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of SNS Informativeness, Playfulness and Reliability on Purchase Inten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SNS의 정보제공성, 유희성, 신뢰성이 구매의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예정 (위덕대학교 경영학과) ;
  • 박상봉 (동의대학교 상경대학 회계학과)
  • Received : 2019.07.12
  • Accepted : 2019.09.03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SNS informativeness, playfulness and reliability on purchase intention and the effect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doing so,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enha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consequently increase th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various SNS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efficiently manage consume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dult men and women who are in their 20s through 60s, actively use SNS, and primarily reside in Daegu and Gyeongbukdo. The 4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1, 2018, of which 364 (91%)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36 of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unfaithful or unresponsive. Basic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4.0,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and finally hypotheses were tested by perform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ll of the SNS informativeness, playfulness and reliability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on business performa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Companies should come up with a strategic SNS marketing plan to encourage consumers to enhance the willingness to purchase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SNS, and to make actual purchases, thereby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본 연구는 SNS의 정보제공성, 유희성, 신뢰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분석 함으로써 SNS를 활용하는 소비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SNS 홍보마케팅 전략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따라 대구 및 경북에 거주하는 SNS를 사용하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는 2018년 9월 15일에서 10월 1일에 걸쳐 400부를 배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이나 무응답을 한 설문지 36부를 제외한 나머지 364부(91%)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SPSS 22.0과 AMO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포함한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및 타당성 z분석을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SNS의 정보제공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의 유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SNS의 신뢰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구매의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에서는 전략적인 SNS마케팅 계획을 세워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해당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구매의도를 높이고 실제 구매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비송(2013), "외식기업의 SNS특성이 기술수용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구진규(2012), "SNS 특성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제품 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보미(2015), "공인중개업자의 SNS 마케팅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인중개업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동태(2013), "SNS 태도와 지각된 위험이 소셜커머스 정보확산에 미치는 영향: 항공사 소셜미디어 활용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1(2), 85-101.
  5. 김인기.전인오(2015), "소셜미디어 특성이 경영성과 및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시니어기업의 고객.마케팅 관리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3(10), 195-207.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195
  6. 박동수(2000), "창업 소상공인 개인특성과 사업성과의 관련성",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경영논집, 34(3), 95-115.
  7. 박상희(2009), "브랜드 블로그 특성이 블로그 몰입과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8. 박혜림(2015), "네일샵의 SNS 마케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9. 방선이(2008), "온라인 구전정보가 상표태도 및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웹실험설계를 통한 상품사용후기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10. 서문식.안진우.이은경.오대양(2009), "디지털 컨버전스제품 구매회피에 관한 연구: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과 혁신저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270-284. https://doi.org/10.5392/JKCA.2009.9.1.270
  11. 양묘(2010), "브랜드 블로그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펜션 브랜드 블로그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대학원.
  12. 오영석.김사혁(2004),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브랜드 마케팅전략", 정보통신정책, 16(12), 20-37.
  13. 윤대홍(2019), "구전 제약요인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 SNS 광고를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8(2), 209-223.
  14. 이상범(2016), "온라인 구전 정보특성과 커뮤니티 특성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15. 이소현(2012), "SNS 이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의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셜마케팅 관점",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대학원.
  16. 장삭(2012), "SNS 특성이 온라인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17. 조유혜(2017), "호텔기업의 SNS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18. 천덕희.이현주(2012), "여행업의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이 신뢰와 구전수용 및 확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4(1), 83-100.
  19. Boyd, D. M. and Ellison, N. B.(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210-230.
  20. Brown, J. J. and Reingen, P. H.(1987), "Social ties and word-of-mouth referral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50-362.
  21. Chen, Qimei and William D. Wells(1999), "Attitude toward the Sit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5), 27-54.
  22. Engel, J. F. and Blackwell, R. D.(1982), Consumer Behavior, 4th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23. Fogg, B.J. and Tseng, H.(1999), "The elements of computer credibility", Proceedings of CHI'99,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80-87.
  24. Granovetter, M. S.(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360-1380.
  25. Henderson, J. C., Plugging into Strategic Partnerships(1990), "The Critical is Connection", Sloan Management Review, 3113, 7-18.
  26. Newman, J. W. and Staelin, R.(1972), "Prepurchase Information Seeking for New Cars and Major Household Applianc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3): 249-257. https://doi.org/10.1177/002224377200900302
  27. Ogawa, K.(2010), Social Media Marketing, Japan: Softbank Creative Corp.
  28. Punj, G. N. and Staelin, R.(1983), "A Model of Consume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for New Automobil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4):366-380. https://doi.org/10.1086/208931
  29. Ray, M. L.(1978), Attitudes in Consumer Behavior, Prentice-Hall, New Jersey.
  30. Richter, J. H. and Lunze, J.(2009), "$H{\infty}$-based virtual actuator synthesis for optimal trajectory recovery", IFAC Proceedings Volumes, 42(8): 1587-1592. https://doi.org/10.3182/20090630-4-ES-2003.00259
  31. Smith, R. and Swinyard, W.(1982), "Information Response Models: An Integrated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46(1): 81-93. https://doi.org/10.1177/002224298204600108

Cited by

  1. SNS 마케팅과 구매의도 간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역할에 대한 실증분석 vol.29, pp.2, 2020, https://doi.org/10.5859/kais.2020.29.2.111
  2. A Study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of Short Clip Application: Focusing on Chinese TikTok Users vol.22, pp.1, 2019, https://doi.org/10.9728/dcs.2021.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