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4년제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의 취업선호도와 취업인식 및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Employment Preference and Employment Perception and Job Valu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Graduating Students

  • 이민선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 김효진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투고 : 2019.04.23
  • 심사 : 2019.05.10
  • 발행 : 2019.05.28

초록

본 연구는 4년제 학제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의 취업선호도와 취업인식 및 직업의식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일반적 사항, 취업선호도와 취업인식, 직업의식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강원도 W시 K대학교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에게 설문하여 111부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0.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Mann-Whitney U검정 혹은 Kruskal-Wallis검정, 그리고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시행하였다(p<0.05). 전공만족도에 따라서는 직업의식 항목 중 전문직종, 대인관계, 전체 직업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적에 따라서는 대인관계 및 근로윤리, 취득 자격증수에 따라서는 학술관련, 대인관계, 전체 직업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직업의식 항목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는 4년제 학제 졸업예정자의 직업의식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차후 진로 및 취업지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study on employment preference and employment perception and job valu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graduat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1 graduating students on 4-year-course K-University, dental hygiene department at W-city in Gangwon-do.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0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job valu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Mann-Whitney U-test or Kruskal-Wallis test,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job recognition with IBM SPSS Statistics ver. 20.0.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jor satisfaction, grade, number of certificate and job value(p<0.05). Each questions of job valu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1). Although there are limited sample qroups, this study identified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job valu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graduating students on 4-year-course and could be used for future career and job guidance.

키워드

표 1. 직업의식 문항 신뢰도

CCTHCV_2019_v19n5_342_t0001.png 이미지

표 2. 일반적 사항

CCTHCV_2019_v19n5_342_t0002.png 이미지

표 3. 취업선호도와 취업인식

CCTHCV_2019_v19n5_342_t0003.png 이미지

표 4. 직업의식 정도

CCTHCV_2019_v19n5_342_t0004.png 이미지

표 5. 전공만족도, 성적, 취득 자격증 수에 따른 직업의식 차이

CCTHCV_2019_v19n5_342_t0005.png 이미지

표 6. 직업의식 각 항목간의 상관성

CCTHCV_2019_v19n5_342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2019.03.29.
  2. 한경순, "치위생과 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가천길대학 논문집, 제29호, pp.477-489, 2001.
  3. 이선복, 홍용희, 현대사회와 직업윤리, 삼경문화사, 2001.
  4.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5. 고영복,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2000.
  6. 김진수, 임근옥, "일부 치위생과 재학생의 학과 선택만족도 및 취업의식변화,"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7권, 제2호, pp.105-108, 2006.
  7. 이영수, 장종화, 문애은, "치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0권, 제2호, pp.823-831, 2011.
  8. 임미희,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전공 및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6권, 제4호, pp.277-284, 2006.
  9. 김경미, 정영란, 한화진, "치위생과 학생의 취업가치관과 취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9권, 제2호, pp.1-11, 2009.
  10. 황지영, 양송이, 손가연, 원복연, 오상환,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의 취업준비 및 선호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3권, 제4호, pp.677-684, 2013.
  11. 정재연, 최정이,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교육 및 직업관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31-145, 2000.
  12. 김화주, 임근옥, 김윤정, "치위생과 학생들의 입학전학과 인지도와 만족도 및 취업의식에 관한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6권, 제2호, pp.115-127, 2006.
  13. 진혜정, 김혜영,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전공만족이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1권, 제6호, pp.893-900, 2011.
  14. 장성연, "치위생과 졸업예정자의 직업의식과 취업가치관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제15권, 제3호, pp.265-271, 2015.
  15. 최옥현, 김봉환, "대학생의 애착관계 및 유형과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8권, 제3호, pp.1063-1084, 2007.
  16.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125031&ref=A. 2019.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