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Leaders Matter? Effects of The Governor Vacancy on the Regional Economy

리더는 중요한가? 광역단체장 부재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9.11.21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causal effects of the governor vacancy on the regional economy, exploiting the case of exogenous governor vacancy in Korea. We find that the governor vacanc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regional economy by lowering the employment rate and reducing the amount of credit card expenditures. Negative effects are more pronounced among vulnerable groups of the labor market such as women and aged 20~29 and 50~59. In addition, negative effects vary by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or. Negative effects of the governor vacancy on the regional economy show empirical evidence suggesting that leaders do matter.

조직의 성과를 결정하는 데 리더가 중요하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지만, 리더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연구는 많지 않다. 리더의 역할 이외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면 리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인과효과를 제대로 추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광역단체장이 외생적으로 궐위(闕位)되는 자연실험적 상황을 활용해, 광역단체장의 부재가 지역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인과효과를 추정한다. 광역단체장의 부재로 인해 해당 지역은 고용률이 하락하고, 신용카드 사용액이 감소하는 등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런 부정적인 효과는 특히 여성과 청년층 및 장년층 등 취약계층의 노동시장에서 좀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광역단체장의 소속 정당 및 재선 여부, 궐위 사유 등 특성에 따라 단체장 부재 효과는 이질적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 광역단체장의 부재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광역단체장이 지역경제 발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며, 리더가 중요하다는 일반적 인식에 대한 하나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호. 지역경제 성장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42권 1호 (2008. 03): 365-381.
  2. 김광구.김예승.홍성우. 기초자치단체장의 경력유형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비교정부학보 13권 2호 (2009. 12): 87-112.
  3. 김애진.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요인이 지방채 발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논집 22권 1호 (2017. 4): 161-193.
  4. 김예승.김광구. 지방자치단체장 선택과 지역경제 발전 관계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7권 2호 (2010. 12): 149-170.
  5. 문시진.이기동.이우형. 지방재정지출이 지역의 경제성장, 고용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제연구 34권 2호 (2016. 5): 33-59.
  6. 박완규. 지방자치단체의 경제력 격차에 대한 분석: GRDP 대리변수를 이용하여. 지역연구 26권 4호 (2010. 12): 75-101.
  7. 윤광재.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성향과 세출예산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서울시예산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2권 3호 (2015. 12): 217-237.
  8. 이상휘. 한국 지방자치단체장 보궐선거에 관한 고찰. 한국동북아논총 21권 0호 (2001. 12): 189-213.
  9. 이성철.권영주. 로컬 거버넌스와 지역성장의 관계 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1권 4호 (2017. 12): 69-91.
  10. 이종찬.정기헌. 지방재정지출 변동성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재정정책논집 19권 2호 (2017. 6): 23-46.
  11. 임성일. 지역 간 경제력 격차문제에 대한 접근: 격차측정기준과 정부간 재정이전제도를 중심으로. 응용경제 15권 2호 (2013. 9): 175-210.
  12. 정원섭. 자치단체장의 역할정립을 위한 리더십 연구. 한국지방행정학보 6권 2호 (2009. 12): 183-206.
  13. 최성락.노우영.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사회복지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단체장 이전 경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7권 1호 (2007. 6): 115-131.
  14. 최항순. 광역자치단체장의 바람직한 역할에 관한 연구: 주요단체장들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0권 2호 (2006. 12): 95-127.
  15. 하혜영. 자치분권 로드맵의 내용과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1414호 (2018. 1): 1-4.
  1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성공한 단체장 실패한 단체장. 1995.
  17. 황진영.이종하. 우리나라 조세정책 변화와 고용창출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 31권 1호 (2013. 3): 69-95.
  18. Bertrand, M., and Schoar, A. "Managing with Style: The Effect of Managers on Firm Policie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8 (4) (November 2003): 1169-1208. https://doi.org/10.1162/003355303322552775
  19. Besley, T., Montalvo, J., and Reynal-Querol, M. "Do Educated Leaders Matter?" Economic Journal 121 (554) (August 2011): 205-227. https://doi.org/10.1111/j.1468-0297.2011.02448.x
  20. Chattopadhyay, R., and Duflo, E. "Women as Policy Makers: Evidence from a India-Wide Randomized Policy Experiment." Econometrica 72 (5) (September, 2004): 1409-1443. https://doi.org/10.1111/j.1468-0262.2004.00539.x
  21. Fair, R. "The Effect of Economics Events on Votes for President."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0 (2) (May 1978): 159-173. https://doi.org/10.2307/1924969
  22. Jones, B., and Olken, B. "Do Leaders Matter? National Leadership and Growth Since World War II."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0 (3) (August 2005): 835-864. https://doi.org/10.1093/qje/120.3.835
  23. Londregan, J., and Poole, K. "Poverty, the Coup Trap, and the Seizure of Executive Power." World Politics 42 (2) (January 1990): 151-183. https://doi.org/10.2307/2010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