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1970s Korean film and landscape of Others -with 'family community' and 'death' motif

1970년대 한국 영화와 타자들의 풍경 -'가족'과 '죽음' 모티프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9.10.09
  • Accepted : 2019.11.15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ways in which "others" were reproduced in Korean movies in the 1970s. In the midst of the social changes of the era, such as urbanization due to rapid industrial modernization, many people became laborers for industry in order to obtain the fruits of modernization.But the landscape of others, which was inevitably produc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uch subjects, has been limited to analysis that is focused on gender and youth discourse. This article aims to extract the landscape of others in the 1970s by adopting a different perspective. The way in which the other is presen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First, in 1970s film, the family community, in contrast with 1960s film, has disintegrated and cracked, due to the inability of others to enter or leave the community. The desperate perception that the family community can no longer function as a stable foundation or center of the constitution, and that it cannot have a sense of security and belonging,is revealed through the way the others are wandering in and out of the community. Second, 'Death' is an element of social life in the violence of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1970s, and the everyday exceptional state. The way in which the 'other' is completely eliminated from the normal subjectivity requested by the state and is deported in film reflectshow everyday death or potential death is part of life of the 1970s. Normal life pursued through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leads to the death of the other beings, but the way of existence of others is the desperate reality of the 1970s, when the boundaries of the state that provide stability and belonging are broken. As a result, the landscape of others in the 1970s reveals a violent reality that destroys the perfect middle class family discourse that industrial modernization was oriented around in the 1970s, and that produced masses of others who caused numerous deaths. In spite of regime censorship, Korean films were popularly revealing the violence of life brought in by the 1970s, following a detour of representation.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영화에 재현된 타자들의 존재 방식에 대해 분석했다. 당대의 사회 변화들, 가령 급속한 산업 근대화로 인한 도시화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근대화의 열매를 얻기 위해 산업 역군으로서의 주체 구성을 해 나갔지만, 이러한 주체 구성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양산되었던 타자들의 풍경은 그동안 젠더 및 청년 담론 속에서 제한적으로 분석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시각을 달리하여 1970년대적 타자들의 풍경을 추출해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타자들의 존재 방식은 다음의 두 가지 구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 첫째, 1970년대 영화에서 가족 공동체는 1960년대의 그것과는 달리 해체되고 균열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는 타자들이 그 공동체에 진입할 수 없거나 이탈함으로써 발생한다. 가족 공동체는 더 이상 주체 구성의 안정된 토대 혹은 구심점으로 작용하지 못하는데, 안정감과 소속감을 가질 수 없다는 공동체에 대한 절망적 인식은 공동체 안팎을 배회하는 타자들의 존재 방식을 통해 잘 드러난다. 둘째, '죽음'은 1970년대 국가 이데올로기의 폭력과 일상화된 예외 상태 속에서 사회적 삶의 한 양태를 보여 주는 요소이다. 국가가 요청한 정상적 주체성에서 완벽하게 배제되고 추방된 타자들이 영화 안에서 죽는 방식은 일상화된 죽음 혹은 잠재적 죽음의 상태가 1970년대의 삶이라는 점을 보여 준다.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통해 추구된 정상적 삶은 타자화된 존재들을 죽음에 이르도록 하지만, 실제 타자들의 존재 방식은 안정감과 소속감을 부여하는 국가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삶과 죽음의 경계가 무색해진 1970년대 절망적 현실을 고발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970년대 타자들의 풍경은 1970년대 산업 근대화가 그토록 지향했던 완벽한 중산층 가족 담론을 파괴하고 그것이 오히려 수많은 죽음을 초래하는 타자들을 양산하는 폭력적 현실을 드러낸다. 한국영화는 정권의 검열에도 불구하고, 재현의 우회로를 따라 1970년대가 가져온 삶의 폭력성을 대중적으로 폭로하고 있었던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