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Self-Assessment Form based on Certification of Barrier Free in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의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 자체평가서 분석에 관한 연구

  • 윤평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 이종국 (계명대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Received : 2019.05.13
  • Accepted : 2019.09.17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Based on basic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index of BF certification application for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BF certification implementation,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direction of the different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ndexes for school facilit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BF Reservation Certifi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tus and evaluation indexes of 30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sang region that included indicators of external and internal facilities, sanitary facilities, guidance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indicated that school facilities are insufficient to discriminate based on criteria and thus need to be updated for accurate grading. For school facilities that are open for anyone to use,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induced by improving standards and adjusting points for items that earn middle and lower grades.

본 연구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제도 시행에 따른 학교시설의 BF인증 적용사항에 대한 기본연구로 건축물 BF인증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BF 예비인증 자체평가서 분석을 통해 학교시설에 적합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인증 평가지표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경상권 내 30개교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기타시설의 현황과 평가지표를 분석한 결과 학교시설에 반영되는 항목은 배점 기준의 변별력이 다소 미흡하여 배점 기준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누구나 이용하기 편리한 학교시설을 위해 중 하위 배점을 획득한 항목에 대해 기준 개선 및 배점 조정으로 질적 향상을 이끌어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2010). BF인증제도 도입에 따른 추진 및 정책방향. 2010년 BF인증제도 세미나, 보건복지부, 국토해양부.
  2. 박신원(2009).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Barrier Free)의 개요와 인증현황. 토지와 기술(3).
  3. 서현자(2009). 무장애 실현을 위한 학교시설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규일(2012).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이삼이(2015). 장애물 없는 학교시설환경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대명(201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인증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현안분석(2).
  7.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
  8. 국회의안정보시스템(http://likms.assemblybill/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