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t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Rental Housing REITs in Japan and Its Implications

일본의 임대주택 리츠의 자산관리 특성과 시사점

  • Received : 2019.03.12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rental housing REITs in Korea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ntal housing REITs in Japan, focusing on the operation and asset management of rental housing REI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Japan, rental housing REITs are invested and operated by profit-based private companies, and are activated with small rental housing in the city center as a niche market. In particular, it has secured the reliability, expertise and permanence of REITs by utilizing the sponsored REITs structure. This is possible because Japan has infrastructure for the supply and operation of corporate rental housing. Based on these analyses, ways to revitalize private investment, and ways to utilize sponsored REITs to enhance REITs' credibility were derived. for the effective use of domestic rental housing REITs.

본 연구는 일본의 임대주택 리츠의 운영 및 자산관리를 중심으로, 임대주택 리츠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임대주택 리츠의 효과적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본의 경우 임대주택 리츠는 영리에 기반한 민간에 의해 투자 운영되고 있으며, 도심의 소형 임대주택을 틈새시장으로 하여 활성화되어 있다. 특히, 부동산회사를 스폰서로 한 스폰서드 리츠 구조를 활용하여, 리츠의 신뢰성과 전문성, 그리고 영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는 일본에서는 기업형 임대주택의 공급 및 운영에 대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임대주택 리츠의 효과적 활용 방안으로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 리츠의 공신력을 제고하기 위한 스폰서드 리츠의 활용 방안 등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한국주택학회, 2012, 해외 주거복지정책 사례연구.
  2. 김병욱, 2013, "주택임대관리업의 현황과 발전과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추계 정책토론회 자료집.
  3. 남원석, 2006, "일본의 민간임대주택 임대료 보조정책," 도시와 빈곤 78, pp.103-131.
  4. 남원석, 2009, "전후 일본 주택정책의 성격 변화," 주택연구 17(4), pp.153-171.
  5. 박원석, 2009, "위험조정모형을 활용한 미국 REITs의 부동산 유형별 성과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pp.665-680.
  6. 박원석, 2011a, "헬스케어 REITs의 성과 및 운영 특성과 국내 실버산업에의 활용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2), pp.157-175.
  7. 박원석, 2011b, "호텔 REITs의 국내 활용 가능성과 활용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4), pp.524-539.
  8. 박원석, 2013,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리츠의 활용 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pp.275-292.
  9. 박원석, 2017, "도시재생사업에서 리츠의 활용 방안," 주택도시연구 7(2), pp.1-17.
  10. 박원석, 2018, "주거복지 확충을 위한 자본시장 활용 방안-미국의 부담가능주택 리츠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3), pp.231-253. https://doi.org/10.23841/egsk.2018.21.3.231
  11. 송기욱.장인석, 2017, "리츠를 활용한 공공과 민간의 임대주택 공급모델 기법 특성 및 적용사례 비교연구," 부동산학보 69, pp.58-71.
  12. 윤혜영.유해연, 2014, "일본의 사회 약자를 위한 공적 임대주택 지원제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0(1), pp.3-14.
  13. 이상영, 2012, "지속가능한 민간임대 주택시장에 대한 대안적 검토," 동향과 전망 86, pp.321-354.
  14. 이상영, 2013, "일본 주택임대관리회사의 특성 분석과 시사점," 국토연구 77, pp.227-240.
  15. 이상영.박원석, 2017, 서울리츠 2030 신주거전략, 유원북스.
  16. 주택산업연구원, 2015, 임대주택 리츠 활성화 방안.
  17. Jones, C., 2007, "Private Investment in Rented Housing and the Role of REITs," European Journal of Housing Policy 7(4), pp.383-400. https://doi.org/10.1080/14616710701650427
  18. Ma, C. and Michayluk, A., 2015, "Takeover and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in Japanese REITs," Journal of Real Estate Literature 23(1), pp.115-137. https://doi.org/10.1080/10835547.2015.12090393
  19. Seow, E. O., Ooi, J. T. L. and Kawaguichi, Y., 2011, "Seasoned Equity Issuance by Japan and Singapore REITs," Journal of Real Estate Financial Economics 43, pp. 205-220. https://doi.org/10.1007/s11146-010-9285-9
  20. 不動産證券化協會, 2017, 不動産證券化ハンド.ブツ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