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Commitment for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 소운영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소연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 박채연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 김연준 (강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 노효련 (강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So, Woonyoung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t Dogye) ;
  • Kim, So Yeo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t Dogye) ;
  • Park, Chae Yeo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t Dogye) ;
  • Kim, Yeon Ju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t Dogye) ;
  • Roh, Hyo Ly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t Dogye)
  • 투고 : 2019.04.11
  • 심사 : 2019.06.30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18명의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 정도였으며 진로결정몰입도는 '보통'에서 '미몰입' 수준으로 1학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4학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몰입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특히, 하부요인인 전공 자부심이 진로결정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도는 미몰입 수준으로 낮게 나타나서 진로결정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career decision commitment for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e perform the self-report survey for 218 students. As a result,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for students is found to be mid-range, and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commitment for ones is lowest in the first graders and the highest in the fourth graders. A notable point is that the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seems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commitment.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major of prid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areer decision commitment. From this study, finally, it seems that a method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 commitment is needed because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commitment of students is assessed to be fairly lowered at a level of non-commitment.

키워드

Ⅰ. INTRODUCTION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지원하는 대다수의 학생들은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학교 서열 및 합격위주의 대학에 진학함으로써 전공에 대한 불만과 학교생활에 대한 부적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1] 이러한 문제는 보건계열의 학생들에게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보건 의료분야는 타 전공보다는 상대적으로 취업이 용이하다는 특성 때문에 자신의 적성보다는 취업을 위한 목적으로 보건계열을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2,3] 그런데 취업을 위한 목적으로 보건계열을 선택하면서 부적응과 불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을 하게 되고 이것이 전공에 대한 만족과 진로몰입에 영향을 주게 된다.

진로결정몰입은 진로준비 행동, 취업, 취업 후 직무만족과 관련이 있는데,[4-6] 진로결정몰입은 특정한 직업에 대한 선호를 분명히 하고 진로결정에 강한 애착을 느끼며 진로목표를 위해 꾸준한 계획을 실행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신의 특성 및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과 자신의 진로목표에 대한 몰입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4,7] 진로결정몰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람은 자신의 직업을 선택할 때 안정된 심리상태에서 하게 되며[8] 진로결정몰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직업을 선택하는 사람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겪게 된다.[6] 따라서 진로결정몰입을 높이는 것은 대학시기 동안 적절한 진로를 탐색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직업에 대한 선호를 명확히 하고 진로목적을 위해 꾸준한 계획을 실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중요하다.[9]

진로에 대한 몰입을 결정하는데 미치는 많은 요인 중에 전공만족도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10] 전공만족도는 자신의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대와 비교하여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의 과정으로[11] 대학생이 전공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성적저조, 휴학, 자퇴 등의 대학생활에 대한 부적응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12] 반면, 자신의 전공에 만족하는 학생들은 높은 학업성취도와 적극적인 생활태도를 보이며, 대학생활을 통해 자신의 역량과 가치를 보다 높이게 된다.[13] 대학 시기는 전공학문에 대한 탐색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직업인으로서 사회에 진출하기 직전의 시기이므로 개인의 삶이 좌우될 정도로 중요하다.[14] 그러므로, 대학생들에게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의 내용과 지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학교생활뿐만 아니라, 졸업 후의 진로에 있어서도 매우 큰 중요성을 지닌다. 그런데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전공결정몰입도와 전공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과 학생들에 대한 전공만족도와 전공결정몰입도를 알아보는 것은 방사선 분야의 발전과 방사선사 개인의 직업 만족도를 위하여서도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가 전공결정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몰입도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METHODS

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참가자는 4년제 방사선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18명이다. 조사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 한 달 간이었다. 자료 수집은 자가보고형 질문지 방식으로 현장 방문조사를 통해 조사의 모집에 있어 연구목적 및 방법, 연구 참여에 대한 취지와 연구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동의하는 경우에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익명성 보장, 자발적인 연구 참여 동의와 거부, 설문지 작성 도중 언제라도 중단 및 거부가능하며 연구 종료 후 자료의 안전적 보관과 폐기에 대한 설명을 하였고 모든 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설문지는 총 260부를 배포하여 24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동일한 값으로 작성하였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21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와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전공만족도에 관한 설문지의 구성은 Ha(2000),[15] Lee(2009)[16]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문항은 학생들의 생각에 따라 1="전혀 그렇지 않다", 2="별로 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런 편이다", 5="매우 그렇다" 의 5점 리커트(likert)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평균의 합으로 복합지표(composite index)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 만족도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진로결정몰입도를 측정하기 위해 Blustein(1989)[17]가 개발하고 Choi(2007)[18]이 번안한 직업적 탐색 및 몰입(VECS: Vocational Exploration and Commitment Scale) 도구를 원문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문항은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생각에 따라 5="전혀 그렇지 않다", 4="별로 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2="그런 편이다", 1="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8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응답자는 5점 리커트 척도에 따라 응답하게 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몰입 수준이 낮은 ‘미몰입 단계’ 를 의미하는데 측정변인 간의 개념적 방향성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각 문항을 역채점하여 통계처리에 사용하였기에,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단 5개의 문항(1, 4, 5, 14, 16 문항)은 점수가 높을수록 몰입 수준이 높은 ‘몰입 단계’ 를 의미하기에 역 채점에서 제외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평균의 합으로 복합지표(composite index)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몰입도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3. 측정도구의 타당성

본 연구에서는 요인분석 방법으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면, 요인 적재치는 0.50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고, 요인 적재치를 높이기 위해 직접 오블리민 회전을 하였다.

 

3.1 전공만족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변수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총 22개의 변인이 추출되었으며, 3개의 요인으로 묶였다. 이 중 요인 1(문항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은 교과만족도로, 요인 2(문항 4, 5, 6)은 전공자부심으로, 요인 3(문항 1, 2, 3, 7, 8, 9, 10)은 교육내용으로, 선행연구를 참조하고 문항의 내용에 알맞게 명명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는 Cronbach’s α가 전공만족도 전체는 0. 948이었다. 전공만족도 요인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는 Cronbach’s α가 교과만족도는 0.930, 전공자부심은 0.836, 교육내용은 0.868로 나타났다.

Ha(2000),[15] Lee(2009)[16]의 연구에서 Cronbach's α 0.6 이상이면 신뢰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측정도구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값이 모두 0.8 이상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신뢰할 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Table 1.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of Major satisfaction

BSSHB5_2019_v13n3_415_t0001.png 이미지
 

3.2 진로결정몰입도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변수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에 표시하였다.

총 18개의 변인이 추출되었으며, 3개의 요인으로 묶였다. 이 중 요인 1(문항 6, 7, 8, 9, 10, 11, 12, 13, 15, 17, 18, 19)은 진로확신으로, 요인 2(문항 1, 4, 5, 14,1 6)은 흥미분야로, 요인 3(문항 2)은 진로목표집중으로 선행연구를 참조하고 문항의 내용에 알맞게 명명하였다. 진로결정몰입도에 대한 전체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는 Cronbach’s α가 .897로 나타났다. 전공몰입의 요인들의 Cronbach’s α는 진로확신은 0.919, 흥미분야는 0.775 로 나타나서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신뢰할 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Kim(2013)[19]의 연구에서의 Cronbach’s α값은 0.897로 보고하였다. 측정도구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값이 모두 0.7 이상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신뢰할 만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Table 2.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in student decision of career

BSSHB5_2019_v13n3_415_t0002.png 이미지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은 p≤.05 로 설정하였고 분석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셋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One-way ANOVA를 실시하고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전공만족도가 전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RESULT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성별 분포를 보면 남학생 122명(56.0%), 평균연령은 23.19±1.93세, 여학생이 96명(44.0%), 평균연령은 21.11±1.99세이다.

 

Table 3. A general feature of the subject

BSSHB5_2019_v13n3_415_t0003.png 이미지

 

2.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 정도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정도는 Table 4에 표시하였다. 전공만족도 전체는 3.64±0.59점으로 보통값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서 중간정도로 만족하는 수준이었고 성별 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5). 전공만족도 하부요인 중 교과만족도는 전체 3.69±0.64점이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 만족도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성별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5). 전공자부심은 3.36 ±0.78점이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만족도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남녀 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5). 교육내용은 3.68±0.60점이었고 남녀 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5). 따라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전공 만족도 요인 중 교육내용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정도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정도를 Table 5에 표시하였다.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4.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by gender

BSSHB5_2019_v13n3_415_t0007.png 이미지

 

Table 5. Degree of Major satisfaction by grade

BSSHB5_2019_v13n3_415_t0008.png 이미지

 

4.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몰입도 정도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성별간의 진로결정몰입도에 대하여 Table 6에 표시하였다. 진로결정몰입도와 하위요인인 진로확신, 흥미분야, 진로목표집중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몰입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6. Degree of career commitment by gender

BSSHB5_2019_v13n3_415_t0004.png 이미지

 

5.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몰입도 정도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몰입도에 대하여 Table 7에 표시하였다. 학년에 따른 진로결정몰입도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나타났으며(p<.01)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진로확신은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나타났으며(p<.05)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흥미분야 요인과 진로목표집중 요인에서는 학년에 따른 통계학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7. Degree of career commitment by grade

BSSHB5_2019_v13n3_415_t0005.png 이미지

 

6. 전공만족도가 진로 몰입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Table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진로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전공만족도 변인은 교과만족도(β=.24**), 교육내용(β=.19*)이며 전체적인 모형설명력은 낮은 수준이다(R2=.12). 흥미분야에서는 교과만족도(β=.467***), 전공자부심(β=.241***)이며 모형설명력 높게 나타났다(R2=.39). 진로목표집중에서는 교과만족도(β=-.225**)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형설명력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R2=.07). 즉, 교과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도가 높아지며,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확신이 높으며 전공자부심이 높을수록 흥미분야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8.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commitment

BSSHB5_2019_v13n3_415_t0006.png 이미지

 

Ⅳ. DISCUSSION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 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전공만족은 자신의 전공영역에 대한 교육적 측면의 심리적 충족 수준을 의미한다.[20] 전공만족에 대한 이론은 대표적으로 2가지 측면에서 논의되는데 하나는 즐거움의 수준 즉, 감정적 측면의 접근이고 다른 하나는 달성지각으로의 인지적 ․ 감정적 측면의 접근이다. 전자는 개인이 자신이 속한 학과에 대해서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의 즐거움 정도이고 후자는 자신 또는 주위 사람들의 기대가 달성되었음을 지각하는 정도라 할 수 있다.[21] 본 연구에서 전공만족도 전체의 합은 3.64점이었고 전공만족도의 요인 중 교육내용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정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 et. al.(2018)[22] 연구에서 전공만족도는 평균 3.77점으로 나타났고 Kim et. al.(2016)[23]의 3.76점이라고 하여 본 연구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Soe et al. (2015)[24]의 안경광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3.49점이었으며 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한 Shin(2011)[25]의 연구에서 전공만족도는 3.40점으로 나타나서 본 연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방사선학과 학생들은 안경광학과 학생들보다는 전공만족도가 높고 간호학과 학생들보다는 전공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보이는데 전체적으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 정도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전공 만족도 요인 중 전공자부심과 교육내용은 남학생이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를 조사한 Moon et. al.(2010)[26]의 연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Yu(2015)[27]의 체육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가 선행연구들에서 다른 결과를 나타낸 것은 전공이나 계열에 따라 성별의 선호도가 달라짐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환경이나 전공에 따라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변화하므로 다양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며, 향후 반복연구를 통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24]

본 연구에서 진로결정몰입의 경우 3.07점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몰입의 하위요인 중 진로목표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흥미분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11]에서 진로결정몰입의 경우 3.27점으로 하위요인별로는 진로탐색 및 몰입이 3.25점, 진로배제가 3.31점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2013)[28]의 연구에서의 진로결정몰입이 3.01점이었고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2013)[19]의 연구에서 진로결정몰입도는 3.26점으로 나타났다. Lee(2015)[9]의 연구에서는 진로결정몰입은 사회복지학과와 사회계열학생들보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 정도가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07점으로 다소 낮게 나타나서 방사선학과 학생들이 진로에 대해 확신이 부족하고 몰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진로결정몰입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Lee et. al.(2015)[11]의 연구에서 진로결정몰입은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고 하여 본 연구와 같은 결과를 나타났다.

진로결정몰입이란 진로결정에 강한 애착을 갖고, 직업적 선호에 분명한 의식을 가지며 진로목적을 위해 꾸준한 계획을 실행해 나가는 정도를 의미한다.[4,18] 대학생들은 성인으로서 인생의 전환과정에서 취업과 진로에 대한 강한 집중력이 필요한 시기로 취업을 위하여 계획을 세우고 장기적인 노력과 계획을 실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진로결정몰입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9] 대학생의 진로결정몰입은 진로 준비행동과 취업 및 취업 후 만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5-7] 그러므로 방사선과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을 위한 방사선사라는 직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진로를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시절의 이러한 경험은 우수한 방사선사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가 되어서 국내 방사선사의 역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과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몰입도가 높아지며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확신이 높으며 전공자부심이 높을수록 흥미분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2015)[29]의 연구에서 전공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결정몰입 수준이 높다고 하였다. Yang et. al.(2010)[30]의 연구에서는 전공-흥미가 일치할수록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하였고 직업흥미수준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전공에 대한 만족이 전공교과에 대한 만족 뿐만 아니라 전공학문에 대한 일반적 만족 교수학생간의 관계만족 등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학업과 진로에 관심을 가지고 물리적, 심리적 지원과 적극적인 진로지도 비젼 제시 등을 통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29] 특히, 본 연구에서 전공자부심과 교과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도에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39%(r=0.39)의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면 전공자부심은 진로결정몰입도의 모든 하부요인에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었으므로, 전공자부심은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몰입을 이끄는 주 원동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대학과 교수는 방사선사의 직업적 특성과 학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취업 사례 등을 소개하여 학생들이 학과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2개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므로 전국의 방사선학과 학생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행 연구에서는 전국의 다양한 분포와 표집 수를 증가시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부분을 세밀하게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다. 후행 연구에서는 개방형 또는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질적 자료를 통한 개인의 세밀한 분석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Ⅴ. CONCLUSION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방사선과 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진로결정몰입도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몰입도는 ‘중간’ 또는 ‘낮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몰입 정도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는 1학년에서 가장 낮았고 4학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전공자부심이 진로결정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몰입도 정도도 보건계열의 타 학과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몰입도가 ‘중간’ 또는 ‘낮음’ 으로 나타나서 진로결정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7년도 강원대학교 대학회계 학술연구조성비로 연구하였음 (관리번호-620170135).

참고문헌

  1. H. S. Kim, "A Study on the Types of Work Values of Radiologic Technology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0, No. 3, pp. 271-280, 2007.
  2. G. H. Ryu, "The Study on attitud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dance to decide their career path,"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2011.
  3. D. E. Super,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y, Vol. 8, No. 5, pp. 185-190, 1953. https://doi.org/10.1037/h0056046
  4. A. M. Saks, B. E, Ashforth, "Is Job Search Related to Employment Quality? It All Depends on the Fi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7, No. 4, pp. 646-654, 2002. https://doi.org/10.1037/0021-9010.87.4.646
  5. S. M. Kim, H. R. Lee, "Structural Analysis of Anticipated Self-Efficacy Career Outcome Expectancie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1, No. 3, pp. 28-48, 2008.
  6. C. Y. Nam,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Work factors and Preparation of Employment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2, No. 4, pp. 353-374, 2010.
  7. G. L. Blau, "Further exploring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32, No. 3, 284-297, 1988. https://doi.org/10.1016/0001-8791(88)90020-6
  8. B. H. Son, Y. M. Kim, I. J. Jun, "A study on nursing students' job-esteem, work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ir maj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Vol. 20, No. 3, pp. 240-249, 2011.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240
  9. M. R. Le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tress,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767-8775,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767
  10. Y. S. Lim, "A study on career socialization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focus on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ith major,"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9, pp. 107-129, 1993.
  11. K. A. Lee, J. H. Kim,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2, No. 1, pp. 42-49, 2015. https://doi.org/10.16952/pns.2015.12.1.42
  12. S. B. Hee, Y. M. Kim, I. G. Jun, "A Study on Nursing Students' Job-esteem, Work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ir Major," Nursing, Vol. 20, No. 3, pp. 240-249, 2011.
  13. J. H. Lee, "A Study on Department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5-15, 2009.
  14. J. H. Kim, M. K. Kim, J. K. Kim, et al., "Cluster analysis and group differences by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career prepara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9, No. 2, pp. 417-442, 2012. https://doi.org/10.16983/kjsp.2012.9.2.417
  15. H. S. Ha,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Factor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ster thesis, Seoul university, 2000.
  16. S. Y. Lee, "Research on Major Selection Factor, Satisfaction of Major and Employment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Master thesis, Ganghee university, 2009.
  17. D. L. Blustein,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eer self-efficacy i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35, No. 2, pp. 194-203, 1989. https://doi.org/10.1016/0001-8791(89)90040-7
  18. S. J. Choi,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Committment to a Career Choice and Family Variabl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7.
  19. T. W. Kim,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Family Support, Career Decision Autonom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rom Undergraduate Student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20. D. J. Le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Master thesis, Yeonsea University, 2004.
  21. R. Veenhoven, "The cross-national pattern of happiness. Test of predictions implied in three theories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 34, pp. 33-68, 1995. https://doi.org/10.1007/BF01078967
  22. H. S. Park, J. M. Yun, S. N. Lee, S. R.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43, No. 1, pp. 35-45, 2018. https://doi.org/10.21032/jhis.2018.43.1.35
  23. Y. S. Kim, E. J. Oh,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critical thinking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7, pp. 103-111,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7.103
  24. E. S. Soe, K. A. Jeong,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satisfaction with major, adjusting to college life and self-esteem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t a university o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Vision Science, Vol. 17, No. 3, pp. 213-225, 2015. https://doi.org/10.17337/JMBI.2015.17.3.213
  25. S. G. Shin, "Comparison of Satisfaction on Each Major Dept. of Health-Related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4, No. 2, pp. 131-140, 2011.
  26. I. O. Moon, G. W. Lee,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6, No. 1, pp. 83-91,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83
  27. J. W. Yu,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Decision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Master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2015.
  28. A. R. Lee, "Effect of acceptance-based interventions regarding possible negative outcomes of career uncertainty on the career exploration proc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Ph.D. Thesis, Seoul University, 2013.
  29. Y. J. Kim, "Effect of the Personal Agency Belief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 pp. 155-164,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55
  30. M. H. Yang, M. J. Park, H. J. Kim, "The Effects of Congruence, Score Elevation & Types of Interest o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9, No. 2, pp. 137-156,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