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oject Learning of Pre-service Teachers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초등예비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9.03.28
  • Accepted : 2019.08.20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service teacher's maker project learning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This study established an eight-week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from March to April 2019,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med a research group of 75 students in three of their advanced classes who are attending the second semester of B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1'. The experimental treatment of research groups was conducted by the process of producing creative outputs through training of manufacturers.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study group was a process of producing creative output through maker education. The theme was set up to create creative output by group, worked with the main tool, 3D pen, and utilized the recycling material. When the creative output is completed, it is announced by presenting the actual product in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ject learning by pre-service teachers had an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project learning by pre-service teachers had an effect on creative personality. Third, pre-service teachers was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project and responded positively to the students' percep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에게 메이커 교육을 도입한 프로젝트 학습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4월까지 8주간의 실험처치 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B 교육대학교 2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고 '과학과 교재연구 1' 강좌를 수강하는 심화과정 3개 반 75명의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집단의 실험처치는 메이커 교육으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의 수업이 이루어졌다. 모둠별로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기 위해 주제를 설정하였으며, 주 도구인 3D펜으로 작업을 하였고 리사이클 재료를 활용하였다. 창의적인 산출물이 완성되면 모둠별로 실물을 제시하면서 발표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프로젝트 학습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프로젝트학습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는 프로젝트 학습에 대해 흥미를 느끼며 인식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정(2018). 메이커 교육(메이커 교육 Education)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경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인애, 김명기(2017). 메이커 활동(메이커 교육 Activity)의 초등학교 수업적용 가능성 및 교육적 가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487-515.
  3. 권옥희(2003).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권진, 류상희(2006). 실과 중심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4), 51-60.
  5. 김근곤, 윤진식, 최경윤, 박선영, 배진희(2008). 전공 간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252-261.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252
  6.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4(3), 364-371.
  7. 김용익(2018). 메이커교육 이론의 초등실과 적용 가능성 탐색. 실과교육연구, 24(2), 39-57.
  8. 김진선(2004).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마대성(2018). 예비교원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9(1), 131-135.
  10. 손성현, 최성봉(2012). 중학교 과학과 IPER 수업과 PBL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124-133. https://doi.org/10.15523/JKSESE.2012.5.1.124
  11. 안중덕(2013). MeFOT 기반 독서활동과 과정중심 독서지도가 청소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창의인성연구, 2(2), 25-40.
  12. 이미영, 최지연(2009).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243-260.
  13. 이상석, 황미자(2007).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지, 41(3), 299-310.
  14. 이용섭(2015). 초등예비교사의 생태동아리 멘토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78-386.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3.378
  15. 이용섭(2018).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03-2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203
  16. 이재호, 장준형(2017). 과학영재용 소프트웨어 코딩기반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영재교육연구, 27(3), 331-348. https://doi.org/10.9722/JGTE.2017.27.3.331
  17. 정모아(2014). 초등사회과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조상기, 전병만(1999). 프로젝트 중심 영어 교수-학습 모형이 영어학업 성취와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영어교육학회지, 4(2), 101-125.
  19. 조영남, 박순자(2002). 교과 통합을 통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23(2), 101-117.
  20. 최민준(2019). 메이커교육을 통한 공동체역량 증진방안 연구: 유니버설 디자인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22. 한승희(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81-101. https://doi.org/10.4275/KSLIS.2008.42.3.081
  23. 한조은, 박세희, 정보람, 김종원, 이선경(2015). 프로젝트기반 에너지기후 변화 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경험과 역량. 에너지 기후 변화교육, 5(2), 53-67.
  24. Aslan, S., & Reigeluth, C. M. (2016). Examining the challeng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Phi Delta Kappan, 97(4), 63-68. https://doi.org/10.1177/0031721716641652
  25. Aslan, S., Reigeluth, C., & Thomas, D. (2014). Transforming education with self-directed project-based learning: The Minnesota New Country School. Educational Technology, 54(3), 39-42.
  26. Du, F. (2012). Using study plans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mplications from a pilot project. College Student Journal, 46(1), 223-232.
  27. Horsley, T., O'Neill, J., & Campbell, C. (2009). The quality of questions and use of resources in self-directed learning: Personal learning projects in the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29(2), 91-97. https://doi.org/10.1002/chp.20017
  28. Kilpatrick, W. H. (1918). The project method: the use of the purposeful act in the educative proc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9. Pitre, C. C., Curtis, A., Golash, I., Kuzmanich, K., & Wenzl, G. (2008). Impact of self-directed group study projects on social justice teachers' induction-year experiences. AILACTE Journal, 5, 7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