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CBR)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의 지역사회기반 재활의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김은주 (세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영주 (세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9.05.02
  • Accepted : 2019.07.02
  • Published : 2019.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on elderly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ICF factors. This study used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database from January 2009 to January 2019. As a result, a total of 5 studies were selected. The ICF factor effect size of the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was 4.77 for physical function and structure, and 6.17 for activity and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s effective on physical function, structur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ICF 영역으로 분류하여 지역사회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 외에 게재된 연구로 PubMed MEDLINE, Cochrane CENTRAL, Google Scholar, 한국학술지인용색인, RISS, 국회도서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선정논문의 실험군, 대조군의 대상자 수, 평균,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 크기, 출판 편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총 5편 연구가 선정되었고, 대상자는 실험군 144명, 대조군 152명 총 296명이었다. 지역 사회 재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8.83이였고, ICF 영역별 효과 크기는 신체기능 및 구조에서는 4.77, 활동과 참여에서는 6.17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도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의 지역사회기반 재활의 신체기능 및 구조, 활동과 참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7_628_f0001.png 이미지

그림 1. PRISMA Flow Diagram

CCTHCV_2019_v19n7_628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신체구조 및 기능의 숲그림

CCTHCV_2019_v19n7_628_f0004.png 이미지

그림 4. 활동과 참여의 숲그림

CCTHCV_2019_v19n7_628_f0005.png 이미지

그림 5. 깔대기 점도표 (A) 전체 (B) 신체구조 및 기능 (C) 활동과 참여

CCTHCV_2019_v19n7_628_f0006.png 이미지

그림 2. 전체의 숲그림

표 1. 분석대상 연구의 특성

CCTHCV_2019_v19n7_628_t0001.png 이미지

표 2. ICF 영역에 따른 효과크기 및 통계적 이질성

CCTHCV_2019_v19n7_628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통계청, 한국을 위한 인구 예측조사: 2010-2040, 서울, 2012.
  2. R. Perneczky, C. Pohl, C. Sorg, J. Hartmann, N. Tosic, T. Grimmer, and A. Kurz, "Impair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quiring memory or complex reasoning as part of the MCI syndrom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1, No.2, pp.158-162, 2006. https://doi.org/10.1002/gps.1444
  3. F. Mario and L. Mendez Jeffrey,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Philadelphia, Butterworth-Heinemann, 2003.
  4. R. Petersen, "Conceptual issues," In R. Petersen (Ed.), Mild cognitive impairment: Aging to Alzheimer's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 보건복지부, 제2차(2013-2015)국가치매관리 종합계획, 서울, 2012.
  6. P. Enerby and D. J. Wade, "Community rehabilitation in the United Kingdom," Clinical Rehabilitation, Vol.15, No.6, pp.577-581, 2001. doi:10.1191/02 69215501cr450oa
  7. 원종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재활시스템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pp.16-26,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016
  8.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Switzerland: Author, 2001.
  9. 장한영, "국제 기능, 장애 및 건강 분류의 등장과 재활의학적 적용,"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8권, 제5호, pp.401-411, 2004.
  10. 김서은, 박상미, 정민예, "집단복합중재가 초기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5호, 제1권, pp.45-55, 2017,
  11. 배나리, 이광헌, 이관, 곽경필,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위한 인지훈련의 효과," 노인정신의학, 제19권, 제2호, pp.91-96, 2015.
  12. 김태우, 이광헌, 이관, 곽경필, "지역사회의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독거노인에 대한 인지강화프로그램의 효과," 노인정신의학, 제21호, 제2권, pp.99-105, 2017.
  13. M. Borenstein, L. V. Hedges, J. P. Higgins, and H. R. Rothstein, "A basic introduction to fixed-effect and random-effects models for meta-analysis," Research Synthesis Methods, Vol.1, No.2, pp.97-111, 2010. doi:10.1002/jrsm.12
  14. M. Arbesman, J. Scheer, and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Vol.13, No.5, pp.18-22, 2008.
  15. Cochrane Collaboration, Report of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2015.
  16. M. Cozzolino, "A review of evidence-based rehabilitation: A guide to practice, 2nd edition,"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Vol.23, No.1, pp.75-76, 2008. https://doi.org/10.1080/07380570802552858
  17. M. Borenstein, L. V. Hedges, J. P. Higgins, and H. R. Roth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ew York, Wiley, 2011.
  18. F. Faul, E. Erdfelder, and A. G. Lang,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4,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9. S. P. Keef and L. A. Roberts, "The meta analysis of partial effect size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Vol.57, No.1, pp.97-129, 2004. doi:10.1348/000711004849303
  20. A. J. Sutton, F. Song, S. M. Gilbody, and K. R. Abrams, "Modelling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A review," Statistical Methods in Medical Research, Vol.9, No.5, pp.421-445, 2000. https://doi.org/10.1177/096228020000900503
  21. S. H. Downs and N. Black, "The feasibility of creating a checklist for the assessment of the methodological quality both of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of health care interventions,"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52, No.6, pp.377-384, 1998. https://doi.org/10.1136/jech.52.6.377
  22. C. D. Fisher and R. Gitelson,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8, No.2, pp.320-333, 1983. https://doi.org/10.1037/0021-9010.68.2.320
  23. 신은경, "장애인 사회참여와 개인 및 지원환경요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 HLM을 이용한 분석," 직업재활학회지, Vol.17, No.1, pp.121-146, 2007.
  24. P. Enderby and D. T. Wade, "Community rehabilitation in the United Kingdom," Clinical Rehabilitation, Vol.15, No.6, pp.577-581, 2001. https://doi.org/10.1191/0269215501cr450oa
  25. 김용득, "지역사회중심 장애인서비스 정책의 쟁점과 과제," 한국사회서비스학회, 제6권, 제2호, pp.1-28, 2016.
  26. 김영근, "보건소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에서 작업 치료 필요성 탐색-대구시 CBR 시범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3, pp.13-24, 2007.
  27. 김용택, 서강, 이상주, "재가 요보호장애 고령자에 대한 CBR 사업실태와 과제: 경주시 보건소의 CBR활동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제24권, pp.101-124, 2004.
  28. 차유진, 전병진, "지역보건법에 근거한 지역사회중심재활(CBR)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소와 치매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3, pp.41-53, 2012.
  29. 최인희, 김윤경, "경도인지장애 대상자를 위한 워크북 활용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1, pp.439-452, 2017.
  30. K. Hauer, P. Ullrich, I. Dutzi, R. Beurskens, S. Kern, J. Bauer, and M. Schwenk, "Effects of Standardized Home Training in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Geriatric Rehabili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Gerontology, Vol.63, No.6, pp.495-506, 2017. https://doi.org/10.1159/000478263
  31. A. Bahar-Fuchs, S. Webb, L. Bartsch, L. Clare, G. Rebok, N. Cherbuin, and K. J. Anstey, "Tailored and Adaptive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in Older Adults at Risk for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Vol.60, No.3, pp.889-911, 2017. https://doi.org/10.3233/JAD-170404
  32. 차유진, "지역사회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작업회상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605-614,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8.605
  33. 박인혜, 최인희, 강서영, 김윤경, 이정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개인별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적용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10, 2015.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