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f a Clinical Study on Pharmacopuncture for Insomnia in China

중국에서의 약침을 활용한 불면증 치료 임상논문 연구동향

  • Song, Guneui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Dong-Seo Medical Center) ;
  • Lim, Gyomin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Dong-Seo Medical Center) ;
  • Lee, Yeogyeong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Dong-Seo Medical Center) ;
  • Song, Geumju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Dong-Seo Medical Center) ;
  • Park, Se-jin (Department of Oriental Neuropsychiatry, Dong-Seo Medical Center)
  • 송건의 (동서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 임교민 (동서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 이여경 (동서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 송금주 (동서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 박세진 (동서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Received : 2019.08.05
  • Accepted : 2019.09.2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trend related to pharmacopuncture for insomnia in China for further development of pharmacopuncture in Korea. Methods: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21 Chinese journals related to pharmacopuncture 2013~2019 sourced with the following keywords i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Shimian', 'Wuewei zhushe', 'Shuizhen', 'Xuewei yaowu zhushe', 'Yaowu xuewei zhushe', 'Xuewei zhuyao', 'Xuezhu', and 'Xueweiyaowu zhuru'.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1. A total of 21 papers were selected, comprised of clinical research and case reports. 2. Pharmacopuncture was often used for insomnia, and as the medicine of injection, Salvia, Gastrodin, Acanthopanax, Hominis Placenta, Qingkailing, Shenmai, Bozhi Glycopeptide, Fufang Danggui, Vitamin B12, and Chlorpromazine Hydrochloride were used. 3. In combined treatments, acupuncture, chiropractic, auricular sticking, and herbal medicine were used. 4. It was more effective compared to conservational acupuncture therapy. Conclusions: It was established that they have efficiency to treat insomnia with pharmacopuncture in China,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this study, so we need more research to identify new medicines for neuropsychiatric diseases.

Keywords

I. 서론

약침요법은 환자의 체질, 질병상태 등을 변증한 후 치료 경혈 및 체표 반응점에 특정 한약에서 정제 추출한 약물을 주사기로 일정량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의료 행위이다1). 적절한 혈위에 소량의 약물을 사용하여 약물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2).

한국과 중국은 그 형태는 비슷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기원에서 출발한 약침요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50∼6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여 80년대 다양한 기법 변화를 이루어 현재 한의학과 중의학의 대표적 치료수단 중 하나가 되었다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진료인원은 2015년 50만 5,685명에서 2017년 56만 855명으로, 3년 사이 약 10% 가량 증가했을 정도로 현대사회에서 주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질환이다4). 현대의학에서 수면위생 권장 및 수면제를 통한 약물치료를 시도하는데, 내성, 의존성 및 장기사용시 전체수면이 조각나는 등5) 부작용이 있을뿐더러 환자들 또한 수면제에 대한 거부감이 강한 것이 현실이다. 한의학에서는 기본적으로 침구 및 한약을 통하여서 불면증에 대해 치료하나 한약은 비용 면에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추가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관련 논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다만 한국에서의 불면증에 대한 약침치료 연구 현황은 5편6-10)에 불과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어서 수면장애 환자들에게 약침치료를 시행하였을 때의 효과를 쉽게 짐작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따라서 중국에서의 연구를 토대로 한의학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약침치료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II. 연구대상 및 방법

1. 논문의 검색

중국 전자 저널 검색 웹사이트인 중국학술정보원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失眠’ AND [‘穴位注射’ OR ‘水針’ OR ‘穴位药物注射’ OR ‘药物穴位注射’ OR ‘穴位注药’ OR ‘穴注’ OR ‘穴位药物注入’]을 Title로 검색하여 검색된 논문을 원문 다운로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Fig. 1. Flow chart of search results about chinese articles.

검색범위는 중의학에서의 최신 지견만을 간추리기 위하여 연도를 2013년부터 2019년까지로, 주 진단을 불면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약침치료를 시행한 모든 임상연구를 포함하였다. 논문에서 불면증 진단에 대한 언급이나 구체적인 불면증 진단기준을 제시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이 후 제목 및 초록 확인 후 임상논문이 아닌 경우, 중복된 논문, 약침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논문, 일차성 불면증이 아닌 논문을 제외하였다. 선별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Table 1).

Table 1. Analysis of Clinical Papers of Treatment on Patients with Insomnia in China

3. 논문 분석 방법

상기 방법으로 수집된 총 21편의 중국논문을 변증, 사용 약물, 사용혈위, 병행치료, 진단도구 및 평가도구, 연구의 질평가에 대해 각각 내용을 정리하여 중국의 최신 치료현황에 대해 개괄하였다.

III. 결과

1. 약침치료시 사용된 약물 및 진단별 사용 빈도 (Table 2)

Table 2. Number of Medicine Used for Acupoint Injection and TCM Diagnosis

Vitamin B12의 활용이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단삼, 천마가 각 3회, 자오가(刺五加)와 Chlorpromazine hydrochloride가 각 2회, 자하거(紫河車) 약침, 청개령(Qingkailing) 약침, 삼맥(Shenmai)약침, 박지당태(Bozhi Glycopeptide) 약침, 복방당귀(Fufang Danggui)약침이 각 1회 사용되었다. 양약제제인 Vitamin B12나 Chlorpromazine hydrochloride를 사용한 논문은 8편이었고, 한약제제를 사용한 논문은 13편이었다. 단일약물 혹은 단일한약재를 사용한 경우는 18편이었고, 2개 이상의 성분이 사용된 논문은 3편이었다.

2. 약침치료시 사용된 혈위(Table 3)

Table 3. Number of Acupoint Used for Acupoint Injection

안면혈을 사용한 연구가 7편으로 가장 많았다. 단일 혈위를 사용한 논문은 6편이었고, 2개 이상의 혈위를 조합하여 치료한 논문은 14편이었다. 1편의 논문에서는 혈위가 언급되지 않았다.

3. 약침치료와 병행된 치료(Table 4)

Table 4. Therapeutic Methods Used with Acupoint Injection

단순 침치료와 병행한 경우가 10회로 가장 많았다. 약침치료만 활용하여 치료한 논문이 5편으로 그 다음으로 높은 빈도를 차지했다.

4. 진단기준 및 평가도구(Table 5)

Table 5. Number of Instruments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21편의 논문에서 주로 사용한 현대의학 진단기준은 중국 정신질병 분류방안 및 진단기준(Chinese Classification of Mental Disorders, CCMD-3)으로 총 10편의 논문에서 사용하였고, 국제질병사인분류 제 10판(ICD-10)의 경우 2편의 논문에서 사용하였다. 중의학 진단기준으로는 中医病证诊断疗效标准 7편, 中药新药临床研究指导原则 3편, 中医证候规范 1편 순서로 다용하였다. 7편의 논문에서는 진단 기준을 확인할 수 없었다. 평가도구로는 대부분의 논문에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를 사용하였다. 총 14편의 논문에서 PSQI를 사용하였다. 4편의 논문에서는 中医病证诊断疗效标准를 사용했고 그 중 1편에서는 수면자체등급(Self-Rating Scale of Sleep, SRSS)를 병행해서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다. 1편은 中药新药临床研究指导原则을 이용하였다. 5편의 논문에서는 평가도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5. 연구의 질 평가(Table 6)

Table 6. Checklists of Articles about van Tulder Scale

21편의 논문 중 총 17편의 논문이 RCT 연구였다. van Tulder scale은 코크란 연합에서 권장하고 있는 척도로 11개 문항에서 예/아니오/모름으로 판단하며 5점 이상일 경우 문헌의 질이 높다고 판단한다. 6개의 논문12,20,21,24,28,29)이 5점이었고, 11개의 논문11,13-19,21,27)은 4점이었다. 모든 논문이 무작위 배정에 대해 언급하였다. 다만 전체적으로 맹검 여부와 중도포기 및 탈락에 대한 언급이 없어 전부 높은 점수를 획득하지는 못했다.

IV. 고찰

국내에서 약침치료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명확한 기원을 알 수는 없지만 몇 가지 자료에서 그 기원을 유추해 볼 수는 있다. 1914년 권업신문에서 약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었고1), 김일훈은 『神藥』에서 삼보 주사, 삼보보혈 주사 등을 제조하여 사용한 것으로 주장하였다3). 이를 토대로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 서양에서 주사기가 보급되기 시작했을 무렵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후 1960년대 남상천, 김한성이 본격적으로 약침연구를 시작하였고32,33), 1980년 김정언이 팔강약침을 소개하면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게 되었다34). 이후 1990년 설립된 ‘대한약침학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와 임상적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중국에서의 약침요법은 국내와는 그 기원을 약간 달리하는데, 마왕퇴 백서 중 『養生方』과 『雜療方』에서 봉독으로 경혈을 자극하는 치료법과 자극성 약물을 경혈이나 환부에 붙여 치료하는 천구요법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1). 현재와 같은 형태의 약침요법은 1940년대 팔로군 야전위생부 위생재료창에서 개발된 시호 주사에서 처음 확인할 수 있으며35), 1950년대 마취제를 경혈에 주입하는 방식이 일부 통증성 질환 치료에 유효하다는 것이 보고된 이후 연구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1).

한국과 중국은 기원은 다를지 몰라도 비슷한 시기에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여 현대에 들어서는 한의학과 중의학의 다양한 치료수단 중 하나로써 자리하게 된다. 다만 한중 양국의 발달배경, 발달과정 및 의료제도의 차이로 인하여 다른 형태를 지니게 된 것도 사실이다3).

현대사회에서는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쉽게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통계적으로도 2015년에 수면장애를 호소하여 병원을 방문한 인원은 약 51만명이었으나 2017년에는 약 56만명으로 약 10% 가량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면장애는 이처럼 흔한 질환에 속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체대사, 기분, 인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다. 특히 수면-각성장애의 하나인 불면증은 인구의 1/3이 증상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수면장애에서 가장 흔한 편이다. 실제로 10∼15%는 낮 동안의 장애를 경험하며, 6∼10%는 불면장애의 진단기준에 맞는 증상을 가진다5). 따라서 저자는 현대사회 전반에 걸쳐 빈발하고 신체, 정신적 질환을 야기하여 사회적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불면증에 대해 더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효율적인 치료방법을 모색하고 치료방법의 다양화를 추구하기 위해 중의학의 약침치료 현황을 고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은 총 21편으로 연도별로는 2013년 3편, 2014년 5편, 2015년 4편, 2016년 4편, 2017년 3편, 2018년 2편, 2019년 1편으로 큰 편차는 존재하지 않았다.

사용약물을 살펴보면 양약제제와 한약제제의 사용에 제한 없이 다양한 약물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Vitamin B12를 사용한 논문이 6편으로 가장 많았다. 단삼, 천마 약침을 사용한 연구가 각 3편, 자오가 약침, Chlorpromazine hydrochloride를 사용한 연구가 각 2편, 자하거 약침, Qingkailing 약침, Shenmai 약침, Bozhi Glycopeptide약침, Fufangdanggui 약침을 사용한 연구는 각 1편씩이었다. 약침제제를 2개 이상 복합적으로 사용한 논문은 존재하지 않았고, 모두 환자 당 1 종류의 약물만을 사용하였다. 약침제제의 구성에 있어 단일성분을 사용한 경우는 17편, 2개 이상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는 4편이었다(Table 1). 사용된 약물의 종류는 중국에서의 약침치료 현황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약침치료에 대한 개념이 한국과 다름을 알 수 있는 부분인데, 현행 의료제도 상 한국에서는 VItamin B12나 Chlorpromazine과 같은 양약제제를 사용하는 것은 불법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치료방법이다. 양약제제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단삼과 천마를 사용한 연구가 각 3편으로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본초학적으로 위 약침의 대표성분을 살펴볼 때, 단삼의 경우 고한(孤寒)한 성미(性味)를 가지고 심(心)과 간(肝)에 귀경(歸經)하여 활혈거어(活血去瘀), 제번안신(除煩安神)의 효능이 있어 번조불안(煩燥不安)하거나 심번실면(心煩失眠)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단삼제제를 사용한 논문에서는 심비양12,15)와 구병입락한 경우30)에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천마는 감평(甘平)하고 간(肝)에 귀경(歸經)하는데, 평간 식풍(平肝熄風)하는 효능이 있어 Xiao의 연구25)에서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인한 불면에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오가는 신고(辛苦)하고 온(溫)한 성미를 지니고 있고 심(心),비(脾),신(腎)에 귀경하는데 보신(補腎), 익기안신(益氣安神), 활혈통락(活血通絡)하는 효능이 있다. Su의 연구11)에서는 양허(陽虛)에 사용하였고, Bao의 연구27)에서는 만성 허증(虛證)에 사용하였다. 자오가는 한국에서 주로 거풍제습(去風除濕)약으로 쓰이는 오가피와 같이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약재로 비록 효능과 주치는 미세하게 다르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좀 더 범용되는 약재인 오가피를 통한 약침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Qingkailing 약침은 담즙, 진주모(珍珠母), 치자(梔子), 수우각(水牛角), 판람근(板藍根), 황금(黃芩), 금은화(金銀花)로 이루어진 복합제제로 청열해독(淸熱解毒), 진정안신(眞靜安神)의 효능이 있다. Zhang의 연구14)에서는 담열로 인한 불면증에 사용하여 유의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henmai 약침은 홍삼(紅蔘)과 맥문동(麥門冬)으로 구성된 한약제제로 익기고탈(益氣固脫), 양음생진(養陰生津), 생맥(生脈)하는 효능이 있다. Li19)는 삼맥 약침을 간신음허(肝腎陰虛)로 인해 발생한 불면증에 대해 사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Bozhi Glycopeptide 약침은 GC1 균주를 액상 발효 배양하여 얻은 Gandoderm a capense (Lloyd) Teng 건조 균사체 분말에서 추출한 수용액의 일종으로, 다당류 및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Tong18)은 심신불교로 인한 불면증 환자에게 완과침과 더불어 박지당태 약침을 투약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유효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ufangdanggui 약침은 당귀(當歸), 천궁(川芎), 홍화(紅花)를 복합하여 생산한 약침제제로 활혈통경(活血通經), 거어지통(去瘀止痛)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Xu24)의 연구에서 특별히 변증에 대한 언급이 없으나 연구에 참가한 환자들의 평균 유병기간이 약 100개월인 것으로 보아 만성 불면증 환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파악되어 앞서 분석한 단삼 약침과 유사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예상하였다. 다만 1편의 논문만 확인되어 단삼 약침과의 추가적인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하거는 감함(甘鹹)하고 온(溫)한 성미를 지니고 폐(肺), 간(肝), 신(腎)에 귀경하여 보기(補氣), 양혈(養血), 익정(益精)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주로 만성질환이나 허증에 사용하는 약재인데, 실제로 또한 만성 불면증 환자에게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28).

중국에서의 약침치료에 쓰이는 약물을 분석한 결과 중국에서는 단순 대증요법으로 약침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변증에 따라 다른 종류의 약침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침 치료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한 혈위는 안면혈로 21편의 논문 중 7편에서 사용하였다. 족삼리와 삼음교가 각각 5회, 4회로 그 다음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혈위였다. 안면혈은 단일혈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6편의 단일혈위연구 중 3편23,25,28)에서 안면혈을 사용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다. 나머지 3편의 연구에서는 풍지, 풍륭, 풍부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안면혈은 경외기혈로 진정효과를 가지고 있어 불면증에 주로 쓰이는 혈위이다. Xian12), Fu15), Du16), Wang23), Xu24), Xiao25), Bao26), Kong28)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안면혈은 변증에 관계없이 두루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혈위 또한 변증에 대응되는 혈위가 따로 있다기보다는 진정, 최면효과가 있는 혈위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배수혈의 사용에 있어서는 변증과 유관하게 사용하였는데, Zhang14)의 연구에서는 담열내요(痰熱內搖)로 변증하여 심수, 비수, 풍륭을 사용하였고, Tong18)는 간신음허(肝腎陰虛)에 간수와 신수를, Bao20)는 심신불교(心腎不交)형 불면증에 심수와 신수를 사용하였다. Zhang22)은 사화혈이라고도 불리는 격수와 담수를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에 사용했고, Xu24)는 각 변증에 맞게 배수혈을 조합해서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1편의 논문 중 16편에서 약침치료에 추가적인 치료법을 병행하여 치료를 실시하였다. 주로 침치료를 병행한 경우가 많았다. Table에서는 침치료와 이침을 따로 분류하였으나 이침치료까지 침치료에 포함한다면 총 12편에서 침치료를 병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1편의 모든 논문에서 약침치료가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논문들의 대부분이 약침치료 단일로 치료를 한 논문이 아니라는 점에서 단일효과에 대한 입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직 5편의 논문에서 약침만 사용하여 치료를 시행하였는데, 그 중 3편은 임상연구 논문이었다. Jin13)은 Chlorpromazine hydrochloride 혈위주사와 Benzodiazepine을 비교하였고, Zhang21)은 Chlorpromazine Hydrochloride과 Diazepam을 비교하여 Chlorpromazine 주사의 우월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Zhang14)은 청개령 약침과 Alprazolam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약침의 단일효과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논문이었지만 이 중 2편이 양약제제이고 오직 1편만이 한약제제를 이용한 연구여서 그 타당성이 미흡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위의 분석 결과를 살펴본 바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양약제제와 한약제제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약물을 혈위에 주사하여 불면증을 치료하고 있으며, 한약제제의 경우 변증에 따라 적합한 약물을 선택하여 치료하고 있었다. 혈위에 있어서는 안면혈을 위주로 하여 진정, 최면효과가 있는 혈을 선택하거나 변증에 따라 배수혈에 약물을 주입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었다. 주로 침치료와 함께 병행치료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약침 단독사용으로도 유의한 효과를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불면증에 관하여 주로 사결불수(思結不睡), 영혈부족(榮血不足), 음허내열(陰虛內熱), 심담허겁(心膽虛怯), 담정울결(痰涏鬱結), 위중불화(胃中不和) 등의 변증을 사용하여 어혈과의 관련성이 크게 존재하지 않지만, 주로 어혈약으로 사용하는 단삼과 자오가를 불면증에 사용하는 것이 주목할 만한 부분이었고, 이를 토대로 한국에서의 약침 개발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계점으로는 대다수의 논문이 치료방법으로 약침 단일 사용이 아닌 기타 치료와 병행하여 약침의 독립적인 효과를 알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 양약제제를 이용한 약침치료는 한국에서 실시하기에 의료제도상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본 논문의 한계점으로는 검색엔진을 CNKI로 제한하였고, 7개년의 최신지견만을 확인하여 과거에 이미 입증되었을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해 조사하지 못하여 중의학 전반에서의 불면증에 대한 약침치료의 근거를 확고한 수준으로 입증하기는 어렵다. 이를 보충하여 추가 연구를 통해 불면증을 비롯한 정신질환에 적용할 수 있는 약침제제의 개발 및 응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V. 결론

중국에서 최근 7년 간 수면장애의 치료를 위해 약침치료를 사용한 논문 21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국에서 약침치료를 통해 수면장애를 치료하고 있고,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중국에서는 수면장애의 치료를 위해 주로 단삼, 천마 등의 한약제제와 Vitamin B12와 같은 양약제제를 다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 경혈선택에 있어 안면혈을 주로 사용하였고, 족삼리와 삼음교도 빈도가 높게 사용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국내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침제제 외의 추가적인 제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중국에서 높은 빈도로 활용되고 있는 천마, 단삼제제를 시작으로 다양한 약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References

  1. Korean Pharmacopuncture Institute. Pharmacopuncturology. 1st rev. ed. Seoul:Elsevier Korea. 2000:3-5.
  2. Lee MH, Son IC. Introduction to the Aqua - Acupuncture Therapy and problem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1998;15(2):511-8.
  3. An SW. A reference to the Original Source of Herb-Acupuncture in Methods. Journal of Yakchim(Korean Herb-Acupuncture) Institute. 1997;1(1):87-102.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opulation Statistics about Insomnia. Available from:URL: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Info.do.
  5. Min SG. Modern Psychiatry. 6th ed. Iljogak. 2017:464-70
  6. Lee JH, Baek JY, Jung HS, Park SD. A clinical study of sanjoincho-induced injection on insomnia patient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0;11(2):79-86.
  7. Yoon HS, Moon JH, Jeong KS, Lee JH, Baek JY, Ahn HJ.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ominis placenta-induced injection on insomnia patient.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2004;21(3):99-105.
  8. Lee YH. The clinical review of samgi-halleak pharmacopuncture effects for insomnia & fatigue. A thesis on a master's degree at Dongeui University. 2012.
  9. Seo DK, Shin SY, Kim SY, Seo JC, Seo YJ, Park JH, Yoon HM, Jang KJ, Song CH, Kim CH. Clinical research of the effects of sumsu(Bufonis venenum) pharmacopuncture on insomnia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sleep disorder.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2015;32(3):175-83.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5049
  10. Lee DG, Yoon JM, Choe YE, Jung C. A case report on patient with insomnia treated with CM innumo-pharmacopuncture. Journal of Korea Immuno-yakchim Society. 2017;6(1):49-59.
  11. Su J, Gao X, Yuan HC, Xing YL, Dong SQ.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Chiropract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somnia with Yang Deficiency Type. Information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31(2):90-3.
  12. Xian ML.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for Insomnia with Cardiacsplenic Asthenia Research Protocol for Clinical Trial.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4.
  13. Jin W. Clinical Efficacy of Small Doses of Chlorpromazine Hydrochloride Acupoint Injection Therapy in Neurasthenia, Insomnia. China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2015;7(12):146-7.
  14. Zhang CE, Mou HS, Kong QW. Clinical observation of acupoint injection with Qingkailing in treating insomnia of phlegm-heat type. China's Naturopathy. 2018;26(11):30-1.
  15. Fu B, Liu MX. Clinical research of treatment of heart and spleen deficiency type insomnia by acupuncture combined with acupoints injection. Clinical Journal of Chinese Medicine. 2015;7(30):21-3.
  16. Shi RF. Clinical Research of Acupuncture Combined with Auricular Point Sticking in Treating Insomnia. Acta Chinese Medicine. 2014;29(1):143-4.
  17. Du Y, Lu MN, Zhang XD, Li CJ, Shen SY. Clinical Study on Insomnia Treated by 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Spine Date Seed Decoction. Journal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8;34(7):787-8.
  18. Tong XQ. Clinical Study on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in Treating Insomsomnia of Heart-Kidey Noninteractionpattern. Heilongjia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7.
  19. Li PP. Clinical Study of Acupoint Injection of Shenmai Cooperating with Acupuncture for Treatment of Liver and Kidney Yin Deficiency Type of Insomnia.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4.
  20. Bao JL. The Clinical Curative Effect Observation of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Treated the Insomnia of Kidney/Heart Disharmony. Guangxi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7.
  21. Zhang SL. The Clinical Efficiency of Small Dose of Acupoint-Injection Therapy with Chlorpromazine Hydrochloride in the Treatment of Neurasthenia Insomnia. Journal of Mathematical Medicine. 2016;29(8):1218-9.
  22. Zhang PX. The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of Heartspleen Deficiency Type Insomnia by Acupuncture Point Injection on Si Hua Point.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2016.
  23. Wang SH, He ZW, Bi YF. Treatment of 60 Cases of Insomnia by Injection of Gastrodin Injection at Anxie Point. China's Naturopathy. 2016;24(11):32.
  24. Xu WG. Therapeutic effect of wrist-ankle acupuncture combined with acupoint injection on insomnia. China's Naturopathy. 2015;23(07):27-8.
  25. XiaoXiao Y, Hu SL, Ping GX. Acupuncture combined with acupoint injection of Anmian acupoint for treatment of intractable insomnia. Hun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ses Medicine. 2015;31(5):109-10.
  26. Wei B, Teng DM. Treatment of 60 Cases of Insomnia by Acupuncture Combined with Drug Acupoint Injection. Journal of Practic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29(2):103.
  27. Bao ZW, Wu YX.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Chiropractic for 60 cases of intractable insomnia. Hena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34(5):945-6.
  28. Kong XF. Observation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acupuncture on intractable insomnia. China's Naturopathy. 2017;25(12):25.
  29. Jia SJ. Clinical Observation of Acupuncture and Chiropractic Restitution Combined with Gastrodin Acupoint Injection on Treating Cervical Insomnia. Journal of Sichuan of Traditional Chinsese Medicine. 2013;31(9):141-3.
  30. Chang Y. Acupoint injection combined with TCM syndrome differentiation for insomnia. China Health Care & Nutrition. 2013;04(上):2088.
  31. Huang C, Huang Y, Wei JY, Yan Q. Auricular Application Pressure Combined with Feng Long Acupuncture Point Injection of Vitamin B12 Around Inside in the Nursing Research of Insomnia with Heat Inside Winding Type. World Latest Medicine Information. 2019;19(28):20,24.
  32. Nam SC. Meridian. Daegu:Sin-il Munhwasa. 1967:7-31.
  33. Kim HS. An Experimental Study of Analgesic Effect of Zizyphispinosi Semen. A dissertation on Master's Degree of Konkuk University. 1978.
  34. Kim JE. Miraculous Pharmacopuncture II. Seoul :Kumkang. 1990:18.
  35. Shi HS, Feng JX. Chinese medicine injection creation source. Chinese Journal of Medical History. 1995;25(2):107.

Cited by

  1.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earch for Pharmacopuncture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Herbal Injections vol.38, pp.4, 2021, https://doi.org/10.14406/acu.20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