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ore Competencies Diagnosis(K-CESA) Result in Engineering Students: Focused on Major Field, Accredited Status, Gender, Admission Types

공학계열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K-CESA) 결과에 따른 차이 분석: 계열, 인증여부, 성별, 입학전형을 중심으로

  • Sinn, Dongjoo (Institute for Innovative Education, Konkuk University) ;
  • Hwang, Jiw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cheon University) ;
  • Song, Ohsung (Department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eoul)
  • 신동주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 황지원 (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 송오성 (서울시립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Received : 2019.05.31
  • Accepted : 2019.07.09
  • Published : 2019.07.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rough the result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i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core competences depending o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gender, admission typ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K-CESA results on self-management capabilities, resources & information use, global competency,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in 2017 for the fourth graders of S University. An ANOVA of major field showed that the humanities had high overal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test of engineering students showed that accredited students had relatively low "flexibility" of their global competency, and that the "analysis" of their higher order thinking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admission types. Through these analyses, we presented suggestions such as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programs based on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roup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such as capstone design, the need to secure flexibility 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enhancement of female students' resources & information use.

Keywords

References

  1. 강승희(2010). 공학계열 대학생의 성차: 학업 성취도, 일반적 자기효능감, 공학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3, 1-10
  2.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 687-716 https://doi.org/10.17927/TKJEMS.2014.26.4.687
  3. 김대중.김소영(2017).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핵심역량교육연구, 2(1), 23-45
  4. 김연미(2015). 공과대학생들의 수리-공간-언어 능력 사이의 관계 및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4), 34-44 https://doi.org/10.18108/jeer.2015.18.4.34
  5. 김영은.한지영.오명숙(2013). 성별에 따른 공과대학 졸업생의 취업 및 진로개발 단계의 특징분석.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6(6), 19-28 https://doi.org/10.18108/jeer.2013.16.6.19
  6. 김학진.송오성(2015). 공학교육 인증프로그램 재학생과 비인증프로그램 재학생의 OECD 고등교육학습성과평가 결과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8(5), 51-58
  7. 김희연.민경석.정지영(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3), 63-87
  8. 노윤신.리상섭(2013).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D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HRD연구, 15(3)
  9. 도승이(2008). 공대생의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19-535
  10. 박승철(2012). 공학전공대학생의 입학전형과 중도탈락의 상관관계 분석.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5(5), 98-107
  11. 박영신 외(2017).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9, 567-595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4.567
  12. 손유미.송창용.임언(2016).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3
  13. 손유미.송창용.임언(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201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손유미 외(2017).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K-CESA) 지원과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22.
  15. 윤지영.유영림(2018).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C대학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6), 353-373
  16. 윤희정.정윤숙.공성수(2018).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13-241
  17. 이경희 외(2010).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 1-15
  18. 이미라.김누리(2018).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M대학교를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4(5), 576-582 https://doi.org/10.7837/kosomes.2018.24.5.576
  19. 이민경.박민경.김윤경(2018). K-CESA를 활용한 학제에 따른 치위생(학)과 학생의 핵심역량 특징 분석.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81-90
  20. 이용길.강경희(2010). 공학 및 사회 계열 대학생들의 STS 소양에 대한 견해 분석. 공학교육연구, 13, 1-8
  21. 이장익(2012). 대학입학 전형제도 유형과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73-96
  22. 이준기 외(2017).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13-123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13
  23. 임지영(2014). 공학계열과 비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글로벌 마인드 역량 비교.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3), 3-7
  24. 전효진.김학진.김영욱(2013). 공학교육인증 졸업생과 비인증 졸업생의 취업률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6, 64-74
  25. 조명희.이현우(2014).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전공계열별 신입생의 학습역량 차이 분석. 진로교육연구, 27(3), 163-179
  26. 진미석.손유미.주휘정(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 461-486
  27. 최은희.이진호(2016). 공학.인문계열 학생의 디자인사고를 통한 협동학습 교육 사례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2), 123-132 https://doi.org/10.18852/BDAK.2016.14.2.123
  28. 황순희(2018).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분석과 비교과 활동의 활용.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1(6), 63-73 https://doi.org/10.18108/jeer.2018.21.6.63
  29. 황지원(2019).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 B대학교를 중심으로. 제5회 K-CESA 활용 학술대회 논문집.
  30. 황지원.김학진.송오성(2016).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교과목 성적과 K-CESA 핵심역량의 관계분석.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9(4), 35-46 https://doi.org/10.18108/jeer.2016.19.4.35
  31. 황지원.손유미.백영은(2017). 대학생들의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핵심역량 차이분석: K-CESA 진단 결과를 중심으로. 핵심역량교육연구, 2(1), 107-123
  32. K.CESA 공식 홈페이지, https://www.kcesa.re.kr/index.do

Cited by

  1. 공과대학 여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vol.23, pp.2, 2019, https://doi.org/10.18108/jeer.2020.23.2.31
  2. 공학 융합역량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생의 인식 비교분석 vol.23, pp.4, 2019, https://doi.org/10.18108/jeer.2020.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