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Needs of the Core Competencies for Low-Carrier Technology Teachers

초임 기술교사를 위한 핵심 역량의 추출과 교육 요구도 분석

  • Received : 2018.12.15
  • Accepted : 2019.03.22
  • Published : 2019.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factors of core competency required for technology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extracted core competency factors and to 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expert validation, and needs assessment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92 low-carrier technolog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education for upgrading to first grade teacher certificate. Data were analyzed the factor analysis, needs assessment, and IPA analysis using SPSS 24. The core competencies with high education needs were selected by the score of the Borich formula and the IP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29 factors of core competencies were chosen as the priority: challenge, planning ability, decision making ability, future orientation, intellectual property utilization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creative thinking etc.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 would suggest the following. It is to create a new in-service education program reflected on core competencies that have high educational needs of low-carrier technology teachers. In addition, a strategy that reflects core competencies methodically in existing in-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is needed. Future research should be followed by research on curriculum design to enhance high needed core competencies of low-carrier technology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교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의 요인을 추출하고, 추출된 역량요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교사 재교육 과정에서의 핵심역량의 적용의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고찰, 전문가 타당화, 교육요구도 분석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고, 기술 1급 정교사 연수에 참여한 기술교사가 대상이며, 92매가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교육요구도, 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교육 요구도가 높은 핵심역량 요인은 보리치 공식에 의한 산출점수와 IPA 분석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최우선적으로 도전, 기획능력, 의사결정능력, 이 미래지향, 지식재산 활용 능력, 의사소통 능력, 융합적 사고 등의 29개 요인이 선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을 기초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초임 기술교사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새로운 재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핵심역량을 방법론적으로 반영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로는 초임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교재개발연구, 그리고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질적 양적 실험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2. 교육부(2015b).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3. 김은영(2018).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과 역량. 서울교육, 231호 여름호, http://webzine-serii.re.kr/
  4. 로베르타 골린코프.캐시 허시-파섹(김선아역) (2018). 최고의 교육(Becoming Brilliant). 예문카이브.
  5. 박기문(2014).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233-256.
  6. 박기문, 최유현, 외(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7.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01001
  8. 윤정일 외(2007).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9. 윤종혁, 김은영, 최수진, 김경자, 황규호 (2016). OECD 교육 2030: 미래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10. 이광우 외(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I): 연구보고 RRC 2008-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이은상. (2015). 기술 교사의 공학 교수역량 모델 개발.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이종범 외(2010).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평가도구 및 매뉴얼 개발. 청주교육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13. 임유나(2016). 역량기반 수업 구현을 위한 지원 사례 탐색: 뉴질랜드 국가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32(3), 59-88.
  14. 임유나(2017).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재조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771-797.
  15. 최유현(2017a). 기술교육론 I: 교육학적 탐구와 담론. 형설출판사.
  16. 최유현(2017b). 기술교육론 II: 학습학적 이론과 실천: 형설출판사.
  17. 최유현 외(2012).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3), 63-87.
  18. 최유현, 이동원, 임윤진, 이건환. (2014). 발명 연수 참여 교사의 발명교사 기본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4), 163-185.
  19. 최유현. (2016).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56-76.
  20.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 up studies.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21. Hoffman, T. (1999). The meanings of competency.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3(6), 275-285. https://doi.org/10.1108/03090599910284650
  22. Martilla JA &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
  23. Moore, D.R., Cheng, M.I., Dainty, A.R.F. (2002) Competence, competency and competencies: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zations. Work Study, 51(6), 314-319. https://doi.org/10.1108/00438020210441876
  24.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2004). Engineer Of 2020 (Visions Of Engineering In The New Century). Washington, D.C: Nat'l Academy Press.
  25. OECD(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Summary of the final report. OECD Press.
  26.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27. Rychen, D.(2003). Investing in competencies-But which competencies and for what? A contribution to the ANCLI/AEA conference on assessment challenges for democratic society (conference paper). Conference in Lyon, November 2003.
  28.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10 skills you need to thr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trieved from https://www.weforum.org/agenda/2016/01/the-10-skillsyou-need-to-thrive-in-the-fourth-industrial-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