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ical Review of Korean Politics Before and After by Three Kim's Politics: Political Effects and Distortions

3김정치 전후 한국정치의 비판적 검토: 정치적 효과와 왜곡

  • Received : 2019.02.09
  • Accepted : 2019.03.11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Afte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7, korean politics was transformed into three kim's politics by y Kim Yeong-sam, Kim Dae-jung and Kim Jong-pil. Before the time of three kim's politics, korean politics lasted for one long term, but three kim's politics made possible the peaceful regime change through political party integration and party coalition. The evaluation of three kim's politics coexist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e Positive political effects are diversification of political party composition and stabilization of regime change. Three kim's politics transformed the political party composition of Korea from a two-party system to a multi-party system, made possible a peaceful regime change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ree parties and the DJP coalition. However, the negative political distortions of three kim's politics are the shortening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concentration of political ideology. In three kim's politics, political party in Korea has a very short life due to the creation of political parties, the dissolution of political parties, the reorganiz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integration of political parties. Conservatism and progressive tendencies related three kim's politics were stabilized through Yeongnam region and Honam region. Therefore, three kim's politics means that the proportion of Korean politics is very high. Political effects and distortions derived from three kim's politics have become a challenge for Korean politics to overcome.

1987년 민주화운동 이후 한국정치는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에 의한 3김정치로 전환기를 맞았다. 한국정치는 3김정치 이전에는 1인에 의한 장기집권에 지속되었으나 3김정치에서는 정당통합과 정당연합을 통해 평화적인 정권교체가 가능하게 하였다. 3김정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3김정치에 대한 정치적 효과는 정당구도의 다양화와 정권교체의 안정화이다. 3김정치는 한국의 정당구도를 양당체제에서 다당체제로 변화시켰으며, 3당합당과 DJP연합 등 후보단일화를 통해 평화적 정권교체를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3김정치에 대한 정치적 왜곡은 정당의 단명화와 정치이념의 편중화이다. 3김정치는 3김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정당해체, 재창당, 정당통합 등으로 정당의 수명이 매우 짧았으며, 보수성향과 진보성향이 3김정치와 결부되어 지역적으로 정치이념의 편중화 현상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3김정치가 한국정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3김정치로 인한 정치적 왜곡은 한국정치를 위해 극복해야 한다.

Keywords

<표 1> 3김정치시대 이전 국회 원내단체교섭 정당별 의석수

JCSHB3_2019_v3n1_5_t0001.png 이미지

<표 2> 3김정치시대 국회 원내단체교섭 정당별 의석수

JCSHB3_2019_v3n1_5_t0002.png 이미지

<표 3> 3김정치시대 이후 정당별 국회의원 의석수

JCSHB3_2019_v3n1_5_t0003.png 이미지

<표 4> 3김정치시대 이전 대통령선거 분석

JCSHB3_2019_v3n1_5_t0004.png 이미지

<표 5> 3김정치시대 대통령선거 분석

JCSHB3_2019_v3n1_5_t0005.png 이미지

<표 6> 3김정치시대 이후 대통령선거 분석

JCSHB3_2019_v3n1_5_t0006.png 이미지

<표 7> 3김정치시대 이전 제1당 및 제2당 분석

JCSHB3_2019_v3n1_5_t0007.png 이미지

<표 8> 3김정치시대 정당구도의 분석

JCSHB3_2019_v3n1_5_t0008.png 이미지

<표 9> 3김정치시대 이후 정당구도의 분석

JCSHB3_2019_v3n1_5_t0009.png 이미지

<표 10> 3김정치시대 이전 대통령후보의 지역별 득표율

JCSHB3_2019_v3n1_5_t0010.png 이미지

<표 11> 3김정치시대 대통령후보의 지역별 득표율

JCSHB3_2019_v3n1_5_t0011.png 이미지

<표 12> 3김정치시대 이후 대통령후보의 지역별 득표율

JCSHB3_2019_v3n1_5_t0012.png 이미지

<표 13> 3김정치시대와 3김정치시대 이후 영·호남의 지역구 의석 현황

JCSHB3_2019_v3n1_5_t0013.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원택. 2012. "3당 합당과 한국 정당정치." 한국정당학회보 제11권 제1호, 171-193.
  2. 고성국. 1992.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맞선 라이벌 박정희 대 김대중." 역사비평 통권19호, 180-181.
  3. 김성수. 2013. "한국 지역주의 현상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이해: 지역정당체제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아태연구 제20권 제3호, 82-85.
  4. 김성식. 1992. "14대 대통령선거의 정치적 의미와 범야권의 과제." 동향과 전망 통권 제18호, 219-238.
  5. 김영명. 2008. 한국의 정치변동. 서울: 을유문화사.
  6. 김용욱. 2004. 한국정치론. 서울: 오름.
  7. 김용철 외. 2018. 현대한국정치의 이해. 파주: 마인드탭.
  8. 김용호. 2016.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종치의 제도화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미래정치연구 제6권 제1호, 10-14.
  9. 김진하. 2010. "한국 지역주의의 변화: 투표행태와 정당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제3권 제2호, 89-114.
  10. 김태룡. 1998. "김영삼 정부 시기의 정당개혁에 대한 평가." 한국행정논총 제10권 제2호, 515-532.
  11. 문우진. 2016. "한국 선거경쟁에 있어서 이념 갈등의 지속과 변화: 15대 대선 이후 통합자료 분석." 한국정당학회보 제15권 제3호, 40-42.
  12. 민준기. 2007. "김대중 정부의 개혁평가." 아태연구 제14권 제1호, 19-31.
  13. 박경미 외. 2012.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구상적 특성." 한국정당학회보 제11권 제3호, 127-154.
  14. 박상훈. 2000. "민주화 이전의 선거와 지역주의." 아세아연구 통권 제104호, 187.
  15. 송백석. 2006. "김대중 정부의 정책성격 분석 비판: 복지국가 성격논쟁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통권 제71호, 126-153.
  16. 쑨이페이, 정태일. 2017. "한국의 정치변동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제32권 2호, 38-65.
  17. 이준한. 2013. "한국의 이념성향과 생애주기효과: 2007년과 2012년 대통령선거." 정치정보연구 제16권 2호, 17-18.
  18. 임성한. 1998. "김영삼 정부 주도하의 정치개혁법이 한국정치에 미친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7집, 35-57.
  19. 임혁백. 2011. 1987년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3김정치시대와 그 이후.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 정관용. 1990. "3당 합당의 구조적 본질과 실천적 대안." 동향과 전망 통권 제7호, 198-219.
  21. 정근하. 2017. "5.18민주화운동의 지역성 극복을 위한 방안연구: 학술논문 저자와 학술지 편중분포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1권 2호, 5-32. https://doi.org/10.22718/KGA.2017.1.2.005
  22. 정대화. 1998. "제15대 대통령선거 결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여.야간 평화적 정권교체의 배경과 투표결과에 대한 해석." 동향과 전망 통권 제37호, 56-63.
  23. 정상호. 1998. "제15대 대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공고화." 동향과 전망 통권 제48호, 93.
  24. 정영국. 1993. "지역주의와 선거전략: 제14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 제18권 2호, 33-60.
  25. 정주신. 2017a. "한국정당의 공천파동에 따른 선거결과 함의: 제20대 총선과정에서 여.야 정당의 공천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1권 1호, 31-70. https://doi.org/10.22718/KGA.2017.1.1.031
  26. 정주신. 2017b. "유신체제시기 박정희 대통령의 집권욕과 폭압성: 통리주체국민회의.부마항쟁." 한국과 국제사회 1권 2호, 33-84. https://doi.org/10.22718/KGA.2017.1.2.033
  27. 정진민.황아란. 1999.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3집 2호, 115-134.
  28. 정태일. 2015. "한국에서 지역주의의 정치적 효과." 한국동북아논총 제20집 제3호, 296.
  29. 정태일.쑨이페이. 2017. "한국대통령의 집권위기에 나타난 헌법개정의정치적 동인 분석." Crisisonomy 제13권 제9호, 178-179.
  30. 정태환. 2005. "김영삼 개혁정치의 성격과 정치적 동원." 한국학연구 제23권(2005), 281-306.
  31. 정태환. 2009. "김대중 정권의 개혁정치: 모순과 한계." 한국학연구 제31권, 387-416.
  32. 조현연. 1997. "15대 대통령선거와 'DJP 지역연합." 동향과 전망 통권 제33호, 103-131.
  33. 지충남. 2010.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와 영호남 지역주의: 엘리트충원을 중심으로." 2010 대한정치학회 추계학술회의 자료집, 77.
  34. 진영재.박준식. 2008. "한국정당통합 및 연합 유형과 선거결과와의 관계에서 특질: 1987년 민주화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42집 제2호, 132.
  35. 최한수. 1999. 한국정당정치변동 I. 서울: 세명서관.
  36. 현재호. 2004. "민주화 이후 정당 간 연합에 관한 연구: DJP연합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제47권 1호, 147-178.
  3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http://info.ne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