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차 주행 연구를 통한 차량별 HMI 특성 분석

Analysis of Automotive HMI Characteristics through On-road Driving Research

  • 오광명 (인제대학교 디자인엔지니어링학과)
  • 투고 : 2019.01.15
  • 심사 : 2019.02.05
  • 발행 : 2019.05.31

초록

자율주행차량에서 전기자동차의 등장까지 자동차 산업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운전자가 자동차를 어떻게 제어하고 안전과 편의를 얻을 것인가에 대한 HMI 연구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차량 제조사들이 어떠한 관점으로 주행상황을 이해하고 있으며, 운전자의 인터랙션을 어떻게 정의하고 한계 짓는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MI에 대한 선행 연구를 리뷰하였으며, 15인의 참가자가 직접 5개 제조사의 차량을 실제 도로에서 운전하고 인터페이스를 사용해보는 온로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행 중 운전자가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버튼과 스위치 류가 제조사별로 상이했으며, 주행 중 보다 집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버튼과 제어하기에 어려운 버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udi 차량은 '컨트롤러의 선택과 집중', BMW 차량은 '드라이빙 중심의 최적화', Benz의 차량은 '단순화와 최소화', Lexus의 차량은 '조작분산의 제거', KIA의 차량은 '시각적 안정감'을 HMI의 특징적 키워드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각 제조사들이 운전자의 드라이빙 제어 영역에 대한 정의와 해석이 다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는 차량별 HMI의 특성을 실제 주행상황에서 파악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적인 의미를 갖는다. 군집주행, 자율주행과 같은 주행환경의 변화와 HMI의 변화에서도 실제 주행을 통해 인터랙션의 차이를 확인해보는 본 연구의 접근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ppearance of self-driving cars and electric cars, the automobile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HMI studi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to how the driver obtains safety and convenience with controlling the vehicle.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how automobile manufacturers understand the driving situation, and how they define and limit driver interaction. For this, prior studies about HMI were reviewed and 15 participants performed an on-road study to drive vehicles from five manufacturers with using their interfac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buttons and switches that are easily controlled by the user while driving were different from manufacturer to manufacturer. And there are some buttons that are more intensively controlled and others that are difficult to control while driving. It was able to deriv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from Audi's vehicle, 'optimization of the driving ' from BMW's, 'simple and minimize' from Benz's vehicle, 'remove the manual distraction' from the vehicle of Lexus, and 'visual stability' from KIA's vehicle as the distinctive keywords for the HMI. This shows that each manufacturer has a different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driver's driving control area. This study has a distinct value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vehicle-specific HMI in actual driving conditions, which is not apparent in appear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approach can be useful to see differences in interaction through actual driving despite changes in driving environment such as vehicle platooning and self-driving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주영, 주다영.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 설계를 위한 문헌연구 기반의 실내행위 분석 및 유형화. 한국HCI학회지. 13(2). 한국HCI학회. pp. 5-20. 2018.
  2. 박기철, 정의철. 2030년 자율주행차 환경에서 운전자 경험 디자인 방향 고찰.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HCI학회. pp. 376-379. 2017.
  3. 이지인, 임채린, 김나은, 김진우. 근거이론을 적용한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운전자 경험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HCI학회. pp. 178-185. 2016.
  4. 조경실, 이명기. 자동차 인테리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디자인 경향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8(4). 한국디자인학회. pp. 129-138. 2005.
  5. 구상. 디지털기술에 의한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의 변화. Auto Journal. 39(9). 한국자동차공학회. pp. 31-33. 2017.
  6. 윤경준, 김인지, 석재혁, 한정완.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실감 항법을 위한 기능적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2010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디자인학회. pp. 122-123. 2010.
  7. 박준우. 차량용 GPS 네비게이션의 3D 가상현실 시각화에 대한 연구. 2005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디자인학회. pp. 130-131. 2005.
  8. 구상. 자동차의 전형적 디자인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3(4). 한국디자인학회. pp. 143-154. 2010.
  9. 구상. 미국 고급 자동차 브랜드의 디자인 특징 비교.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3(4). 한국디자인학회. pp. 339-350. 2010.
  10. 김경수. 자동차 디자인의 지속성장가능성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4(3). 한국디자인학회. pp. 307-320. 2011.
  11. 조예림. 사고방지를 위한 차량용 증강현실(AR)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디자인 연구:디자인, 감성, 의미 전달 중심으로.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8(3). 한국디자인학회. pp. 103-117. 2015. https://doi.org/10.15187/adr.2015.08.28.3.103
  12. 공준석, 김세희, 김지해, 양지선.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컨트롤을 위한 제스처 연구. 2015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디자인학회. pp. 134-135. 2015.
  13. Naujoks, F., Forster, Y., Wiedemann, K. and Neukum, A. Improving usefulness of automated driving by lowering primary task interference through HMI design. Journal of Advanced Transportation. 2017. Hindawi. online. 2017.
  14. 김소현, 이건표, 임윤경. 차 내비게이션의 거리 인지 요인간 비교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1). 한국디자인학회. pp. 37-46. 2012.
  15. 노예경, 남택진. 자율주행차량-운전자의 감성적 인터랙션을 위한 대시보드 디자인.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HCI학회. pp. 559-562. 2017.
  16. Naujoks, F., Purucker, C. and Neukum, A. Secondary task engagement and vehicle automation compa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automation levels in an on-road experimen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38. pp. 67-82. Elsevier. 2016. https://doi.org/10.1016/j.trf.2016.01.011
  17. 김헌, 박수현. 음성 및 비접촉 제스처 기반 차내 정보시스템 인터랙션의 조작 종류에 따른 효과.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5(2). 한국디자인학회. pp. 93-101. 2012.
  18. Tonnis, M., Lange, C. and Klinker, G. Visual longitudinal and lateral driving assistance in the head-up display of cars. in Proceedings of 2007 6th IEEE and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EEE. pp. 91-94. 2007.
  19. 최승원, 임지영, 박영목, 김철수, 박종서. 자동차 인테리어의 사용성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II. 2000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디자인학회. pp. 124-125. 2000.
  20. Lim, Y., Lee, S. and Kim, D. Interactivity attributes for expression-oriented interaction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5(3).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pp. 113-128. 2011.
  21. 최수지, 이성구, 조준동. 미래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맥락적 사용자 조사 기반 차량 내부 조명 시나리오 구조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HCI학회. pp. 945-948. 2018.
  22. 이윤희, 유훈식, 반영환.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 디스플레이 사용자 경험을 위한 콘텐츠 요소 가이드라인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36(6). 대한인간공학회. pp. 609-620. 2017.
  23. Campbell, J. L., Brown, J. L., Graving, J. S., Richard, C. M., Lichty, M. G., Bacon, L. P. and Sanquist, T. Human factors design guidance for level 2 and level 3 automated driving concepts. Washington, DC: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2018.
  24. Niedermaier, B., Durach, S., Eckstein, L. and Keinath, A. The New BMW iDrive -Applied Processes and Methods to Assure High Usability.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5620. Berlin: Springer-Verlag. pp. 443-452. 2009.
  25. Norman, D. Emotional Design. New York: Basic Books.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