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s of Mothers Participating in Consultant Training to Buil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Changes in Self-Awareness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컨설턴트 양성과정 참여 어머니의 경험: 자기 인식의 변화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박희경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SSK)) ;
  • 손환희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SSK))
  • Received : 2019.05.28
  • Accepted : 2019.08.02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consultants for the purposes buil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4 mothers in the first phase, 10 mothers in the second phase, and 8 mothers in the third phase. Data were collected from stories shared during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mothers' experie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Results: Mot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of consultant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and seven sub-themes. The first theme was "self as a parent" including "looking inside myself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looking inside myself in the relations with other mothers". The second theme was "self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which consisted of "sharing emotions through ritual", "forming communitarian identity through hospitality and solidarity" and "growing as a social mother". The third theme was "self as a educational community consultant" out of which emerged "setting up shared visions", "building practical community competence", and "creating fields of community implement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ere ar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practices of buil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of parent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택 (2009). 학교공동체의 기독교적 모형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24, 255-279.
  2. 고영미 (2005).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경근, 최윤진 (2017). 교육열 현상으로서의 저출산: 중산층 기혼자의 자녀 수 결정 배경과 양육 방식. 교육사회학연구, 27(2), 1-34. doi:10.32465/ksocio.2017.27.2.001
  4. 김길숙 (2017).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황 및 내용 분석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9(4), 273-292.
  5.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6. 김성숙, 임부연 (2015).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5(4), 397-424. doi:10.18023/kjece.2015.35.4.018
  7. 김은영, 임재택 (2017).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개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6(2), 55-80.
  8. 김인숙 (2016).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 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9. 김현경 (2015). 사람, 장소, 환대. 서울: 문학과지성사
  10. 김혜경 (2018). 부모-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부모의 변화과정: 근거이론 접근. 생태유아교육연구, 17(2), 27-52. doi:10.30761/ecoece.2018.17.2.27.
  11. 나윤경 (2014). 모성적 생산성과 여성 평생교육. 평생교육학연구, 20(1), 167-187.
  12. 나윤경, 태희원, 장인자 (2007).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 - 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평생교육학연구, 13(4), 55-87.
  13. 박순선, 노진형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모임 참여 경험: 가족과 함께 읽기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7(4), 169-191. doi:0.30761/ecoece.2018.17.4.169 https://doi.org/10.30761/ECOECE.2018.17.4.169
  14. 박재희, 최선남 (2015). 비동거가족 어머니의 미술치료에서 자기수용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2(6), 1763-1785.
  15. 박철희 (2014). 대학입학예비고사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고찰. 한국교육사학, 36(4), 79-109. doi:10.15704/kjhe.36.4.201412.79
  16. 배지희 (2008).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인류학연구, 11(1), 147-176. https://doi.org/10.17318/JAE.2008.11.1.005
  17. 손환희 (2017). 유아기 가족의 의사소통에 나타난 상호작용 의례: 유대 형성의 이해.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송연주, 이상수 (2015). 학교교육 붕괴 현상의 생태학적 탐색을 통한 극복 방안 모색: 교육공동체내 신뢰 회복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4), 285-309. doi:10.18230/tjye.2015.23.4.285
  19. 서용선 (2016).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서울: 살림터.
  20. 신현석 (2003). 공교육 위기현상의 분석과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구상. 한국교육, 30(1), 419-445.
  21. 양혜련 (2017). 영유아 부모 미학모임 연구: Schiller 미학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오혁진 (2005).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1(1), 23-41.
  23. 유진희, 김진숙 (2018). 부모효율성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51-66.
  24. 윤갑정 (2016).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례의 재발견: 그 개념과 활용. 문화예술교육연구, 11(4), 23-46. doi:10.15815/kjcaes.2016.11.4.23
  25. 윤창국 (2002).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경아 (2008). 어머니의 역할만족도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병준 (2013). 의례의 교육학적 의미에 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8(4), 227-236. doi:10.15815/kjcaes.2013.8.4.227
  28. 이부미, 이수정 (2010). 조기교육: 불안한 부모와 바쁜 아이들. 시민인문학, 18, 85-107.
  29. 이상례, 유영의 (2014). 교사의 놀이 전문성 증진을 위한 컨설팅이 유아의 구성놀이 질과 사회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6), 115-137.
  30. 이성한 (1998). 아동 문제 행동 개선을 위한 부모의 준전문가기능에 관한 연구. 아동연구, 7, 29-48.
  31. 이영경, 김은주 (2016). '품앗이 육아'를 통한 부모되어가기.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33-53.
  32. 이종태 (1999).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생태주의 교육 이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26(1), 1-19.
  33. 임나은 (2014). 품앗이육아공동체를 통한 호혜적 모성의 가능성: 서울시 A구 숲놀이터 S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전현곤 (2009). 부산시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학교공동체형성 실태조사. 부모교육연구, 6(1), 23-47.
  35. 정계숙 (2016).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와 공동체생활 능력이 유아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6), 127-151. doi:10.18023/kjece.2016.36.6.006
  36. 정계숙, 윤갑정, 차지량, 견주연, 박희경 (2016). 유아교육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모습과 실천과제. 유아교육연구, 36(1), 153-182. doi:10.18023/kjece.2016.36.1.007
  37. 정계숙, 견주연, 최은아, 김지연 (2015).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29-15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29
  38. 정계숙, 박화춘, 구신실, 김효정, 박희경, 손환희 (2018). 정(情)과 우리의식에 기반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구현 방안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849-873. doi:10.22251/jlcci.2018.18.849
  39. 정계숙 ,박희경, 이지연 (2017).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와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47-378.
  40. 정계숙, 윤갑정, 박희경 (2017).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1-28. doi:10.22251/jlcci.2017.17.9.1
  41. 정계숙, 윤갑정, 손환희 (2015). 부모-교사 파트너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Q-방법론의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9(2), 243-272.
  42.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43. 정미라, 김경숙, 이방실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 양육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33(2), 163-189. doi:10.18023/kjece.2013.33.2.008
  44. 조경희 (2018). 유아기 부모의 코칭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 영유아보육교육연구, 1(2), 27-46.
  45. 조윤경, 민웅기 (2012).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실현과정을 통해 본 가족복지정책 이념의 재구조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29-56.
  46. 지성애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성인애착과유아의 스트레스.사회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81-407
  47. 최상진 (1994). 한국인 심정심리학. 사회과학연구, 7, 213-237.
  48. 최은아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에 대한 의미 구성 과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최은아, 고희선 (2018).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유아를 위한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259-283. doi:10.22251/jlcci.2018.18.2.259
  50. 한겨레 (2019. 3). 대형 사립유치원 에듀파인 사실상 100% 도입...회계 투명성 강화.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86213.html에서 2019년 2월 12일 인출
  51. 한국교육방송공사 (2015). 가족쇼크. 서울: 윌북.
  52. 허라금 (2006). 보살핌의 사회화를 위한 여성주의의 사유. 한국여성학, 22(1), 115-144
  53. 홍숙희 (2010). 평생교육 기반으로서의 지역사회교육 논의의 역사적 변천 과정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61(1), 25-62.
  54. Adler, M. J. (2015). A Guidebook to Learning: For a Lifelong Pursuit of Wisdom, 평생공부 가이드(이재만 옮김). 파주: 유유(원판 1986).
  55. Andrews, Cecile (2013). Living Room Revolution: A Handbook for Conversation, Community and the Common Good,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서울: 한빛비즈.
  56. Auerbach, S. (2015). Conceptualizing leadership for authentic partnerships. In S. Auerbach (Ed.), School leadership for authentic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Research perspectives for transforming practices (pp. 29-51). New York: Routledge.
  57. Baker, B. L., Blacher, J., Crnic, K. A., & Edelbrock, C. (2002). Behavio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in families of three-year-ol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7(6), 433-444. doi: 10.1352/0895-8017(2002)107<0433:bpapsi>2.0.co;2
  58. Collins, R. (2009). Interaction ritual chains, 사회적 삶의 에너지: 상호작용 의례의 사슬(진수미 옮김). 파주: 한울(원판 2004).
  59. Collins, W. A., & Madsen, S. D. (2003). Developmental change in parenting interactions. In L.Kuczynski (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 (pp.49-66). London, UK: Sage Republications.
  60. Corssen, Jens & Tramitz, Christiane (2016). Ich und die anderen - Als Selbst-Entwickler zu gelingenden Beziehungen,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이렇게 어려웠던가(이지혜 옮김). 서울: 와이즈베리.
  61. Deal, T. E., & Peterson, K. D. (2016). Shaping school cultur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62. Doherty, W. & Carlson, B. (2002). Putting family first: Successful strategies for reclaiming family in ahurried up world. New York: Henry Holt.
  63. Durkheim (1992).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노치준, 민혜숙 옮김). 서울: 민영사. (원판 1915).
  64. Furman, G.(2002). School as community: From promise to practic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5. Giddens, A. (2006).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사회구성론(황명주, 정희태, 권진현 옮김). 서울: 간디서원. (원판 1984)
  66. Kaczmarek, L. A., Goldstein, H., Florey, J. D., Carter, A., & Cannon, S. (2004). Supporting families: A preschool model.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4(4), 213-226. https://doi.org/10.1177/02711214040240040301
  67. Katz, K. S., Jarrett, M. H., El-Mohandes, A. A. E., Schneider, S., McNeely-Johnson, D., & Kiely, M. (2011). Effectiveness of combined home visiting and group intervention for low income African American mothers : The pride in parenting program. Maternal & Child Health Journal, 15(1), 75-84. doi:10.1007/s10995-011-0858-x
  68. Lieberman, A. & Wood, D. R. (2003) Inside the national writing project: Connecting network learning and classroom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69. Ling, R. (2009). New tech, new ties: How mobile communication reshapes social cohesion, 모바일 미디어와 새로운 인간관계 네트워크의 출현: 휴대전화는 사회관계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가?(배진한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원판 2008).
  70. McDermott, D. (2008). Developing caring relationships among parents, children, schools and communities. Thousand Oaks, CA: Sage.
  71. Mercieca, B. (2017). What is a community of practice?. In J. McDonald & A. Cater-Steel (Eds.), Communities of Practice (pp. 3-25). Singapore: Springer Singapore.
  72. Noddings, N. (2002). Starting at home: Caring and social policy.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td.
  73. Pelzer, W (2016). Kinder haben : Kleine Philosophie fur Eltern, 내 아이를 위한 부모의 작은철학(도현정 옮김). 서울: 미르북컴퍼니(원판 2005)
  74. Pennings, G. (2013). Age as a criterion for parenting competence. 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27(2), 118-120. doi:10.1016/j.rbmo.2013.04.018
  75. Pinar, W. F. (2013). International handbook of curriculum research. New York: Routledge.
  76. Pitel, A. U., Pitel, P. A., Richards, H. G., Benson, J., Prince, J. N., & Forman, E. N. (1985). Parent consultants in pediatric oncology. Children's Health Care, 14(1), 46-51. https://doi.org/10.1207/s15326888chc1401_9
  77. Scully, P., & Howell, J. (2008). Using rituals and traditions to create classroom community for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6(3), 261-266. https://doi.org/10.1007/s10643-008-0279-7
  78. Sergiovanni, T. J.(200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학교 공동체 만들기(주철안 옮김). 서울: 에듀케어(원판 1994).
  79. Stormshak, E. A., Dishion, T. J., Light, J., & Yasui, M. (2005). Implementing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within the public middle school: Linking service delivery to change in student problem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3(6), 723-733. doi:10.1007/s10802-005-7650-6
  80. Tannen, Deborah (2015). I Only Say This Because I Love You, 가족이니까 그렇게 말해도 되는 줄 알았다(김고명 옮김). 경기도: 예담(원판 1990)
  81. Taylor, K., Marienau, C., & Fiddler, M. (2000). Developing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2. Thomas, R. & Footrakoon, O. (1998). What curricular perspectives can tell us about parent education curricular. Retrieved May 26, 2019. from http://parenthood.library.wisc.edu/Thomas/Thomas.html.
  83. Unell, B. C., & Wyckoff, J. L.(2000). The eight seasons of parenthood: How the stage of parenting constantly reshape our adult identities. New York: Times Books.
  84. Wagner, M., Spiker, D., & Linn, M. I. (2002).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s as teachers program with low-income parents and childre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2(2), 67-81. doi:10.1177/02711214020220020101
  85. Wenger, E., McDermott, R. A., & Snyder, W.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Boston, MA: Harvard Business Press.
  86. Wesley, P. & Buysse, V. (2004). Consultation as a framework for productive collaboration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5(2), 27-150.
  87. Wulf, C. (2013). Anthropology: A continental perspective.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8. Wyrick, A. J., & Rudasill, K. M. (2009). Parent involvement as a predictor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in third grad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0(5), 845-864. doi:10.1080/10409280802582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