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of Artifacts Collected from the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Excavated from the Site of a Public Residential Area in Godeung-dong, Seongnam

성남 고등 공공주택지구 출토 회격묘 과학적 보존처리

  • Kim, Woungshin (GyeongGi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
  • Jeon, Juyeon (GyeongGi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
  • Kim, Beomjun (GyeongGi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
  • Han, Minsoo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Minhy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김웅신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
  • 전주연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
  • 김범준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재연구원) ;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 수리기술학과) ;
  • 이민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 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1.10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wo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were excavated from the tomb complex of the Woo Family of the Danyang Wu clan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in Godeung-dong, Seongnam-si, Gyeonggi-do. Relevant records offer information for more precisely dating these tombs and identifying their occupants. Tomb No. 4, in which a married couple was interred, has a corbeled square ceiling and inscriptions and paintings on its outer walls.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an infrared inspection revealed that they were intended to express mourning. Tomb No. 6 has a corbeled rectangular ceiling and a single individual interred within.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tomb was partially damaged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it while moving the burial site, it was planned to exhibit the tomb outdoors after the remains and relics are collected. However, as the conservation treatment revealed the presence of funeral fans and pitch, and since the remaining structure clearly demonstrates the features of lime-soil mixture barrier tomb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plan was changed following a meeting of an advisory council that decided in favor of presenting the tomb indo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itch is assumed to be resin of a rather low purity due to the immixture of foreign substances. The two tombs are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materials for related research, such as changes by period in the forms of Joseon-era tombs.

성남시 고등동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회격묘 2기는 우씨 묘역에서 발굴되어 기록을 통해 묘주와 조성 시기를 유추 할 수 있는 유구이다. 말각방형으로 합장묘인 4호묘는 수습과정 중 외곽벽에서 글씨와 그림이 확인되었으며, 보존처리 및 적외선조사 결과 만사로 판단되었다. 말각장방형 단묘인 6호묘는 파묘되면서 일부 파괴되어 수습 후 야외전시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보존처리 결과 운아삽과 역청이 확인되고 잔존하는 형태가 조선시대 회격묘의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어 자문회의를 통하여 실내전시로 보존방향이 변경되었다. 역청은 분석 결과 송진으로 추정되며 이물질의 혼입으로 순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기의 회격묘는 조선시대 무덤 양식의 변화 양상 등 학술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소리, 서울.경기지역 조선시대 중.후기 회곽묘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 김현우, 조선시대 회곽묘 편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 어원선, 조선시대 사대부 회격묘 연구, 역사문화논총, 8, p151-190, (2014).
  4. 김영관, 민소리, 조선시대 회곽묘의 도입 배경과 양상, 한국사연구, 176, p99-129, (2017).
  5. 문동혁, 한민수, 김유리, 조현구, 영월지역 출토 조선시대 회곽묘의 원료산지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암석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39-41, (2016).
  6. 신동훈, 조선시대 회곽묘의 발굴사례 및 사람 유기물의 수습과 분석,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 연제 초록, p2, 대한체질인류학회, (2008).
  7. 이찬희, 조지현, 김지영, 조선시대 예산 목리유적 회격묘의 재질 및 제작특성 과 석회의 산지 해석, 보존과학회지, 32(4), p471-490,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4.03
  8. 이찬희, 어언일, 신숙정, 조선시대 구리 갈매유적 회곽묘의 조성 및 강도분석, 문화재, 50, p40-61, (2017). https://doi.org/10.22755/KJCHS.2017.50.2.40
  9. 강산하, 이찬희, 평택 궁리유적 조선시대 회곽묘의 재료학적 특성 및 제작기법 해석, 자연환경지질, 51, p49-65, (2018).
  10. 이승해, 안보연, 조선시대 회격.회곽묘 출토 삽(翣)에 대한 고찰, 문화재, 41, p43-59, (2008). https://doi.org/10.22755/kjchs.2008.41.2.43
  11. 광주광역시북구청, 엔가드 문화재연구소, 광주 양산동 회곽묘 출토유물 보존처리 광주,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