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lit Households and Relative Poverty

분가와 상대적 빈곤

  • Received : 2019.11.15
  • Accepted : 2019.12.2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splitting and offers the implication on relative poverty. Household splitting is more likely among high-income households, and also ensu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job holders and household income, which indicate that household splitting has the nature of a normal good. A counter-factual analysis suggests that the relative poverty rate ould have been only one-third to one-eighth of the actual rate among the old households if they had lived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cial policy toward the old households without due consideration on the children's financial capability is quite likely to bring about the inefficiency of wasting tax money on essentially non-poor households.

본 연구는 분가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 빈곤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분가 확률은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높으며, 분가 이후 취업자 및 소득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즉, 분가는 소득이 높은 가구에서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정상재(normal goods)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 가구에 대한 역사실적 분석(counter-factual analysis) 결과, 상대 빈곤에 처한 노인 가구들 가운데 최근 분가한 자녀세대의 부양능력을 감안할 경우 빈곤의 규모가 1/3~1/8까지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양의무 조항이 삭제된 빈곤 정책은 실질적으로 빈곤하지 않는 노인들에게 정부지출이 집중되는 비효율을 초래할 우려도 높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원식.김대일. 소비에서의 규모의 경제와 청년층의 독립 선택. 한국인구학 42권 2호 (2019. 6):51-82.
  2. 김대일. 가구 구성의 불평등 완화 효과와 그 변화. 노동경제논집 38권 3호 (2015.9):23-51.
  3. 김대일. 성.연령별 1인 가구의 확대 양상. 경제학연구 66집 2호 (2018. 6):5-43. https://doi.org/10.22841/KJES.2018.66.2.001
  4. 김대일.이석배.황윤재. 가구구성과 소득불평등. 노동경제논집 37권 3호 (2014. 9):1-44.
  5. 김문길.김태완.박형존. 인구구조 변화가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12-3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 김정호. 여성의 임금수준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개발연구. 31권 1호 (2009. 6):109-111.
  7. 김현숙.류덕현.민희철.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재정정책: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한국조세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12, 2006.
  8. 남국현. 저출산,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 및 희망임금에 관한 세 논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9. 남국현.김대일. 여성의 결혼과 출산의 결정요인 분석. 여성경제연구 13집 2호 (2016. 12):25-52.
  10. 류기철.박영화. 한국여성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간격 영향요인. 한국인구학 32권 1호 (2009. 4):1-23.
  11. 민희철. 임금 및 소득이 출산 간격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 재정학연구 1권 1호 (2008. 2):41-62.
  12. 박경숙.김미선. 노인 가구형태의 변화가 노인 빈곤률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학 50집 1호 (2016. 2):221-253.
  13. 박경숙.김영혜.김현숙. 남녀 결혼시기 연장의 주요 원인:계층혼, 성역할분리규범, 경제조정의 우발적 결합. 한국인구학 28권 2호 (2005. 12):33-62.
  14. 박능후.송미영.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상태 변화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1호 (2006. 3):7-26.
  15. 반정호. 가구 구성방식의 다양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8권 1호 (2011. 3):85-111. https://doi.org/10.15855/SWP.2011.38.1.85
  16. 반정호. 우리나라 소득불평등 실태와 재분배 정책의 효과. 월간 노동리뷰 1월호, 한국노동연구원, 2013.
  17. 여유진. 노인의 가구유형별 빈곤과 공적 이전의 빈곤감소효과 분석: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40호, (2013. 8):185-219.
  18. 여유진. 한국의 노인빈곤과 노후소득보장. 보건복지 ISSUE & FOCUS 364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9. 우해봉.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혼 연기 혹은 독신. 한국인구학 32권 제1호 (2009. 4):25-50.
  20. 윤석명.고경표.김성근.강미나.이용하.이정우. 다양한 노인빈곤지표 산정에 관한 연구(I). 연구보고서 2017-0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1. 은기수.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최근의 낮은 출산력 수준에 미치는 함의를 중심으로.한국사회학 35권 6호 (2001. 12): 105-139.
  22. 이삼식.신인철.조남훈.김희경.정윤선.최은영.황나미.서문희.박세경.전광희.김정석․박수미.윤홍식.이성용.이인재. 저출산 원인 및 종합대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30(2), 2005.
  23. 전규식.정지수.유경원. 조세 및 재정지출 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 응용경제18권 2호 (2016. 6):125-165.
  24. 전병유. 한국 사회에서의 소득불평등 심화와 동인에 관한 연구.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통권 23호, (2013. 1):15-40.
  25. 정경희. 노년기 독거 현황과 정책적 대응전략. 보건․복지 ISSUE & FOCUS 300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26. 정의철.임미화. 패널자료를 이용한 청년가구원의 가구형성 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21권 2호 (2013. 5):119-!39.
  27. 정지운.임병인.김주현. 가구원 수 분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7권 2호 (2014. 6):71-90.
  28. Becker, Gary S. "An economic analysis of fertility," In Universities -National Bureau(ed.) Demographic and Economic Change in Developed Countries,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9-240, 1960.
  29. Becker, G. B. and H. G. Lewi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Part 2, 81 (1), (March-April 1973):279-288. https://doi.org/10.1086/260166
  30. Cherchye, Laurens, Bram De Rock, and Frederic Vermeulen. "The collective model of household consumption:A nonparametric characterization." Econometrica 75 (2) (March 2007):553-744. https://doi.org/10.1111/j.1468-0262.2006.00757.x
  31. Gersbach, Hans, and Hans Haller. "Competitive markets, collective decisions and group formation." CESIFo Working Paper No. 953, 2003.
  32. Gersbach, Hans, and Hans Haller. "Club theory and household formation." Journal of Mathematical Economics 46 (5) (September 2010):715-724, https://doi.org/10.1016/j.jmateco.2010.05.007
  33. Gersbach, Hans, and Hans Haller. Groups and Markets: General Equilibrium with Multi-Member Households, Gewerbestrasse: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34. Lazear, Edward P., and Robert Michael. "Family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real per capita income." American Economic Review 70 (1) (March 1980): 91-107.
  35. Muellbauer, John, "Testing the barten model of household composition effects and the cost of children." The Economic Journal 87 (September 1977): 460-487. https://doi.org/10.2307/2231554
  36. Pollak, Robert A., and Terence J. Wales, "Demographic variables in demand analysis." Econometrica 43(3) (November 1981):1533-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