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사의 특성이 비인격적인 감독과 부하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s Characteristics o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투고 : 2019.05.02
  • 심사 : 2019.05.29
  • 발행 : 2019.07.28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직장인들에게 익숙해지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인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상사의 특성 3가지를 개인적 상황(권위주의성향), 조직적 상황(직무불안정성), 개인 및 조직적 상황(자기방어양가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비인격적 감독을 매개로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위해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는 남녀 종사자를 대상으로 팀장과 팀원을 위한 설문지를 각각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내용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관련한 선행요인 3가지(권위주의, 직무불안전성, 자기방어 양가성)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 2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인격적 감독의 매개효과의 관한 가설 3 검증 결과 선행요인 3가지가 비인격적 감독을 부분매개하여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bout the impersonal behavior of the supervisor, which is the root cause of 'Workplace Harassment [bullying]', which becomes familiar to Korean work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supervisors are classified into three situations such as personal situation (authoritarian propensity), organizational situation (job insecurity), and personal and organizational situation (self-defensive ambivalence). Then the effects of those propensiti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ir subordinating workers through abusive supervision were analyzed. To this end, separate surveys for team leader and team members were composed. The subjects were male and female workers in large enterprise i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predisposing factors related to the abusive supervision (authoritarianism, job insecurity, and self-defensive ambivalence) made positive (+) effects on the abusive supervision of the supervisor. Second, in the hypothesis 2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abusive supervision of the supervisor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ubordinates, it was found that the abusive supervision of the supervisor made negative (-)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ubordinates. Third, in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3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busive supervision, the three predisposing factors partially mediated the abusive supervision and made negative (-)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ubordinates.

키워드

CCTHCV_2019_v19n7_489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설문의 구성

CCTHCV_2019_v19n7_489_t0001.png 이미지

표 2. 상사집단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요약

CCTHCV_2019_v19n7_489_t0002.png 이미지

표 3. 부하집단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요약

CCTHCV_2019_v19n7_489_t0003.png 이미지

표 4. 상관관계 분석결과

CCTHCV_2019_v19n7_489_t0004.png 이미지

표 5. 선행요인이 비인격적 감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7_489_t0005.png 이미지

표 6. 회귀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7_489_t0006.png 이미지

표 7. 상사의 선행요인과 조직몰입 간 비인격적 감독 매개효과 분석 결과

CCTHCV_2019_v19n7_489_t0007.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대한상공회의소.McKinsesy & Company, "한국기업문화의 근본적 혁신을 위한 제언," 2018.
  2. 한주원,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요인과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시민행동과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8.
  3. Valle, Matthew, "A preliminary model of abusive behavior in organizations," Southern Business Review, Vol.30, No.2, pp.27-35, 2005.
  4. 임기영, 조선미, "송호정, 의사집단 내 폭력 현황 및 권위주의와 공격성, 충동성, 성격특징과의 상관," 한국의학교육, 제16권, 제3호, pp.299-308, 2004. https://doi.org/10.3946/kjme.2004.16.3.299
  5. L. A. King and R. A. Emmons,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Psychology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864-877,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5.864
  6. R. A. Emmons and P. M. Coby,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8, pp.947-959, 1995. https://doi.org/10.1037/0022-3514.68.5.947
  7. B. J. Tepper, M. K. Duffy, C. A. Henle, and L. S. Lambert, "Procedural injustice, victim precipitation, and abusive supervision," Personnel Psychology, Vol.59, pp.101-12, 2006.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6.00725.x
  8. B. J. Tepper,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No.2, pp.178-190, 2000. https://doi.org/10.2307/1556375
  9. K. L. Zellars, B. J. Tepper, and M. K. Duffy,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7, No.6, pp.1068-1076, 2002. https://doi.org/10.1037/0021-9010.87.6.1068
  10. 김선주, 한인수, "비인격적 감독, 상사에 대한 신뢰, 일탈행동의 관계: 자기통제 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1권, 제1호, pp.65-94, 2017.
  11. B. Ashforth, "Petty tyranny in organizations: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Canadian Journal of Administrative Sciences, Vol.14, pp.126-140, 1997. https://doi.org/10.1111/j.1936-4490.1997.tb00124.x
  12. F. Bowen and K. Blackmon, "Spirals of silence: The dynamic effects of diversity on organizational voi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40, No.6, pp.1393-1417, 2003. https://doi.org/10.1111/1467-6486.00385
  13. J. M. Hoobler and D. J. Brass, "Abusive supervision and family undermining as displaced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1, pp.1125-1133, 2006. https://doi.org/10.1037/0021-9010.91.5.1125
  14. M. Inness, J. Barling, and N. Turner, "Understanding supervisor-targeted aggress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No.2, pp.737-739, 2005.
  15. 김정진, 박경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성격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1호, pp.461-481, 2012.
  16. 남경숙, 유영진, "공정성이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인격적 감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24-33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324
  17. 박경규, "상사 및 부하의 성격과 비인격적 감독의 상호작용 효과," 서강경영논촌, 제22권, 제1호, pp.65-92, 2011.
  18. 임창현,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동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부하의 상사신뢰와 회복탄력성 작용을 포함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2.
  19. 정수진, 이춘길, "비인격적 감독행위와 조직성과 및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27권, 제3호, pp.1285-1308, 2014.
  20. 정호일, "비인격적 감독행위가 부하의 부정적 조직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감성지능 조절 및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6호, pp.2767-2788, 2015.
  21. B. J. Tepper, "Abusive supervision in work organizations: Review, Synthesis,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Vol.33, pp.261-289, 2007.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0812
  22. B. J. Tepper, M. K. Duffy, and J. D. Shaw, "Personality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resist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5, pp.974-983, 2001. https://doi.org/10.1037/0021-9010.86.5.974
  23. B. J. Tepper, "Abusive supervision," In S. Rogelberg & C. Reeve (Eds.), Encyclopedia of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pp.1-4, 2006.
  24. B. J. Tepper, C. A. Henle, L. S. Lambert, R. A. Giacalone, and M. K. Duffy,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 organizational devi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3, No.4, pp.721-732, 2008. https://doi.org/10.1037/0021-9010.93.4.721
  25. P. A. Banberger and S. B. Bacharach,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 problem Drinking: Taking Resistance, Stress and Subordinate Personality into Account," Human Relations, Vol.59, No.6, pp.723-752, 2006. https://doi.org/10.1177/0018726706066852
  26. M. S. Mitchell and M. L. Ambrose,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devi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reciprocity belief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No.4, pp.1159-1168, 2007. https://doi.org/10.1037/0021-9010.92.4.1159
  27. 김선주, 비인격적 감독과 일탈행동 간의 관계: 권력거리성향과 자기통제능력이 조절하는 상호작용공정성의 매개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28. 김학주, 호텔상사의 비인격적감독이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상사신뢰, 심리적 웰빙간의 관계성연구 : 특급호텔 조리종사자를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8.
  29. 이운룡, 백양숙, 박호환,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 및 셀프모니터링의 조절효과,"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 pp.1411-1447, 2016.
  30. 이현기, 이은진, 정인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동료로부터의 지식수혜 및 상사의 지적자극의 조절효과," 한국HRD연구, 제11권, 제4호, pp.1-23, 2016.
  31. 정인호, 이종연, 이은진,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 인식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탐색," 한국경영교육학회, 제29권, 제6호, pp.112-136, 2014.
  32. 한주원, 김정진, 박경규,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저항행동 관계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공정성과 심리적계약위반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0권, 제3호, pp.837-857, 2011.
  33. 홍영옥, 호텔기업 상사의 비인격적 가독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4.
  34. T. W. Adorno, E. Frenkel-Brunswik, D. Levinson, and Sanford,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2nd Eds.)," W. W. Norton & Company, Inc. 1982.
  35. S. J. Ashford, C. Lee, and P. Bobko, "Content, causes, and consequences of job insecurity: A theory-based measure and substantive tes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pp.803-829, 1989. https://doi.org/10.2307/256569
  36. 배민정, 정윤경, "어머니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양육태도와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28권, 제2호, pp.159-174, 2015.
  37. J. Brochner, T. R. Tyler, and R. Cooper-Shneider, "The influence of prior commitment to an institution on reactions to perceived unfairness: the higher they are, the harder they fall,"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7, pp.241-261, 1992. https://doi.org/10.2307/2393223
  38. J. H. Neuman and R. A. Baron, Aggression in the workplace, In R. A. Giacalone & J. Greenberg(Eds.), Antisocial behavior in organizations, pp.37-67, 1997.
  39. 김성진, "조직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12권, 제4호, pp.1-15, 2011.
  40. M. K. Duffy, D. C. Ganster, and M. Pagon, "Social undermining a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5, pp.331-351, 2002. https://doi.org/10.2307/3069350
  41. M. J. Martinko, P. Harvey, J. R. Brees, J. Mackey, "A review of abusive supervision research,"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4(S1), pp.120-137, 2013. https://doi.org/10.1002/job.1888
  42. 양혜선, 카지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상사신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상호작용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6.
  43. K. Aquino, "Structur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workplace victimization: The effect so fhiera rchical statu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 Journal of Management, Vol.126, pp.171-193, 2000. https://doi.org/10.1177/014920630002600201
  44. 최해연, 민경환,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1권, 제4호, pp.71-89, 2007. https://doi.org/10.21193/KJSPP.2007.21.4.004
  45. 최해연,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억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8.
  46. 김원표,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사회와 통계, 2008.
  47. R. Hense and C. Wright,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s toward censorship questionnair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2, pp.1666-1675, 1992.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2.tb00968.x
  48. 박계홍, 최영근,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조직행동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탐색,"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5권, 제1호, pp.127-151, 2012.
  49. 박규석,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태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4.
  50. 김은정, 아동기 외상과 초기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_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0.
  51.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11, pp.63-118, 1990.
  52. L. Greenhalgh and Z. Rosenblatt, "Job In security : Toward con ceptional clar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9, pp.438-448, 1984. https://doi.org/10.5465/amr.1984.4279673
  53. S. L. Robinson and R. J. Bennett, "A typology of deviant workplace behaviors : A multi-dimensional scaling stud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pp.555-572, 1995. https://doi.org/10.2307/256693
  54. S. J. Ashford, "Self-assessments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and integrative model,"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1, pp.133-174,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