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rends in Hyundai Motor's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현대자동차의 기업 문화마케팅 변화 연구

  • 김정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이진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9.07.08
  • Accepted : 2019.08.19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rogression of Hyundai motor's corporate cultural marketing by conduct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lthough th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conception, categorization, impact, and performance of cultural marketing, they hardly pay attention to changes in cultural marketing over time. To explore the identified gap, we collected 2,315 articles concerning Hyundai motor's cultural marketing on daily newspapers printed from 2001 to 2018. The 18-year time period was classified into four periods, and lists of 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Korean language analysis program, Textom and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called 'UCINET'. The outcome of our analysis indicates that Hyundai Motor's cultural marketing has been developed from the strategy of merely increasing sales to the means of distinguishing their corporate and brand identity. In the early 2000s, the words 'customer', 'The Age of Great Paintings: Rembrandt and the 17th century Dutch paintings', and 'performances' were extracted with high frequency. It shows Hyundai Motor held performance-oriented events and provided benefits to specific consumer groups under the type of 'Cultural Promotion'. In addition, as the exhibition sponsored by Hyundai motor was reported in the media with high publicity effect, the concept of 'Cultural Support' is also emerged. In the late 2000s, the top exposures were 'Seoul Arts Center' and 'Seoul Metropolitan Symphony Orchestra'. Under the concept of 'Cultural Support', both organizations and cultural events were sponsored by Hyundai motor. Hyundai Motor has the tendency to cooperate with high profile parties who have already accomplished high publicities to attract social interests and issues. In the early 2010s, Hyundai Motor created cultural marketing brand and space ('Brilliant' and 'Hyundai Art Hall') that broadened the potential target groups, which represented both 'Cultural Support' and 'Cultural Enterprise'. In the middle and late of the 2010s, as shown by the high frequency of 'brand' and 'global', Hyundai Motor has focused on the global market and viewpoint has expanded to brand building focusing on the type of 'Cultural Enterprise'.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현대자동차의 문화마케팅 유형과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 문화마케팅의 발전 양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는 기업 문화마케팅의 개념 규정과 유형화, 문화마케팅의 영향 및 성과 등을 살펴보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업 문화마케팅의 변화는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다양한 형태의 문화마케팅을 시행해온 현대자동차를 대상으로, 현대자동차의 문화마케팅이 보도된 2001년부터 2018년까지를 시간적 범주로 설정하고 국내 일간지 기사 2,315건을 분석하였다. 18년의 시간을 4개 시기로 분류하고, 시기마다 빈출단어를 추출하여 한국어 언어 분석 프로그램 텍스톰(Textom)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 유씨넷(UCINE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자동차는 문화마케팅을 판매와 영업 성과를 향상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기업과 브랜드 정체성을 차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발전시키고 있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고객', '위대한 회화의 시대: 렘브란트와 17세기 네덜란드 회화전', '공연'이 빈도수가 높은 단어로 추출되었다. 현대자동차가 공연 중심의 문화 행사를 고객 대상으로 개최하여, 특정 소비자 그룹에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였다. 2000년대 후반에 상위 노출된 단어는 '예술의 전당', '서울시립교향악단'으로, 인지도 높은 문화예술기관의 주요 문화 행사에 후원하였다. 2010년대 초반에는 기존고객 중심에서 잠재 고객으로 대상을 넓히고, 문화마케팅을 아우르는 브랜드와 공간('브릴리언트'와 '현대아트홀')을 선보였다. 2010년대 중후반에는 노출 빈도가 높은 '브랜드'와 '글로벌'에서 보여주듯, 문화마케팅의 초점이 고객에서 브랜드 구축으로, 국내에서 글로벌로 확장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