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art-time Work on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Life - Using Seoul Survey -

시간제 근로 및 성별에 따른 개인의 삶의 만족도 분석 -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이용하여 -

  • 김재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 임업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9.06.19
  • Accepted : 2019.06.26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Korea's average annual working hours are among the highest in the OECD. Such long-term work has been a factor that reduces the quality of life by discouraging workers' productivity and interrupting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prompting the government to encourage flexible work systems, such as increasing part-time jobs, but a lack of quality part-time jobs. Part-time work enables flexible labor for workers, but at the same time, workers will involuntarily opt for part-time work as they have poor working conditions and negative social views. In this respect, the effect of the working type on an individual's life is expected to be different. In addition, for women, gender gaps exist in the labor market and the impact of part-time work on life satisfaction is expected to differ from men in terms of working and family alike. Using the data from the 2017 "Seoul Survey Urban Policy Indicator Survey", the ordered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cross-effect of working type and sex on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the study showed that when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life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fulltime female, full-time male, part-time female, and part-time male. In addition, further analysis shows that the parttime female workers have the highest probability of choosing low life satisfaction, while the probability of choosing high life satisfaction is the lowest, and full-time male workers have the lowest probability of choosing low life satisfaction, while the highest probability of choosing high life satisfaction is the highest.

우리나라 연평균 근로시간은 OECD 최상위 수준이다. 장시간 근로는 근로자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일과 가정의 양립을 방해하는 등 삶의 질을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최근 정부는 시간제 일자리를 증가하는 등 유연근로제를 장려하고 있지만,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가 부족한 현실이다. 시간제 근로는 일과 개인의 삶을 병행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열악한 근로환경과 부정적인 사회적 시선을 보유하여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전일제 근로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 노동시장에서 성별 격차를 경험하고 있으며, 일과 가정의 병행이라는 측면에서 시간제 근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2017년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근무유형-성별의 교차효과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삶의 만족도는 전일제 여성, 전일제 남성, 시간제 여성, 시간제 남성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제 여성 근로자가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이 가장 높은 반면, 높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전일제 남성 근로자는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이 가장 낮은 반면, 높은 삶의 만족도를 가질 확률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가영희, 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2), pp.163-186.
  2. 고용노동부, 2018, 근로시간 단축 관련 개정 근로기준법 설명 및 홍보자료, 세종: 고용노동부.
  3. 국회예산정책처, 2013, 시간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률 제고 방안: 한국형 모델개발, 재정의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4. 김강식, 2014, 근로시간 단축의 쟁점과 과제, 질서경제저널, 17, pp.41-66.
  5. 김난주.권태희, 2009,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여성연구, 76(1), pp.43-70.
  6. 김현경.강신욱.장지연.이세미.오혜인, 2015, 시간제 일자리 확산이 소득 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금재호, 2014, 시간제근로자의 중요성과 노동시장 현황, 노동리뷰, 109, pp.29-49.
  8. 박은희.김혜숙, 2017. 근로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디지털융복합연구, 15(11), pp.581-589.
  9. 성재민, 2014, 여성 시간제 일자리 확산과 함의, 노동리뷰, 111, pp.20-33.
  10. 이주희, 2011, 정규직 시간제 일자리 도입의 전제조건과 정책과제, 노동리뷰, 72, pp.21-26.
  11. 이준협, 2013, 시간제 일자리의 실상과 대응방안-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늘리는데 초점 맞춰야, 한국경제주평, 546, pp.1-21.
  12. 정성미, 2010, 여성 시간제근로자의 현황 및 특징, 서울:한국노동연구원.
  13. 통계청, 2014, 2013년 유연근로제 활용 현황, 대전: 통계청.
  14. 통계청, 2017,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대전: 통계청.
  15. 홍찬숙, 2011, 시간제 고용은 일/가족 양립을 지원하는 적합한 방법인가?, 경제와사회, 90, pp.363-386.
  16. OECD, 2017, 2017 한국경제보고서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7), Paris, France: OECD.
  17. OECD, 2018, 2018 한국경제보고서 (OECD Economic Surveys: Korea 2017), Paris, France: OECD.
  18. Boye, K., 2009. Relatively different? How do gender differences in well-being depend on paid and unpaid work in Europe?, Social Indicators Research, 93, pp.509-525. https://doi.org/10.1007/s11205-008-9434-1
  19. Campbell, A., Converse, P. E., and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NY:Russel Sage Foundation.
  20.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and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pp.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1. Gash, V., Mertens, A., and Gordo, L. R., 2010. Women between Part-Time and Full-Time Work: The Influence of Changing Hours of Work on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SOEP papers on Multidisciplinary Panel Data Research, 268, Berlin, Germany: SOEP.
  22. Kenjoh, E., 2005, New mothers' employment and public policy in the UK, Germany, the Netherlands, Sweden, and Japan, Labour, 19, pp.5-49. https://doi.org/10.1111/j.1467-9914.2005.00322.x
  23. McCullagh, P., 1980, Regression models for ordinal data,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 Series B (Methodological), 42(2), pp.109-142. https://doi.org/10.1111/j.2517-6161.1980.tb01109.x
  24. Palmore, E., and Kivett, V., 1977, A longitudinal study of persons aged 46-70, Journal of Gerontology, 32, pp.311-316. https://doi.org/10.1093/geronj/32.3.311
  25. Rife, J., 2001, Mental health benefits of part-time employment: A case study, Clinical Geronotologist: Journal of Aging and Mental Health, 24, pp.186-188.
  26. Rodriguez-Pose, andres, and Viola Von Berlepsch, 2014,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happiness in Europ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5, pp.357-386. https://doi.org/10.1007/s10902-013-9426-y
  27. Sparreboom, T., 2014, Gender equality, part-time work and segregation in Europe, International Labour Review, 153, pp.245-268. https://doi.org/10.1111/j.1564-913X.2014.00203.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