선형회기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재학생수와 개교년도간 상관성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7(2), http://doi.org/10.7743/kisee.2018.17.2.001.
  4. 이상민, 조창민(2016). 지역특성을 고려한 학교규모 적정화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녹색환경연구, 15(1), http://dx.doi.org/10.7743/kisee.2016.15.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