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Urgent Problem and Challenge of Rural Healing Tourism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

  • Kim, Kyung-He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Hwang, Dae-Yong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경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황대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Received : 2019.05.15
  • Accepted : 2019.06.16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Recently rural healing tourism has been attracting tourists' interest in relieving mental stress and restoring physical daily life with nature-friendly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rgent problems and challenges of rural healing tourism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experts. Fourteen experts were interviewed wit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the interview data, six themes were identified for direction of healing touris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area of rural healing tourism can be explained within the framework of health tourism.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rural tourism and healing tourism, rural tourism is expected to enhance physical and mental relaxation, daily restoration, and health promotion if rural tourism expects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life, and educational effect. The core components of rural healing tourism were operators' expertise, program with rurality, ecological environment, and storytelling. The findings of this paper implicate the underlying dimension of rural healing tourism from a experts' perspective.

Keywords

1. 서론

치유는 일상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심신의 휴식과 회복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 증가와 함께 사회적인 트렌드로 발전하고있다. 현대인들은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워졌으나 다양한 질병과정신적 스트레스는 늘고 있어 심리적, 환경적, 문화적 안정에 대한욕구는 증가되고 있다(김지영, & 신나연, 2015). 건강과 관련된 연구는 단순히 질병의 치료나 예방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방법으로 여러 분야에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촌은 관광객들이 도시화된 환경과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며, 삶의 방식과 진정성에 대한 향수를 되돌릴 수 있게 한다(Urry, 2002). 자연친화적 환경과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농촌관광도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농촌에서의 활동 중 휴식과휴양이 선호되고 있다(박정아, & 김병국, 2017).

Pine, & Gilmore(1999)는 경제발전 단계로 범용품 경제, 제조품 경제, 서비스 경제, 체험경제, 그리고 트랜스포메이션경제를제시하였다. 트랜스포메이션(transformation) 경제시대에는 상품이 인간의 변화하고 싶어 하는 욕구, 탈바꿈하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 때 경쟁력이 있다(박종희, & 권영미, 2009). 치유관광은 관광객이 스트레스와 피로에서 심신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행복감과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박정아, & 김병국, 2017; 백림정, & 한진수, 2017). 치유관광은 관광객들에게 변화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상품이 될 수 있는 것이다(박종희, & 권영미, 2009).

그동안 치유관광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국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치유관광객의 동기(박종희, 2018), 치유농장 경영주 분석(김기용, 김경미, & 이상미, 2017), 치유적 효과(고성호, 2018; 김소윤,박해철, 박인균, & 김성현, 2018; 김진옥, & 김도영, 2015; 김진옥,& 이충기, 2017 박정아, & 김병국, 2017)치유관광객 시장세분화(고성호, 2018; Pesonen, & Komppula, 2010), 치유관광이 관광객의 인식(Dimitrovski, & Todorović, 2015; Pesonen, & Komppula,2010; Sharma, & Nayak, 2019; Sirgy, Kruger, Lee, & Yu, 2011),주민들의 인식(Suess, Baloglu, & Busser, 2018) 등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국내의 경우 치유관광의 개념 및 상품화 가능성,치유효과 측정, 관광객의 유형화 및 인식(고성호, 2018; 김진옥,& 김도영, 2015; 박종희, & 권영미, 2009; 백림정, & 한진수, 2017)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졌으나 아직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농촌 치유관광과 관련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를 통해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연구는 자연을 기반으로 한 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편익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국외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져왔다(Pasanen, Tyrväinen, & Korpela, 2014; Sahlin,Ahlborg, Tenenbaum, & Grahn, 2015). 현재 국내에서도 농촌의치유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치유의 숲(김진옥, & 김도영,2015; 김진옥, & 이충기, 2017), 농촌관광객의 치유효과(고성호,2018; 박정아, & 김병국(2017) 등 농촌농업과 농촌의 자원을 활용한 치유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치유를접목한 농촌 치유관광 활성화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도 높아지고있다. 치유를 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하고, 지역자원과연계해 새롭게 재조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박종희, & 권영미,2009).

치유가 하나의 사회적인 트렌드가 되며 농촌관광에서도 치유를 접목한 치유관광에 대해 소비자 뿐만 아니라 농촌 현장에서도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농촌 치유관광이 당면하고 있는문제점이나 당면과제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현장에서도 농촌 치유관광의 개념과 영역, 지향해야 할 방향성이 정확히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농촌에서 지역자원과 공동체를 기반으로 치유관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농촌 치유관광의 현황과 당면 과제에대한 분석이 필수적인데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은 농촌 현장에서 질 높은 치유관광 서비스를 개발하고 성장시키는데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성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표적집단면접조사(FGI: focus groupinterview)는 미국에서 80년대 이후 시장조사 목적으로 시작되어기업들이 애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커뮤니케이션, 정책, 광고,홍보,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오익근, &김연선, 2006). Krueger, & Casey(2000)는 표적집단면접조사(FGI)가 어떤 현상에 대한 생각의 범위를 알아보고자 할 때, 집단 간의시각 차이를 파악할 때, 의견, 행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조사할 때, 아이디어, 소재, 계획, 또는 정책을 미리 시험해보고자할 때, 대규모 설문조사를 하기 전 내용을 파악하고자 할 때, 이미정량적 연구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를 뒷받침할 때 사용된다고하였다(오익근, & 김연선, 2006).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촌 치유관광 현상의 포지셔닝, 농촌관광과 농촌치유관광의 차별성, 농촌 치유관광의 구성요소, 농촌 치유관광의여건, 농촌 치유관광의 이상적인 지향점, 농촌 치유관광 활성화를통한 기대효과 등에 대한 인식을 심도 있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농촌 치유관광의 국내외 현황

현재 관광분야에서는 여러 형태의 관광이 소비자 개인의 웰빙을증진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건강 및 웰니스 관광은 관광연구 및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주제가 되었으며 입지를 확립하였다(Konu, 2010). 이러한 다양한 개념들 간에는 많은 다른 견해가있어왔다. 일반적으로 건강관광(health tourism)은 질병의 치료나예방, 웰빙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여 건강관리를 위해 여행하는것을 말하며 웰니스 관광(wellness tourism)과 의료관광(medicaltourism)을 포함한다(García-Altes, 2005; Stăncioiu, Băltescu, Botoş,& Pârgaru, 2013). 이 중 웰니스 관광은 신체적 건강, 아름다움, 또는 장수 추구, 의식이나 영적 인식의 고양 및 지역사회, 자연 또는신비와의 관계를 통합하는 전체적인 여행 방식으로 웰니스 제품,적절한 기반시설, 시설, 자연 및 웰니스 자원이 있는 목적지에서의다양한 관광경험을 포함한다(Sheldon, & Bushell, 2009). 의료관광은 의료적 치료를 위해 해외로 나가는 것 뿐만 아니라 경쟁력 있는가격에 가장 숙련된 기술을 가진 목적지를 찾는 것으로 의학적 서비스와 관광산업이 결합된 형태이다(Yu, & Ko, 2012).

세계적으로 헬스투어리즘은 관광산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성장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인식되고 있다. 2017년 서유럽의 헬스투어리즘 시장은 146,407.5백만 유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6년 Fetscherin, & Stephano가 개발한 지수에 따르면헬스투어리즘 분야에서 캐나다가(76.9점) 세계 헬스투어리즘을리드하고 있으며, 영국(74.8점), 이스라엘(74.8점) 등이 뒤를 잇고있다. 그 외에 요르단, 필리핀, 독일, 일본, 프랑스, 한국 등도 상위15위 안에 드는 국가들로 제시되고 있다(TourismReview, 2017).

수 세기 전 관광 목적지는 미네랄 치료용 물, 바다, 산악 리조트 및 신성한 장소 등 독특한 자연적 특징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Sheldon, & Park, 2009). 국내에서도 대부분의 치유관광은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웰니스 관광은 광범위한동기와 편익으로 구성된다(Pesonen, & Komppula, 2010). Smith,& Puczkó(2009)는 웰니스의 개념에는 라이프스타일, 신체적, 정신적 및 영적인 웰빙의 요소가 포함되며, 자신 및 타인, 환경과의관계가 포함된다고 하였다. Sheldon, & Bushell(2009)는 웰빙관광을 웰니스 관광의 한 유형으로 보았다. 그들은 웰빙이 지역사회및 자연, 내부 및 외부의 미용요법, 마사지, 스파, 사우나, 휴식, 에니지 밸런싱, 예술, 음악 및 다양한 치료법과 연결된다고 하였다.웰니스 관광이 보통 고급호텔 등 호화로운 상품과 연관된다면웰빙관광은 웰니스의 개념 보다 넓은 범위의 상품과 서비스를포함한다(Konu, Tuohino, & Komppula, 2010).

여러 국가에서 웰니스 또는 웰빙관광은 종종 농촌의 환경에위치하고 있다. 자연을 경험하는 것은 이러한 유형의 관광에서필수적인 부분이다. 웰니스 관광은 종종 농촌지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농촌관광으로 간주될 수도 있지만 구분되기도 한다(Pesonen, & Komppula, 2010). 농촌관광은 일반적으로 밀집된 지역이나 중심지를 벗어난 외곽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관광을 말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농업관광(agritourism, agrotourism)이 농촌관광의 대명사이며, 농촌관광은 보통 자연관광이나 적어도 자연을 여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Pesonen, & Komppula, 2010). 농촌관광은 보통 소규모 가족 기업과 생활방식의 기업가정신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Komppula, 2007). 일반적으로 농촌관광은 웰니스같은 고급스러움이 아닌 웰빙관광과 같은 자연과 평화, 고요함과더 연관이 있다. 많은 농촌관광 연구들에서 농촌관광객의 동기는휴식추구, 일상에서의 탈출, 평화와 고요함, 건강식 등 웰빙관광객의 동기와 유사하게 나타나기도 한다(Pesonen, & Komppula,2010). Park, & Yoon(2009)는 농촌관광객의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해 휴식동기가 농촌관광객에게 중심이 되는 특징임을제시하였다. 농촌관광의 주요한 활동으로 휴식과 휴양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것은 현대인들이 심리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목적으로 농촌을 방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박정아, & 김병국,2017). 따라서 건강과 관련하여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와 신체적일상회복을 위한 관광활동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에게 자연은 가장 중요한 자원이 되며, 농촌에서의 치유관광 활동은 이를 위한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건강지향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트렌드와 함께 농촌에서 자연과 함께 휴식하고, 건강한 먹거리를즐기는 치유관광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및 지자체에서도 농촌 치유관광, 산림치유, 해양치유 등자연기반 다양한 치유 관련 연구 및 사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농촌의 경우 곤충, 원예, 축산 등 다양한 농업관련 자원을 활용할 수 있어 폭넓은 형태로 치유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있다.

2.2. 관련 선행연구

치유관광 및 농촌자원의 치유효과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국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Pesonen,& Komppula(2010)은 핀란드의 잠재 농촌관광객을 대상으로 농촌 웰빙관광의 동기에 따라 시장세분화 하였다. 농촌 웰빙관광객은 다른 유형의 관광객들보다 일상에서 벗어난 휴식, 바쁜 일상에서 탈출, 번거로움 없는 휴가, 재충전, 편안함과 신체척 휴식등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odrigues, Kastenholz, & Rodrigues(2010)은 포르투갈 농촌관광에서 웰니스 활동으로서의 하이킹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포르투갈인과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포르투갈인들은 해변활동을 가장 선호한 반면, 외국인들은 야생의 자연지역 방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rgy, Kruger, Lee, & Yu(2011)은 여행이 관광객의 웰빙(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남아프리카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 및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여행경험은 관광객의 웰빙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삶의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mitrovski, & Todorović(2015)은 세르비아의 스파관광객을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웰빙관광의 동기는 원기회복, 사회화, 쾌락주의,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집착, 휴식, 및 일상탈출 등으로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웰빙관광객의 유형은 사회적활동 관광객, 자기중심적 관광객으로 구분되었다. 사회적활동 관광객이 기혼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재방문 및 추천의향이 높게나타났다. Reitsamer, Brunner-Sperdin, & Stokburger-Sauer(2016)은 호주의 Alpine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분석한결과 관광지의 매력은 목적지 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목적지 태도는 목적지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arma, &Nayak(2019)는 인도의 웰니스 관광지인 리시케시(Lishikesh)를방문한 298명의 관광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관광객의 정서적경험은 목적지의 이미지에, 목적지 이미지는 행동의도에 영향을미침을 제시하였다,

한편, 목적지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도 이루어졌는데Suess, Baloglu, & Busser(2018)는 라스베거스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지역사회 만족, 의료관광에대한 태도, 의료관광의 경제적 성과가 의료관광의 지역사회 웰빙개선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의료관광 개발과 세금의 지불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치유관광의 관광상품화 가능성, 개념정립 및 치유효과를 규명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박종희, &권영미(2009)는 트랜스포메이션 경제시대에 힐링의 관광상품화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가족치유체험 프로그램 및 일반관광 참여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힐링을 체험할 수 있는 여행프로그램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힐링과관련된 여행 프로그램에 대한 관여도가 일반 관광상품보다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힐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재방문의도 그리고 추천의향이 일반관광 프로그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소윤, 박해철, 박인균, & 김성현(2018)은 곤충체험을 통한 치유농업의 심리치유효과를 분석하여 왕귀뚜라미 체험이 노인들의 인지영역, 정서영역, 사회영역에서 긍정적인 심리치유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김경미, 문지혜, 정순진, & 이상미(2013)은 치유농업 선진국의정책과 제도, 조직, 관련 법, 인력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고,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FGI 조사와 치유농업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국내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을 통해 치유농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해 치유농업 전담조직 구축, 지역수준의 치유농업 담당기능과 인력 확보, 치유농업 관련단체, 협회, 협의체, 지부 구성,치유농업 정착을 위한 운영위원회 설립,치유시설 확보 및 확대,치유농업 관련 부처의 협조 확보 등과 같은 조직 차원의 전략을우선 추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오현주, & 이미순(2014)은 질적연구방법인 FGI조사방법을 이용하여 힐링관광의 개념 정립과 힐링에 적합한 관광자원을 도출하였다. 박종철, 윤용보, & 이광옥(2014)은 제천 리솜포레스트 리조트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힐링관광의 구성요소(치유성, 매력성, 공감성, 신뢰성, 반응성, 소비성)가 서비스품질에,힐링관광의 구성요소(매력성, 소비성, 시설성)가 쾌락적 가치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힐링관광의 구성요소(반응성,소비성, 시설성)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서비스품질은 쾌락적 가치에, 서비스품질은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옥, & 김도영(2015)은 치유의 숲을 방문한 힐링관광객을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휴식과 평온, 주의회복은 감정에 영향을미치며, 감정은 삶의 만족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진옥, & 이충기(2017)는 한국형 치유관광의 개념모델을 정립하였으며, 치유의 숲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치유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전과 사후 효과측정을 통해 분석할 결과참여자들은 치유프로그램을 통해 심리적 건강이 향상되고, 부정적인 부분의 스트레스와 정서적 측면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아, & 김병국(2017)은 농촌관광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한 농촌관광객을 대상으로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촌관광객의 사전 및 사후 치유효과는 유의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체험 요인 중 기분전환 요인은마음챙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일상변화 요인, 풍경경관 요인,대인교류 요인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림정, & 한진수(2017)는 힐링관광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체험요인 중 오락적 체험과 일탈적 체험이 주관적 행복감, 재미요소가 주관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며, 오락적 체험과교육적 체험은 심리적 행복감에, 주관적 행복감과 심리적 행복감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김기용, 김경미, & 이상미(2017)는 농촌교육농장 농장주들을대상으로 분석하여 치유농장 사업동기에 따른 농장운영의 특성차이를 규명하여 치유중심형과 교육중심형 프로그램 운영 수익이판매수익중심형 농장에 비해 높음을 제시하였다. 고성호(2018)는힐리언스 선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힐링관광객을 만족에 따라시장세분화하였다. 힐링관광객은 다중복합만족형, 먹거리⋅외부공간만족형, 프로그램 및 환경 만족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군집별로 지출비용과 동반자, 방문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박종희(2018)는 힐링동기가 힐링여행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한 결과 힐링욕구는 내적힐링, 생태힐링, 역량힐링, 영성힐링, 휴식 & 이완힐링, 가족힐링, 사회힐링으로 나타났으며,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힐링여행 유형은 내적성장여행, 환경사회 돌봄여행, 경험을 통한 배움의 여행으로 나타났다. 힐링욕구와 선호하는 힐링여행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내적성장여행을 선호하는 관광객들은 내적힐링욕구, 영성힐링욕구, 휴식 & 이완힐링욕구, 사회힐링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환경사회돌봄여행에 대한 관심이 많은 관광객들은 생태힐링, 영성힐링, 사회힐링, 내적힐링 욕구가 크고, 경험을 통한 배움여행을 선호하는 관광객들은 역량힐링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유사한 연구로 Dawn, & Pal(2011)은 인도의 의료관광에서의 이슈와 기회, 성장과 개발 전략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들은 정부의 역할이 의료관광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정부가 규제기관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분야 민간투자의 촉진자로서 역할을 해야한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내⋅외 치유관광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치유관광에 대한 관광객과 주민의 태도와 인식, 치유효과등을 분석한 연구들이 중심이 되고 있다. 현재 국내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인식과 개발방향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선행연구는 <표 1>과 같다.

<표 1>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선행연구

NCJDBX_2019_v26n2_69_t0001.png 이미지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를 분석하기 위한 질적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조사(FGI)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적집단면접조사(FGI)는 다른 질적 연구와 비교하여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많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Morgan,1988).

표적집단면접조사는 소수의 참여자 집단을 대상으로 특정한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는 가운데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방법으로 탐색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이다(이훈영, 2010). 일반적으로 표적집단은 6~12명 정도로 구성되며, 개별면접보다 많고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참여자에게 응답을 강요하지 않기 때문에 솔직하고 정확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이훈영, 2010).

양적 연구가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그 목적이 있다면, 질적 연구는 연구주제에 대해 참여자의 심도 있는 이해와 통찰을 얻는 것에목적이 있다(오익근, & 김연선, 2006). 표적집단면접조사(FGI)에서인터뷰 대상자는 연구주제에 대하여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있는 사람을 연구자가 판단하여 선정해야 하며, 그룹 안에서는동질성이 있어야 한다(오익근, & 김연선, 2006).

본 연구에서는 2019년 3월 22일과 4월 26일에 농촌 치유관광관련 연구 및 실무 경력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조사(FGI)를 실시하였다. 표적집단면접조사는 2회로 나누어서 실시되었는데, 1차는 치유관광 관련 연구자 및 사업부서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R1~R7), 2차는 농촌 치유관광 운영자등 현장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R8~R14).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3.2. 분석방법

본 연구의 조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연구자가 농촌 치유관광전문가 표적집단면접조사 대한 배경과 절차에 대해 설명을 하고,참가자들에 대해 소개한 후 토론을 진행하였다. 표적집단면접조사를 위해 질문의 구성은 가급적 참가자들이 질문의 내용을 쉽게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토론의 진행은 브레인스토밍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자신들의 의견을 이야기하고 자연스럽게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표적집단면접조사의 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로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특정 참여자의 발언이 집중되지 않도록 발언기회 및 시간을 조정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객관적으로 연구를진행하기 위해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참여하여 표적집단면접조사의 진행과 내용을 면밀히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현장에서 기록을 하는 현장기록법으로 연구를 진행함과 동시에 정확성을 높이기위해 토론의 녹취록을 검토하여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조사결과의 분석은 자료정독과 내용확인(identification), 범주화(categorization) 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공통된 의미에 따라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오익근, & 김연선, 2006; Krueger,& Casey, 2000). 농촌 치유관광 관련 학계 및 현장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농촌 치유관광 현상을 학술적으로 자리매김하고 향후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농촌 치유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표 2> 조사대상자의 특성

NCJDBX_2019_v26n2_69_t0002.png 이미지

4. 연구결과

4.1. 농촌 치유관광 현상의 포지셔닝

건강과 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 됨에 따라 최근 들어농촌관광에서도 ‘치유’라는 용어가 많이 활용되고 있고, 마을 및농가단위에서 치유적 요소를 활용한 체험과 관광활동들이 증가되고 있다. 농촌 치유관광의 영역과 관련해서는 지역자원을 바탕으로 주민들의 참여와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생각해야 하며, 목적과 대상자를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1.1. 농촌 치유관광은 헬스투어리즘이다.

농촌 치유관광 현상이 일반적인 관광 현상의 범주와 이론적틀 안에서 어떤 위치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점차 농촌의 치유관광 프로그램이 다루는 영역이 다양화되고, 전문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갈 것이기 때문에 헬스투어리즘(health tourism)이라는 큰 틀 안에서 설명하는 것이 타당할할 것으로 나타났다.

“개념을 작게 잡아놓으면 확장이 어렵기 때문에치유관광도 범위를 키워 놓으면 활동할 수 있는 범위나프로그램, 마을지원 등의 측면에서 여러 형태가 들어갈수 있을 것입니다.”(S7)

“학술적으로는 연구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헬스투어리즘 안에 메디컬, 웰니스 투어리즘을 포괄하고있기 때문에 헬스투어리즘이라는 큰 틀 안에서 설명이가능할 것입니다.”(S4)

“향후 농촌마을 치유관광도 점차 전문화되어 갈것이므로 헬스투어리즘이라는 큰 틀 안에서 보는 것이좋겠습니다.”(S4)

4.1.2. 농촌 치유관광은 지역자원이 핵심이다.

농촌 치유관광은 지역의 특수한 자원을 활용해서 목적과 대상자, 주민에 대한 혜택 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자연자원, 특수한 자원을 가지고 농촌에서치유를 활용하는 형태로 웰니스나 건강, 의료관광 등어느 쪽이든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에 초점을두는 것이 좋겠습니다.”(S5)

“농촌 치유관광의 목적이 무엇인지, 대상자가 누구인지, 농촌주민들에게 어떤 도움이 될 것인지 등을생각해서 영역을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S5)

4.2. 농촌관광과 농촌 치유관광의 차별성

기존의 농촌관광과 농촌 치유관광의 차별성에 대해서는 농촌관광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도 볼 수 있겠지만, 농촌관광이 농업⋅농촌의 경험, 여가활동, 교육체험 등이 목적이라면 농촌 치유관광은 일상에서 벗어난 치유적 요소를 가진 관광과 체험활동을 목적으로 한다. 농촌관광이 농업⋅농촌에 대한 이해와 경험의확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한다면 농촌 치유관광은 신체적⋅정신적 휴식과 일상회복, 건강증진 등을 기대한다는 차이가 있다.

4.2.1. 농촌 치유관광은 치유를 주목적으로 한다.

농촌 치유관광은 기존 농촌관광의 연장선 상에서 볼 수도 있으나 치유라는 개념을 접목시킨 것으로 농촌관광과 같은 영역으로 볼 수도 있고, 다른 영역으로 볼 수도 있다. 농촌 치유관광의공간적인 범위, 소비자 관점에서 봤을 때의 목적 등에 대한 현실적인 추가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유가 추구하는 몸과 정신의 회복은 관광의 목적인 스트레스를 어떻게 회복할 것인지에 대한 것과같습니다. 농촌관광은 농촌의 문화, 환경을 도시민이체험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치유관광은 농촌이가지고 있는 환경, 체험적 요소들을 활용해 치유라는 개념을 농촌에 접목시킨 것으로 농촌치유관광은 농촌관광과 일맥상통하면서도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영역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영역이될 수 있어요.”(S2)

“대상자에 따라 목적과 의도하는 것이 달라지겠죠.핸드폰 중독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핸드폰 사용이 안되는 곳이 좋겠고, 장기적 실업상태로 자신감이 저하된사람에게는 농촌에서 땀 흘리고 일하며 성취감을 얻는경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상자와 목적이 중요하죠. 모든 대상자에게 똑같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S1)

“농촌관광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볼 수 있을 것같습니다.”(S3)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관광동기나 욕구 등에서출발하면 될 것입니다.”(S2)

“치유관광은 일반 사람들이 피폐해지는 것, 정신이나 육체적인 스트레스 등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봅니다.”(S2)

“농촌 치유관광에서는 기간, 신체적⋅정신적 휴식과 일상회복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치유적인 요소를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S7)

4.2.2. 농촌 치유관광은 쌍방향적인 프로그램이다.

기존 농촌체험이 일방향적인 프로그램이었다면, 농촌 치유관광은 고객과 운영자가 서로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고객이 원하는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농촌체험이 일방향이라면, 치유관광은기존의 농촌관광에 치유라는 요소가 하나 더 접목되고,쌍방향으로 갈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당일이든 1박 2일이든 한 번 와서 경험해서 좋으면 다음에또 올 것이고 그 후 일주일 이주일 머무를 수 있는체계가 잡혀 갈 거에요.”(S6)

“차이점은 전문화라고 봅니다. 일반 체험마을은누구나 다 운영할 수 있지만, 치유관광은 고객의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치유관광의 전문성을위해 병원과 연계해 데이터를 계속 수집하고 있습니다.내가 프로그램을 짜는 것도 있지만 오는 사람들을타켓에 맞게 대상을 구분하고 이 분야에서는 어떤사람을 강의자로 해야겠다는 등 전문성을 확보하고자노력합니다.”(S14)

4.3. 지역자원 활용과 공동체의 역할

농촌 치유관광은 주민과 공동체의 교류이기 때문에 주민들의역할과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 치유관광에서는 소비자 측면 뿐만 아니라 주민에 대한 점도 반영해 가는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민들을 위한 치유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이 치유를 경험하고 관광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하는 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3.1. 주민도 중요한 치유자원임을 인식해야 한다.

지속가능하고 효과성 있는 치유관광 운영을 위해서는 치유관광객을 대하는 주민들의 태도가 중요하며, 관광객과 주민이 함께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은 전문적인 치유시설과 달리 농촌성을 바탕으로 하여 주민들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농촌의 인적, 물적 특징을잘 살리는 운영방법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농촌에서는 전문적인 치유센터처럼 할수는 없고, 조금 다른 무언가를 찾아야 합니다. 농업인들이 운영할 수 있는 보급형 프로그램도 필요합니다.”(S3)

“관광객을 대하는 주민들의 심리상태가 편해야 관광객을 대하는 태도도 달라지기 때문에 주민교육이필요합니다. 농촌 치유관광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외에 인적인 부분이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S3)

“기존의 농촌체험은 우리가 체험객들에게 주입을하는 개념이었다고 볼 수 있어요. 체험 프로그램 만들어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형태였다면, 치유관광은관광객들이 가볍게 오셔서 본인들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지요. 기존 농촌체험이 우리가 제공하는 형태였다면, 치유관광은 서로 간에 교류라고 할 수 있을 것같아요. 우리는 다양하게 가지고 있다가 오시는 분에맞춰서 유연하게 제공하는 형태에요.”(S11)

“관광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도 치유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농촌 치유관광에서 주민에 대한 점도반영해 가야 할 것입니다.”(S3)

“마을의 역량과 공동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봅니다.”(S4)

4.3.2. 농촌 치유관광의 이미지 구축이 중요하다.

농촌 치유관광은 지역의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 스토리텔링등을 통해 심신이 회복된다는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농촌 치유관광은 대중적인관광으로서 성격이 크기 때문에 지역자원과 연계한 치유적 상징성을 가진 관광상품으로써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의 지형, 수공간, 대나무숲, 특산물, 지역주민등을 치유관광을 요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가령, 강천산도 다리까지 가면 어떤 효과가 있고 폭포까지 갔을 때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 나름대로 마을에서의 자원을 치유효과와 매칭을 시켜서 지역만이 가진독특성을 가져갈 수 있을 것입니다.”(S7)

“농촌 치유관광은 상징성을 띄고 있어요. 마을의특징을 가지고 주민들이 치유관광에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해주느냐, 심신이 회복된다는 것을 공기가 좋냐나쁘다를 잴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런 환경과 분위기를조성해줌으로써 심신이 회복된다는 개념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각의 마을에서는 마을이 가진자원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런활동은 어디에 도움이 된다’라는 것에 대한 스토리를만들어주면 좋을 것 같아요. 우리 마을에 오면 이런것이 있어 이런 활동을 하면 어떤 점이 좋다는 이야기꺼리가 될 것입니다. 농촌 치유관광은 대중적인 관광에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지 아픈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치료와는 다릅니다.”(S2, S5)

4.3.3. 농촌 치유관광 운영자의 마인드가 중요하다.

농촌 치유관광의 운영자는 치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치유자원과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에 대한 관찰을 통해 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할수 있는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사지 등 자격증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자격증의 공신력과 의료법 준수 등의 부분에 대한 검증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농촌체험과 달리 치유형 농촌관광을 운영하려면 옷도 깨끗이 하고 음식도 어떻게 만들었고 수즙지만 마을에 나와서 설명해주는 디테일이 필요합니다.마음을 움직여야 하므로 마음의 자세. 서비스 교육이있어야 합니다. 15~16명 정도의 운영인원이 적당하구요.. 치유관광을 통해 주민들의 자존감도 높아진 것같아요.”(S4)

“무조건적인 과잉친절도 맞지 않고, 운영자는 프로그램에 대해 모두 꿰뚫고 있어야 하고, 프로그램의힐링 포인트를 미리 알아야 합니다. 꼭 명상이 필요한것도 아니고 다른 부분으로도 충분히 치유프로그램을할 수 있습니다.”(S3)

“농촌의 모든 요소가 치유요소인데 이거를 사람과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운영자는전체를 꿰뚫으면서 고객이 원하는 것을 연결할 수있는 안목이나 분석할 수 있는 능력, 기본적인 지식이필요합니다. 운동생리학을 통해 근육을 사용하는 것이뇌와 연결됨을 알 수 있어요. 근육 하나하나 쓰는 것도그냥 걷는 것이 아니라 재밌게 걷는 법 등 여러 프로그램이 생길 수 있습니다.”(S7)

“걷기 명상만 하더라도 그냥 걷는 것과 올바른 자세로 걷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깊게 들어가면 전문성을 가지면서 가야되는데 제가 마사지로 강의를 했는데합당한 자격이 있느냐고 고객께서 물으신 적이 있어요.. 대체요법 기관에서 받았는데 엄밀히 말하면 국가자격증은 아닌거죠.. 따라서 공신력부분에서 의료법위반이 아니냐고 했을 때 곤란함을 느꼈습니다.”(S3)

4.4. 농촌 치유관광의 구성요소

농촌 치유관광의 핵심 구성요소는 운영자의 전문성, 농촌성,생태적인 환경과 시설, 스토리가 있는 지역 특산물, 감성언어의활용 등 주민들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지역의 자원에따라 치유의 컨셉을 정하여 마을의 역량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필요하다.

4.4.1. 치유는 마음과 정신으로 하는 체험이다.

농촌 치유관광은 감성을 통해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도록함으로써 몸과 정신이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운영자의 역량, 농촌다운 환경과 시설물,스토리가 있는 지역생산물, 감성언어 등도 중요한 치유적 요소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농촌체험은 몸에 대해 활용하는 면이 많았다면, 치유는 마음과 정신에 대한 측면이 많이 들어간다고 볼 수 있어요. 치유는 몸으로만 체험하는 것에서벗어나 마음과 정신으로 하는 체험입니다.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농촌의 자원과 운영자의 스킬이 필요합니다.”(S10)

“전문인력, 농촌스럽고 생태적인 농촌다운 환경과시설물, 마을에서 생산되고 스토리가 있는 음식이 중요합니다.”(S4)

“몸과 정신을 치유하는데 필요한 활동과 마을 특성에 따른 자원을 연결한다면 치유관광에 맞는 구성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S2)

“치유관광마을의 구성요소로 농업자원, 농촌의 자연환경과 농업경관 등 어메니티 자원, 운영자의 역량이포함되어야 한다고 봅니다.”(S3)

“지역의 언어도 치유적 요소입니다. 언어적인 측면으로 접근해 감성을 통해 관광객의 감정을 움직여주는것도 중요합니다.”(S7)

4.4.2. 치유마을의 컨셉에 맞게 지역자원을 활용해야 한다.

치유 특화공간의 개발 및 지역자원 활용 등 농촌 관광시설의치유적 활용을 위해서는 치유마을의 컨셉에 맞게 지역 및 인근의자원을 선정해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을자원을 가지고 마을별 컨셉을 정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가령, 명상을 하기 좋은 마을이 있다면그런 스토리를 사용할 수 있겠지요. 모든 것을 다 가지고 있는 마을은 없을 것 같아요. 마을이 가진 영역을가지고 마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S2)

“지역의 어메니티 자원 중에서 선택해서 이용할수 있을 것입니다.”(S1)

“한국의 전통미가 있는 마을, 현대적인 시설의 마을등 치유마을의 컨셉에 맞게 매력물을 선정해서 활용할수 있습니다.”(S6)“지역적 경계를 어디까지 나누어서 활용할지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S1)

“소소한 시설, 쉼터 등도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S4)

“치유관광은 치료의 보조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너무 심화로 하면 안될 듯 합니다. 관에서 이 선까지는가도 된다는 것을 내려주고 기준만 세워주면 문제가될 것은 없다고 봅니다.”(S13)

“농촌의 모든 요소가 치유요소인데 이것을 사람과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운영자는전체를 꿰뚫으면서 고객이 원하는 것을 연결할 수있는 안목이나 분석할 수 있는 능력, 기본적인 지식이필요합니다.”(S14)

4.5. 농촌 치유관광의 여건과 기대효과

농촌 치유관광은 내부적으로 자연친화적 자원을 활용하고, 농촌의 고유성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나타났다. 내부적 약점으로는 주민의 서비스 역량 부족, 농촌의 고육성을 경험할 수 있는 부분의 감소 경향,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낮은 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4.5.1.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낮은 인식, 주민의 서비스

역량 부족, 상품성 부족 등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농촌 치유관광은 내부적으로 자연친화적 자원을 활용하고, 농촌의 고유성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나타났다. 내부적 약점으로는 주민의 서비스 역량 부족, 농촌의 고유성을 경험할 수 있는 부분의 감소 경향,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낮은 인식 등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의 외부적 긍정요인으로는 건강중시 트렌드, 소확행과 워라밸 등의 라이프스타일 변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외부적부정요인으로 농촌의 안전성과 청결성 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상품성의 미흡, 도시민의 접근성, 농촌사회의 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의 내부적 강점으로 자연친화적 자원과 농촌의 고유성을 들 수 있고 외부적 긍정요인으로건강과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들수 있습니다.”(S5)

“외부적 부정요인으로는 상품성이 아직 미흡하고도시민의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S5)“치유관광에 대한 홍보나 관심이 부족하고, 마을에서 개별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S11)“외부의 부정요인으로 농촌의 안전성과 청결문제가 있고, 사회적으로 청년취업율 저하와 경제적 저성장으로 인한 소득감소도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부분이 치유관광의 고객이 되므로 외부적 기회요인도될 수 있습니다.”(S1)

“외부적 부정요인으로 요즘 증가하고 있는 농촌노인의 자살률도 있을 것 같아요. 이로 인해 농촌의치유적 이미지가 저하될 수 있을 것입니다.”(S4)

“농촌의 고유성을 경험할 수 있는 부분이 점점 줄고있는 것도 내부적 약점이라고 볼 수 있음.”(S3)

“치유관광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인식부족도 내부적 약점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S4)

4.5.2. 치유라는 것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부담감도 느낀다.

치유라는 것이 명확히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운영하는측면에서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마다차별성 없는 비슷한 프로그램은 치유마을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운영하는실입니다. 왜냐면 오시는 분에게 치유가되게 해야 하는데 치유라는 프로그램을 한다고 해서치유가 되는지 안되는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치유라는단어를 안쓴다고 해서 치유가 안되는 것도 아니고.우리가 어떻게 다가가야될지 고민이 됩니다. 마을마다프로그램도 비슷해요. 명상이나 이런 것도 어디나 하고있는 것 같고 프로그램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는데..가는 곳 마다 비슷하다고 하면 오는 사람이 식상할수 있습니다.”(S12)

4.5.3. 공동체성의 회복과 지역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될수 있다.

농촌 치유관광을 통한 기대효과로 주민간의 공동체성 회복과장기적으로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중요한 점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 활성화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공동체와 지속가능성의 회복, 농업인의 소득증대는 물론 도시민의 여가공간확대와 건강증진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공동체성 회복,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 할 수있다는 점이라고 봅니다.”(S11)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 점이라고 봅니다. 농촌이 치유를 하려면 농촌다움을 회복해야 합니다.사람들 간의 소통, 여유, 농촌경관 등 모든 것이 완성이되어야 치유가 됩니다. 농촌다움을 회복해야 오스트리아 등 유럽처럼 누구나 가고 싶은 곳이 될 수 있지요.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이나 마을 전체가 함께 참여해야합니다.”(S14)

“농업인의 소득 확대,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도시민에게 휴식처와 좋은 관광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S1)

“여가공간 생성과 도시민의 건강증진이 효과라고할 수 있을 것 같아요.”(S5)

“사회적으로 아직도 인식이 미흡한 편이지만 당분간은 치유관광에 대한 관심은 지속 될 듯 합니다.”(S11)

4.6. 농촌 치유관광의 이상적인 지향점

농촌 치유관광의 이상적인 지향점은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관계를 생각하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의 치유관광 시설은 새로운 것을 조성하기 보다는 기존의 시설들을 리모델링하고 평온함을 느낄 수 있도록 감성적 요소를 담아 스토리텔링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6.1. 관광객과 주민이 함께 치유되어야 한다.

농촌 치유관광은 관광객들도 치유가 되지만 지역주민도 같이치유되는 것이 필요하며, 관광객과 주민의 교류와 관계가 중요한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서로 윈윈이 되는 방향이여야 할 것 같아요. 지역주민이 만족하지 않으면 외부인에게 좋은 것을 보여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마을이자존감과 자부심이 높아지면 지속적으로 갈 수 있고결과적으로 윈윈이 되는 방향으로 갈 것입니다.”(S1)“농촌 치유관광이라고 하면 관광객들도 치유가 되지만 지역주민도 같이 치유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유관광에서 경제적인 부분도 좋지만 농촌에서도 외지사람들을 관광객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끈끈한관계로 보면 좋을 것입니다.”(S3)

“현재 자원을 보존하면서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이되어야 합니다. 공간조성은 기존에 있는 그대로 활용하거나 기존 시설들을 리모델링하는 수준으로 가야할것입니다. 치유관광의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할것 같아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욕구가 어떤 경험을할 때 평온함을 느끼는지 하는 것이 중요하지 산책을했다는 행위가 중요한건 아니라고 봅니다. 경험과 감성을 스토리텔링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S2)

4.6.2. 치유관광을 통해 청년들이 농촌에 유입될 수 있도록해야 한다.

농촌 현장에서 치유관광을 운영하는데 있어 최소한의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청년 등 현장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인력을 육성하는 방안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생태관광처럼 인원 제한이라든지 어느 정도의 지침이나 가이드라인, 규칙을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특히 치유관광은 건강이나 안전과 관련되므로 치유관광 관련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이 필요합니다.”(S4)“농촌에 전문인력이 줄고 농촌사회가 고령과 되어가는 부분에서 학생들이 농촌을 선호하는 경향이 낮아요. 농촌이 기회는 많으나 학생들에게 동기부여 할수 있는 연결고리가 미약한 것 같아요. 미래의 직업으로써 농촌에서 사업을 하거나 전문적으로 능력을 펼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학생들을 미래 인력으로키워나가는 정책이 필요합니다.”(S2)

“마을이 잘되는 곳을 보면 결국은 사람의 역할이중요함. 중간조직 등 뛸 수 있는 사람을 키우는 쪽으로청년들을 유입하면 좋을 듯합니다.”(S3)

4.6.3. 치유관광마을 운영을 위한 제도개선, 관련 부처간협업이 필요하다.

농어촌체험휴양마을처험 도농교류법에 포함된다면 기타 마을기업이나 농가단위에서도 치유관광 관련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부처 간 연계와 협업 통해 치유관광사업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도농교류법에 포함되지 않는 개별 농가들, 마을기업 등은 음식업 허가를 따로 받는 등 농어촌체험휴양마을과 달리 체험휴양사업의 제도권 밖에 있어 제도개선이 필요합니다.”(S5, S6)

“제도권에서 인정되어 치유관광으로 등급을 받으면 농어촌체험휴양마을처럼 공식적으로 인정을 해주는 제도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S8)

“교육부, 복지부 등 부처들 간에 연계가 필요할것 같습니다.“(S9)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는 농촌 치유관광 현상의 포지셔닝과 차별성, 지역자원 활용과 공동체의 역할, 구성요소, 여건, 기대효과, 이상적인 지향점, 사업의 확장성 확보 방안 등으로 구분하여 <표 3>과 같이 제시하였다.

<표 3>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 요약

NCJDBX_2019_v26n2_69_t0003.png 이미지

5. 결론

치유관광은 심신의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 심리적 회복 등의효과로 인해 국내 관광분야에서도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농촌에는 자연친화적 환경과 다양한 치유적 자원이 있으며, 농촌자원을 활용한 체험 및 관광활동이 미치는 신체적, 정서적 영향이 밝혀지며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도 높아지고있다.

본 연구는 농촌 치유관광 개발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분야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조사(FGI)를 통해 도출된 의견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촌 치유관광의 목적과 대상자, 주민들에 대한 고려가 중심이 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농촌 치유관광이 지역자원을 바탕으로 하고 주민들에 의해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지역의 발전과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들면, 농촌마을에서는 운영하기 어려운 요법이나 기기 등을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있는 자원으로 치유의 효과를 끌어낼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농촌 치유관광은 농촌관광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볼 수 있으나 치유라는 컨셉이 더해진 것으로 일상에서 벗어난 치유적요소를 가진 관광과 체험활동을 주목적으로 하며, 신체적⋅정신적 휴식과 일상의 회복, 건강증진 등을 기대한다. 농촌 치유관광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측면 뿐만 아니라 주민들도함께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농촌 치유관광은 지역의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 스토리텔링 등을 통해 심신이 회복된다는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세심한 운영능력이 요구된다고 할수 있다. 이는 농촌관광객의 체험 요인에 따라 치유효과에 차이를 보인 선행연구(박정아, & 김병국, 2017; 백림정, & 한진수,2017), 농촌 웰빙관광객이 일상에서 벗어난 휴식, 바쁜 일상에서탈출, 번거로움 없는 휴가, 재충전, 편안함과 신체척 휴식 등에대한 욕구가 높았던 선행연구(Pesonen, & Komppula, 2010)와 유사한 결과이다.

농촌 치유관광의 핵심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운영자의 전문성, 농촌성이 담긴 프로그램, 생태적인 환경과 시설, 스토리가 있는지역 특산물, 감성언어의 활용 등 주민들의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에서는 지역마다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저마다의 자원에 맞게 치유의 컨셉을 정하고 마을의 역량에맞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유관광객을 세분화하여 대상자별로 특성에 맞는 치유상품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힐링관광객의 군집별로 행동에 차이를 보인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고성호, 2018; 박종희, 2018).

농촌 치유관광의 여건과 관련해서는 자연친화적 자원을 활용하고, 농촌의 고유성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고 할 수있으나, 주민의 서비스 역량 부족, 농촌의 고유성을 경험할 수있는 부분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점, 농촌 치유관광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낮은 인식 등은 약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적 트렌드, 소확행과 워라밸 등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는외부적 긍정요인으로 볼 수 있으나, 농촌의 안전성과 청결성 등에 대한 부정적 인식, 상품성의 미흡, 도시민의 접근성, 농촌사회의 변화 등은 외부적 부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 활성화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농업인의 소득증대는 물론 도시민의 여가공간 확대와 건강증진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의 이상적인 지향점은 지역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농촌 치유관광은 지역자원을 바탕으로 마을단위 또는 경영체들이 연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동체가 함께 할수 있는 목표와 지향점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치유관광마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설을 도입하는것 보다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기존 시설과 자원을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감성적 요소를 담은 스토리텔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유관광에서 목적지의 매력이 목적지에 대한 태도와 애착에 영향을 미쳤던 선행연구(Reitsamer et al., 2016),목적지의 정서적 경험이 목적지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던 선행연구(Sharma, & Nayak, 2019)와 유사한 결과이다.농촌 현장에서 치유관광을 운영하는데 있어 최소한의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청년 등 현장에서 구심점의 역할을할 수 있는 인적자원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치유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기업, 법인 등 농어촌체험휴양마을이 아닌 형태의 치유관광마을에서도 제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치유관광은 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는 여가와 심신의 건강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됨은 물론, 주민들에게는 자긍심을가질 수 있고 지역사회 발전과 연계되는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인들이 요구하고 있는 건강, 치유라는 트렌드와 더불어 농촌 치유관광은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농촌 치유관광은 국민의 여가공간 조성과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농촌 치유관광의 당면과제를 분석한 연구가 거의없는 상황에서 질적연구를 통해 현상을 범주화 하였다는 점에서학술적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농촌 현장에서 치유관광을 활성화 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관련 학계 및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바탕으로 분석된 결과이므로, 소비자 및 치유관광마을 지역주민등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지 못했다는한계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치유효과와 변화 및 치유관광에 대한 인식, 치유관광마을 참여 지역주민들의 인식 등 다각도에서 분석해 보는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References

  1. 고성호. (2018). 힐링관광 만족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관광레저연구, 30(5), 191-208.
  2. 김경미, 문지혜, 정순진, & 이상미. (2013).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 909-936.
  3. 김기용, 김경미, & 이상미. (2017). 국내 치유농장 경영주의 사업동기에 따른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4, 173-183.
  4. 김소윤, 박해철, 박인균, & 김성현. (2018). 곤충체험을 통한 치유농업의 심리치유효과-왕귀뚜라미 사례. 농촌지도와 개발, 25, 99-110.
  5. 김지영, & 신나연. (2015). 힐링(Healing)의 개념분석, 건강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종양간호연구, 15(1), 51-58. https://doi.org/10.5388/aon.2015.15.1.51
  6. 김진옥, & 김도영. (2015). 힐링관광 참여자의 주의 회복과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감정이 삶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4(4), 161-178.
  7. 김진옥, & 이충기. (2017). 한국형 치유관광의 개념 모델 정립 및 치유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1(5), 5-21.
  8. 박정아, & 김병국. (2017).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1(2), 83-92. https://doi.org/10.34272/FOREST.2017.21.2.008
  9. 박종철, 윤용보, & 이광옥. (2014). 힐링관광의 구성요소에 따른 서비스품질이 쾌락적 가치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8(11), 49-66.
  10. 박종희. (2018). 힐링동기가 힐링여행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30(2), 251-269.
  11. 박종희, & 권영미. (2009). 트랜스포메이션 경제시대에 있어서 힐링의 관광 상품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1(2), 357-374.
  12. 백림정, & 한진수. (2017). 힐링관광에서의 고객체험이 주관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6(3), 1-17.
  13. 오익근, & 김연선. (2006). 포커스그룹인터뷰의 관광연구 적용. 관광학연구, 30(1), 433-439.
  14. 오현주, & 이미순. (2014). 힐링 (Healing) 관광자원 도출에 관한 질적 연구. 관광레저연구, 26(5), 23-40.
  15. 이훈영. (2010).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도서출판 청람.
  16. Dawn, S. K., & Pal, S. (2011). Medical tourism in India: issues, opportunities and designing strategies for growth and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1(3), 7-10.
  17. Dimitrovski, D., & Todorovic, A. (2015). Clustering wellness tourists in spa environment.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16, 259-265. https://doi.org/10.1016/j.tmp.2015.09.004
  18. Garcia-Altes, A. (2005). The development of health tourism servic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32(1), 262-266. https://doi.org/10.1016/j.annals.2004.05.007
  19. Konu, H. (2010). Identifying potential wellbeing tourism segments in Finland. Tourism Review, 65(2), 41-51. https://doi.org/10.1108/16605371011061615
  20. Konu, H., Tuohino, A., & Komppula, R. (2010). Lake wellness-A practical example of a new service development (NSD) concept in tourism industries.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16(2), 125-139. https://doi.org/10.1177/1356766709357489
  21. Krueger, R., & Casey, M.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Inc.
  22. Morgan, D. (1988).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 Beverly Hills, CA: SAGE.
  23. Park, D-B., & Yoon, Y-S. (2009). Segmentation by motivation in rural tourism: A Korean case study. Tourism Management, 30(1), 99-108. https://doi.org/10.1016/j.tourman.2008.03.011
  24. Pasanen, T. P., Tyrvainen, L., & Korpela, K. 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indoors, outdoors in built environments, and outdoors in nature. Applied Psychology: Health and Well-Being, 6(3), 324-346. https://doi.org/10.1111/aphw.12031
  25. Pesonen, J., & Komppula, R. (2010). Rural wellbeing tourism: Motivations and expectation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17, 150-158. https://doi.org/10.1375/jhtm.17.1.150
  26. Pine, B. J., & Gilmore, J. H. (1999). The experience economy: Work is theatre & every business a stage. Harvard Business Press.
  27. Reitsamer, B. F., Brunner-Sperdin, A., & Stokburger-Sauer, N. E. (2016).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destination attachment: The mediating role of tourists' attitude.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19, 93-101. https://doi.org/10.1016/j.tmp.2016.05.003
  28. Rodrigues, A., Kastenholz, E., & Rodrigues, A. (2010). Hiking as a relevant wellness activity-results of an exploratory study of hiking tourists in Portugal applied to a rural tourism project.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16(4), 331-343. https://doi.org/10.1177/1356766710380886
  29. Sahlin, E., Ahlborg, G., Tenenbaum, A., & Grahn, P. (2015). Using nature-based rehabilitation to restart a stalled process of rehabilitation in individuals with stress-related mental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2), 1928-1951. https://doi.org/10.3390/ijerph120201928
  30. Sheldon, P., & Bushell, R. (2009). Introduction to wellness and tourism. In R. Bushell, & P. J. Sheldon (Eds.), Wellness and tourism. Mind, body, spirit, place (pp. 3-18). New York: Cognizant Communication.
  31. Sheldon, P., & Park, S.-Y. (2009).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wellness destination. In R. Bushell, & P. J. Sheldon (Eds.), Wellness and tourism. Mind, body, spirit, place (pp. 99-113). New York: Cognizant Communication.
  32. Sharma, P., & Nayak, J. K. (2019). The role of destination image as a mediator between tourists' emotional experiences and behavioral intentions: A study of wellness tourism.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in press.
  33. Sirgy, M. J., Kruger, P. S., Lee, D. J., & Yu, G. B. (2011). How does a travel trip affect tourists’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50(3), 261-275. https://doi.org/10.1177/0047287510362784
  34. Smith, M., & Puczko, L. (2009). Health and wellness tourism. Oxford: Butterworth-Heinemann.
  35. Stăncioiu, A. F., Băltescu, C. A., Botos, A., & Pârgaru, I. (2013). Conceptual aspects regarding marketing of spa tourism in Romania. Theory and Applied Economics, 20(2), 124-137.
  36. Suess, C., Baloglu, S., & Busser, J. A. (2018). Perceived impacts of medical tourism development on community wellbeing. Tourism Management, 232-245.
  37. Tourism Review News. (2017). Health Tourism-Canada, UK, and Israel on the TOP. Retrieved from https://www.tourism-review.com/health-tourism-spreading-globallynews5383( accessed on June 15th, 2019).
  38. Urry, J. (2002). The tourist gaze (2nd ed.). London: Sage.
  39. Yu, J. Y., & Ko, T. G. (2012). A cross-cultural study of perceptions of medical tourism among Chinese, Japanese and Korean tourists in Korea. Tourism Management, 33(1), 80-88. https://doi.org/10.1016/j.tourman.2011.02.002

Cited by

  1. 농촌 치유관광에서의 회복경험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3.0113
  2. 곤충을 이용한 치유농업의 심리치유효과 - 호랑나비 사례 -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3.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