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19.15.04.083

Experiences of Mothers Participating in Consultant Training to Buil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Changes in Self-Awareness  

Chung, Kai-sook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Park, Hee-kyung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SSK))
Son, Hwan-Hee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SSK))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5, no.4, 2019 , pp. 83-11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of consultants for the purposes buil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4 mothers in the first phase, 10 mothers in the second phase, and 8 mothers in the third phase. Data were collected from stories shared during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mothers' experie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s. Results: Mother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of consultant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and seven sub-themes. The first theme was "self as a parent" including "looking inside myself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looking inside myself in the relations with other mothers". The second theme was "self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which consisted of "sharing emotions through ritual", "forming communitarian identity through hospitality and solidarity" and "growing as a social mother". The third theme was "self as a educational community consultant" out of which emerged "setting up shared visions", "building practical community competence", and "creating fields of community implement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ere ar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practices of building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and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of parent education.
Keywords
mothers with young children; consultant train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계숙, 윤갑정, 박희경 (2017).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1-28. doi:10.22251/jlcci.2017.17.9.1
2 정계숙, 윤갑정, 손환희 (2015). 부모-교사 파트너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주관적 태도 분석: Q-방법론의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9(2), 243-272.
3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4 정미라, 김경숙, 이방실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하는 양육지원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33(2), 163-189. doi:10.18023/kjece.2013.33.2.008   DOI
5 조경희 (2018). 유아기 부모의 코칭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 영유아보육교육연구, 1(2), 27-46.
6 조윤경, 민웅기 (2012).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실현과정을 통해 본 가족복지정책 이념의 재구조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29-56.
7 지성애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성인애착과유아의 스트레스.사회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0(4), 381-407
8 최상진 (1994). 한국인 심정심리학. 사회과학연구, 7, 213-237.
9 최은아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행복에 대한 의미 구성 과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최은아, 고희선 (2018). 유아교육기관 부적응 유아를 위한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259-283. doi:10.22251/jlcci.2018.18.2.259
11 한겨레 (2019. 3). 대형 사립유치원 에듀파인 사실상 100% 도입...회계 투명성 강화.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86213.html에서 2019년 2월 12일 인출
12 한국교육방송공사 (2015). 가족쇼크. 서울: 윌북.
13 허라금 (2006). 보살핌의 사회화를 위한 여성주의의 사유. 한국여성학, 22(1), 115-144
14 홍숙희 (2010). 평생교육 기반으로서의 지역사회교육 논의의 역사적 변천 과정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61(1), 25-62.
15 Collins, W. A., & Madsen, S. D. (2003). Developmental change in parenting interactions. In L.Kuczynski (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 (pp.49-66). London, UK: Sage Republications.
16 Adler, M. J. (2015). A Guidebook to Learning: For a Lifelong Pursuit of Wisdom, 평생공부 가이드(이재만 옮김). 파주: 유유(원판 1986).
17 Andrews, Cecile (2013). Living Room Revolution: A Handbook for Conversation, Community and the Common Good,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서울: 한빛비즈.
18 Auerbach, S. (2015). Conceptualizing leadership for authentic partnerships. In S. Auerbach (Ed.), School leadership for authentic family and community partnerships: Research perspectives for transforming practices (pp. 29-51). New York: Routledge.
19 Baker, B. L., Blacher, J., Crnic, K. A., & Edelbrock, C. (2002). Behavio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in families of three-year-ol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7(6), 433-444. doi: 10.1352/0895-8017(2002)107<0433:bpapsi>2.0.co;2   DOI
20 Collins, R. (2009). Interaction ritual chains, 사회적 삶의 에너지: 상호작용 의례의 사슬(진수미 옮김). 파주: 한울(원판 2004).
21 Corssen, Jens & Tramitz, Christiane (2016). Ich und die anderen - Als Selbst-Entwickler zu gelingenden Beziehungen,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이렇게 어려웠던가(이지혜 옮김). 서울: 와이즈베리.
22 Deal, T. E., & Peterson, K. D. (2016). Shaping school culture.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3 Giddens, A. (2006). The constitution of society: Outline of the theory of structuration, 사회구성론(황명주, 정희태, 권진현 옮김). 서울: 간디서원. (원판 1984)
24 Doherty, W. & Carlson, B. (2002). Putting family first: Successful strategies for reclaiming family in ahurried up world. New York: Henry Holt.
25 Durkheim (1992).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노치준, 민혜숙 옮김). 서울: 민영사. (원판 1915).
26 Furman, G.(2002). School as community: From promise to practic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7 Ling, R. (2009). New tech, new ties: How mobile communication reshapes social cohesion, 모바일 미디어와 새로운 인간관계 네트워크의 출현: 휴대전화는 사회관계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가?(배진한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원판 2008).
28 Kaczmarek, L. A., Goldstein, H., Florey, J. D., Carter, A., & Cannon, S. (2004). Supporting families: A preschool model.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4(4), 213-226.   DOI
29 Katz, K. S., Jarrett, M. H., El-Mohandes, A. A. E., Schneider, S., McNeely-Johnson, D., & Kiely, M. (2011). Effectiveness of combined home visiting and group intervention for low income African American mothers : The pride in parenting program. Maternal & Child Health Journal, 15(1), 75-84. doi:10.1007/s10995-011-0858-x   DOI
30 Lieberman, A. & Wood, D. R. (2003) Inside the national writing project: Connecting network learning and classroom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1 Pelzer, W (2016). Kinder haben : Kleine Philosophie fur Eltern, 내 아이를 위한 부모의 작은철학(도현정 옮김). 서울: 미르북컴퍼니(원판 2005)
32 McDermott, D. (2008). Developing caring relationships among parents, children, schools and communities. Thousand Oaks, CA: Sage.
33 Mercieca, B. (2017). What is a community of practice?. In J. McDonald & A. Cater-Steel (Eds.), Communities of Practice (pp. 3-25). Singapore: Springer Singapore.
34 Noddings, N. (2002). Starting at home: Caring and social policy.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td.
35 Pennings, G. (2013). Age as a criterion for parenting competence. 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27(2), 118-120. doi:10.1016/j.rbmo.2013.04.018   DOI
36 Pinar, W. F. (2013). International handbook of curriculum research. New York: Routledge.
37 Scully, P., & Howell, J. (2008). Using rituals and traditions to create classroom community for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6(3), 261-266.   DOI
38 강영택 (2009). 학교공동체의 기독교적 모형에 대한 연구. 기독교교육정보, 24, 255-279.
39 고영미 (2005).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육 학습공동체 형성 및 참여양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Pitel, A. U., Pitel, P. A., Richards, H. G., Benson, J., Prince, J. N., & Forman, E. N. (1985). Parent consultants in pediatric oncology. Children's Health Care, 14(1), 46-51.   DOI
41 Sergiovanni, T. J.(200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학교 공동체 만들기(주철안 옮김). 서울: 에듀케어(원판 1994).
42 김성숙, 임부연 (2015).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5(4), 397-424. doi:10.18023/kjece.2015.35.4.018
43 김경근, 최윤진 (2017). 교육열 현상으로서의 저출산: 중산층 기혼자의 자녀 수 결정 배경과 양육 방식. 교육사회학연구, 27(2), 1-34. doi:10.32465/ksocio.2017.27.2.001
44 김길숙 (2017).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황 및 내용 분석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9(4), 273-292.
45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46 김은영, 임재택 (2017). 생태유아교육기관 전환컨설팅 모형 개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6(2), 55-80.
47 김인숙 (2016).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 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48 김현경 (2015). 사람, 장소, 환대. 서울: 문학과지성사
49 김혜경 (2018). 부모-자녀 관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부모의 변화과정: 근거이론 접근. 생태유아교육연구, 17(2), 27-52. doi:10.30761/ecoece.2018.17.2.27.
50 나윤경 (2014). 모성적 생산성과 여성 평생교육. 평생교육학연구, 20(1), 167-187.
51 나윤경, 태희원, 장인자 (2007).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 - 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평생교육학연구, 13(4), 55-87.
52 Thomas, R. & Footrakoon, O. (1998). What curricular perspectives can tell us about parent education curricular. Retrieved May 26, 2019. from http://parenthood.library.wisc.edu/Thomas/Thomas.html.
53 Stormshak, E. A., Dishion, T. J., Light, J., & Yasui, M. (2005). Implementing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within the public middle school: Linking service delivery to change in student problem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3(6), 723-733. doi:10.1007/s10802-005-7650-6   DOI
54 Tannen, Deborah (2015). I Only Say This Because I Love You, 가족이니까 그렇게 말해도 되는 줄 알았다(김고명 옮김). 경기도: 예담(원판 1990)
55 Taylor, K., Marienau, C., & Fiddler, M. (2000). Developing adult learner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6 Unell, B. C., & Wyckoff, J. L.(2000). The eight seasons of parenthood: How the stage of parenting constantly reshape our adult identities. New York: Times Books.
57 Wagner, M., Spiker, D., & Linn, M. I. (2002).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s as teachers program with low-income parents and children.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2(2), 67-81. doi:10.1177/02711214020220020101   DOI
58 Wenger, E., McDermott, R. A., & Snyder, W.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Boston, MA: Harvard Business Press.
59 박순선, 노진형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그림책 읽기 모임 참여 경험: 가족과 함께 읽기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17(4), 169-191. doi:0.30761/ecoece.2018.17.4.169   DOI
60 Wesley, P. & Buysse, V. (2004). Consultation as a framework for productive collaboration in early intervention.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5(2), 27-150.
61 손환희 (2017). 유아기 가족의 의사소통에 나타난 상호작용 의례: 유대 형성의 이해.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Wulf, C. (2013). Anthropology: A continental perspective.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 Wyrick, A. J., & Rudasill, K. M. (2009). Parent involvement as a predictor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in third grad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0(5), 845-864. doi:10.1080/10409280802582803   DOI
64 박재희, 최선남 (2015). 비동거가족 어머니의 미술치료에서 자기수용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2(6), 1763-1785.
65 박철희 (2014). 대학입학예비고사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고찰. 한국교육사학, 36(4), 79-109. doi:10.15704/kjhe.36.4.201412.79
66 배지희 (2008).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인류학연구, 11(1), 147-176.   DOI
67 송연주, 이상수 (2015). 학교교육 붕괴 현상의 생태학적 탐색을 통한 극복 방안 모색: 교육공동체내 신뢰 회복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3(4), 285-309. doi:10.18230/tjye.2015.23.4.285
68 서용선 (2016). 마을교육공동체란 무엇인가? 서울: 살림터.
69 신현석 (2003). 공교육 위기현상의 분석과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구상. 한국교육, 30(1), 419-445.
70 양혜련 (2017). 영유아 부모 미학모임 연구: Schiller 미학이론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1 오혁진 (2005).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1(1), 23-41.
72 유진희, 김진숙 (2018). 부모효율성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51-66.
73 윤갑정 (2016).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례의 재발견: 그 개념과 활용. 문화예술교육연구, 11(4), 23-46. doi:10.15815/kjcaes.2016.11.4.23   DOI
74 윤창국 (2002).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이경아 (2008). 어머니의 역할만족도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과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6 이병준 (2013). 의례의 교육학적 의미에 대한 탐구. 문화예술교육연구, 8(4), 227-236. doi:10.15815/kjcaes.2013.8.4.227
77 이종태 (1999). 대안교육의 철학적 기초 탐색(1): 생태주의 교육 이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26(1), 1-19.
78 이상례, 유영의 (2014). 교사의 놀이 전문성 증진을 위한 컨설팅이 유아의 구성놀이 질과 사회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6), 115-137.
79 이성한 (1998). 아동 문제 행동 개선을 위한 부모의 준전문가기능에 관한 연구. 아동연구, 7, 29-48.
80 이영경, 김은주 (2016). '품앗이 육아'를 통한 부모되어가기.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33-53.
81 임나은 (2014). 품앗이육아공동체를 통한 호혜적 모성의 가능성: 서울시 A구 숲놀이터 S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2 전현곤 (2009). 부산시 초등학교 학부모들의 학교공동체형성 실태조사. 부모교육연구, 6(1), 23-47.
83 정계숙 (2016).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와 공동체생활 능력이 유아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6), 127-151. doi:10.18023/kjece.2016.36.6.006
84 정계숙, 윤갑정, 차지량, 견주연, 박희경 (2016). 유아교육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모습과 실천과제. 유아교육연구, 36(1), 153-182. doi:10.18023/kjece.2016.36.1.007
85 정계숙, 견주연, 최은아, 김지연 (2015).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29-151.   DOI
86 이부미, 이수정 (2010). 조기교육: 불안한 부모와 바쁜 아이들. 시민인문학, 18, 85-107.
87 정계숙, 박화춘, 구신실, 김효정, 박희경, 손환희 (2018). 정(情)과 우리의식에 기반한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구현 방안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849-873. doi:10.22251/jlcci.2018.18.849
88 정계숙 ,박희경, 이지연 (2017).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와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47-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