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rete Class Plan for a Statistical Project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Using Infographics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초등학교 5학년 통계 프로젝트 수업의 구체화 방안

  • Received : 2019.01.15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encourages students to use graphs in newspapers and the Internet as materials when teaching graphs, and to experience a series of statistical problem-solving processes that collect, classify, organize, graph and interpret data. The graphs that the students learn through traditional textbooks were a single type of graphs. In particular, the graphs of the 5th and 6th grade groups were only increased in numbers, but the basic concepts were repeated in the 3rd and 4th grades. Fortunately, from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graph suitable for the situation while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some graphs. In most cases, the graphs used in the real world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a compounded infograph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analyze the manifestation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element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the statistical project class using the informal graphic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we suggested a concrete class plan.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에게 그래프를 지도할 때 신문, 인터넷에 있는 그래프를 소재로 활용할 것과 자료를 수집, 분류, 정리하여 그래프를 그리고 해석하는 일련의 통계적 문제 해결 과정을 겪어볼 것을 권장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이 배우는 그래프는 단일한 형태의 그래프들이었고, 특히 5~6학년군의 그림그래프는 수치만 커졌을 뿐 기본 개념은 3~4학년군의 내용을 반복하고 있다. 다행히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는 일부 그래프의 특성을 서로 비교하면서 상황에 적합한 그래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현실 세계 사용되는 그래프는 여러 가지 그래프들이 복합된 인포그래픽 형태로 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통계 프로젝트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5학년 교실에서 활용 가능한 인포그래픽 활용 통계 프로젝트 수업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7). 교사용지도서 수학 4-2. 서울: (주)천재교육.
  2. 교육부 (2018).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서울: 저자.
  3.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 (2001).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서울: 학지사.
  4. 김묘영 (2014). 좋아보이는 것들의 비밀 인포그래픽. 서울: (주)도서출판 길벗.
  5. 김지혜 (2018). 인포그래픽 활용 초등학교 5학년 통계 프로젝트 수업 구체화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문양희, 강동식 (2015).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0),879-898.
  7. 박영희 (201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17-34.
  8. 방정숙 (2008).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4), 655-676.
  9. 방정숙, 유은서, 김유경 (2016). 통계 내용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정보 처리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3), 499-519.
  10. 비주얼다이브 (2014). 인포그래픽 완전 정복 정보를 디자인하는 인포그래픽 제작 가이드. 서울: 정보문화사.
  11. 양정인 (2017). 통계적 사고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 자료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원다예 (2016). 이것이 인포그래픽이다. 서울: 한빛미디어.
  13. 이윤경 (2009). 프로젝트형 수업을 통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통계 지도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해용, 임희준 (2017).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살펴본 초등 과학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초등과학교육, 37(1), 80-91.
  15. 채미란 (2007). 프로젝트 기반 통계 학습이 초등학생의 통계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최지윤 (2017). 통계 포스터 작성 프로젝트 수업이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와 수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Russo, L. S. & Passannante, M. R. (2001). Statistics fever.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6(6), 370-376. https://doi.org/10.5951/MTMS.6.6.0370
  18. Smiciklas, M. (2013). 인포그래픽이란 무엇인가 한눈에 간파하는 시각적 정보 전달력의 매력. 권혜정 역. 의왕시: 에이콘출판주식회사.
  19.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