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How It Affects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Self-Esteem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박보경 (경민대학교 아동보육과) ;
  • 박미자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9.04.14
  • Accepted : 2019.06.12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A total of 450 child care teachers answered questionnaires based on three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SEM. Results: First,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t is, child 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showed more negative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teachers' self-esteem. In other words, when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their self-esteem was lower, which led to increased negative teacher-child interaction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by which child care teachers' difficulties communicating with parents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Keywords

BOJGB2_2019_v15n3_1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BOJGB2_2019_v15n3_1_f0002.png 이미지

그림 2.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존중감이 영유아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표 1. 보육교사의 학부모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아존중감 및 영유아와 상호작용 간의 관계

BOJGB2_2019_v15n3_1_t0001.png 이미지

표 2.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BOJGB2_2019_v15n3_1_t0002.png 이미지

표 3. 연구모형에서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

BOJGB2_2019_v15n3_1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미숙, 송승민, 박남심, 이승은 (201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부모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5), 1-17. doi:10.14698/jkcce.2018.14.05.001
  2. 고경미, 이선경 (201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397-414. doi:10.22251/jlcci.2017.17.13.397
  3. 권연희 (2010).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조직풍토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437-455.
  4. 권영애, 이순복 (2017).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6(2), 115-129. doi:10.17643/KJCE.2017.26.2.06
  5. 길경숙, 노수남 (2004). 유아 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11), 123-136.
  6. 김보들맘, 신혜영(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3), 253-276.
  7. 김숙령 (2010). 영아-교사간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과 교사의 민감성이 영아의 부모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97-215.
  8. 김영실, 정영실 (2016). 영아의 공동주의와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1), 133-152. doi:10.18023/kjece.2016.36.1.006
  9. 김영희, 박지현 (2014).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135-152. doi:10.18023/kjece.2014.34.3.007
  10. 김용숙, 전연주, 박지영 (2013).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 및 직무수행 의 어려움 인식 간의 관계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3), 1100-1108. doi:10.5762/KAIS.2013.14.3.1100
  11. 김지연, 최미경 (2018). 보육교사 소진이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9(3), 127-139. doi:10.5723/kjcs.2018.39.3.127
  12. 류민영 (201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미숙 (2018). 교사의 자아존중감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민선우, 문혁준 (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4(1), 5-27.
  15. 박영숙, 송승민, 이사라 (2018).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 효과 검증. 생애학회지, 8(1), 1-16. doi:10.30528/jolss.2018.8.1.001
  16. 박장희, 노성향 (2018). 가정-보육기관 소통과 유아 또래놀이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보육기관에 대한 유아 호감의 매개효과 검증.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219-238.
  17. 박향아, 제경숙(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0.
  18. 백혜원(1993). 무용전공 여대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자기 신체평가.자기-존중심.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변은경, 장경오 (2015).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6), 3982-3990. doi:10.5762/KAIS.2015.16.6.3982
  20. 부성숙, 박정하 (2016). 영유아교사의 듣기능력이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03-121. doi:10.14698/jkcce.2016.12.103
  21. 서정은 (2016). 유아의 도전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지도전략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영유아인권인식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성지현 (2012). 유아의 연령과 놀이 영역에 따른 유아-보육교사 상호작용과 유아 언어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2(4), 229-253. doi:10.18023/kjece.2012.32.4.011
  23. 손혜숙, 이지영(2018).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2(6), 414-425. doi:10.24231/rici.2018.22.6.414
  24. 손환희, 정계숙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13-232.
  25. 손희진, 성지현 (2014).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질의 순차적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5(2), 191-209. doi:10.5723/KJCS.2014.35.2.191
  26. 송근영 (2017). 보육과정 컨설팅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오경숙 (2018).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우수경 (2018). 영아교사의 학력, 경력, 민감성, 교수효능감 및 어린이집 기관풍토와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구조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553-572. doi:10.22251/jlcci.2018.18.24.553
  29. 유지연, 황혜정 (2015).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1-23. doi:10.14698/jkcce.2015.11.3.001
  30. 이경례, 문혁준 (2016). 영아교사의 성인애착, 정서조절능력, 교사효능감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1-23.
  31. 이윤화, 신나리 (2018). 보육교사의 놀이신념과 정서노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22(1), 7-19.
  32. 이정미 (201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영유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영유아교육.보육연구, 10, 65-85.
  33. 이정미, 이경옥 (2016). 영아교사의 아동기 부모애착 지각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정서노동의 매개효과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2), 213-237.
  34. 이형민 (2018). 보육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2), 168-179. doi:10.7466/JKHMA.2018.36.2.168
  35. 이효영, 문혁준 (2013).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인간 의사소통 능력이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0(4), 41-57.
  36. 임우영, 안선희 (2011).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323-350.
  37. 장종윤, 송하나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영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13, 113-122.
  38. 정계숙 (2011). 유아교사의 어머니-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대한 지각 관련 변인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5(3), 143-164.
  39. 정다워, 이숙 (2008). 보육교사 관련변인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1), 31-52.
  40.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6(1), 359-373.
  41. 조해연, 이기숙 (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5(3), 115-136. doi:10.15854/jes.2014.09.45.3.115
  42.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11-329. doi:10.14698/jkcce.2015.11.2.311
  43. 최해주,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69-88.
  44.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5. 홍지명 (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구. 인문사회 21, 6(3), 591-607.
  46. 황종귀 (2017).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7-25.
  47. Acar, I. H., Torquati, J. C., Encinger, A., & Colgrove, A. (2018). The role of child temperament on low-income preschool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27(1), e2045. doi:10.1002/icd.2045
  48. Arnett, J. (1989). Care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4), 541-552. doi:10.1016/0193-3973(89)90026-9
  49.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50. Brown, E. L., Vesely, C. K., Mahatmya, D., & Visconti, K. J. (2018). Emotions matter: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labour on preschool teacher and children interact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8(12), 1773-1787. doi:10.1080/03004430.2017.1286336
  51. Ceylan, R., Bicakci, M. Y., Gursoy, F., & Aral, N. (2009).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rofessional self-esteem and empathic skill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An International Journal, 37(5), 679-682. doi:10.2224/sbp.2009.37.5.679
  52. Chung, L.-C., Marvin, C. A., & Churchill, S. L. (2005). Teacher factors associated with pre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Teaching efficacy and parent-teacher relationships.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25(2), 131-142. doi:10.1080/1090102050250206
  53. Epstein, J. L. (1987). Toward a theory of family-school connections: Teacher practices and parent involvement. In K. Hurrelmann, F.-X. Kaufmann, & F. Losel (Eds.), Social intervention:Potential and constraints (pp. 121-136). New York: DeGruyter.
  54. Fleming, J. S., & Watts W. A. (1980). The dimensionality of self-esteem: Some results for a college sam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5), 921-929. doi:10.1037/0022-3514.39.5.921
  55. Galindo, C., & Sheldon, S. B. (2012). School and home connections and children's kindergarten achievement gains: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involveme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1), 90-103. doi:10.1016/j.ecresq.2011.05.004
  56. Hamre, B., Hatfield, B., Pianta, R., & Jamil, F. (2014). Evidence for general and domain-specific element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ssoci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85(3), 1257-1274. doi:10.1111/cdev.12184
  57. Hamre, B. K., Pianta, R. C., Downer, J. T., DeCoster, J., Mashburn, A. J., Jones, S. M. et al. (2013). Teaching through interactions: Testing a developmental framework of teacher effectiveness in over 4,000 classroom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13(4), 461-487. doi:10.1086/669616
  58. Huang, X., Liu, M., & Shiomi, K. (2007).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teacher self-esteem and orientations to seeking help.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5(5), 707-716. doi:10.2224/sbp.2007.35.5.707
  59. Khan, A., Fleva, E., & Qazi, T. (2015). Role of self-esteem and general self-efficacy in teachers' efficacy in primary schools. Psychology, 6(1), 117-125. doi:10.4236/psych.2015.61010
  60.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1. Leyva, D., Weiland, C., Barata, M., Yoshikawa, H., Snow, C., Trevino, E. et al. (2015).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Chil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prekindergarten outcomes. Child Development, 86(3), 781-799. doi:10.1111/cdev.12342
  62. Owen, M. T., Ware, A. M., & Barfoot, B. (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428. doi:10.1016/S0885-2006(00)00073-9
  63. Pirchio, S., Tritrini, C., Passiatore, Y., & Taeschner, T. (2013). The ro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educators for child behaviour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about Parents in Education, 7(2), 145-155.
  64. Powell, D. R., Son, S.-H., File, N., & San Juan, R. R. (2010). Parent-school relationships and children's academic and social outcomes in public school pre-kindergart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8(4), 269-292. doi:10.1016/j.jsp.2010.03.002
  65. Roorda, D. L., Verschueren, K., Vancraeyveldt, C., Van Craeyevelt, S., & Colpin, H. (2014).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al adjustment: Transactional links for preschool boys at risk.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5), 495-510. doi:10.1016/j.jsp.2014.06.004
  6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7. Zhang, X., & Nurmi, J.-E. (201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social competence: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of Chinese preschool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3(3), 125-135. doi:10.1016/j.appdev.2012.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