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al State and Effect of Assistance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Gyeonggi-do Vocational High Schools

  • 투고 : 2019.02.10
  • 심사 : 2019.03.22
  • 발행 : 2019.03.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부합한 직업계고 진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교육 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획득 방법, 일반고 및 직업계고에 대한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진로 선택 도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627개교, 3학년 4,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인터넷 검색(42.0%), 2순위 가족 및 친구와 상담(25.5%), 3순위 선생님과 상담(2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계고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직업계고 운영 학교(학과)설명회(39.4%), 2순위 직업계고 견학(24.9%), 3순위 직업계고 교사와의 상담(1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 중학생의 진로 희망 유형별 고등학교 이해도(5점 만점)와 정보 필요도(5점 만점)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3.65, 정보 필요도 3.67,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02이고,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2.92, 정보 필요도 3.25,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33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중학생의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는 전체 79.4%가 참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참여 비율이 높은 활동은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서(책자, 브로셔 등) 90.3%, 중학교 교실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학교설명회 87.8%,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 동영상 시청 85.9%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중학생에게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45이고, 도움을 주는 정도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보다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에게 0.13만큼 더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of career education which can offer necessary inform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elect vocational high schools suiting to their talent and aptitude. For this, the study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how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could acquire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high school;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general high school an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ir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 real state and effect (level of helping them choose future school) of assistance activity for career education as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he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survey for 4,459 3rd graders from 627 middle schools at Gyeonggi-do.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eth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get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high school turned out in the order of internet search (42.0%), consultation with family and friends (25.5%), consultation with teachers (24.0%). While, their methods of getting information related with entering vocational high school turned out in the order of briefing session by vocational high schools (39.4%), field trip to vocational high schools (24.9%), consultation with teacher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15.7%). Sec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five points full marks) of Gyeonggi-do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high school by the type they wished to enter,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requirement (five points full marks) turned out 3.65 and 3.67 respectively for students who wish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with the difference being 0.02.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at of information requirement turned out 2.92 and 3.25 respectively with the difference being 0.33, for students who wished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Third, looking at the real state of participation of Gyeonggi-do middle school students in assistance activities for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79.4% of all students were participating. Activity with high participation ratio out of these turned out to be in the order of PR and guide book (booklet, brochure, etc.) for vocational high schools at 90.3%, briefing session prepar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on visit at 87.8% and video of vocational high school PR and introduction at 85.9%. The level of how these activities helped middle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high school was 3.45, showing more effect by 0.13 on students wishing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compared to those wishing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기도교육청 진로지원과(2018). 2018 경기진로지원 기본계획. 경기도교육청.
  2. 경기도교육청 특성화교육과(2017). 2017 경기직업교육 추진계획. 경기도교육청.
  3. 경기도교육청 특성화교육과(2018). 2018 경기직업교육 추진계획. 경기도교육청.
  4. 경기도교육청(2017). 2017 교육통계연보. 경기도교육청.
  5. 경기도교육청(2018). 2018 교육통계연보. 경기도교육청.
  6. 경기도중등직업교육연구회(2018) 학교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발표의 날 연수 자료. 경기도 중등직업교육연구회
  7. 김경란(2012). 제주지역 중학생의 진로교육 실태 및 진로의식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경식(2009). 전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식과 중학교에서의 진로지도 현황.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수(2013). 중학생직업체험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연찬(2008). 중학생의 전문계 고등학교에 대한 인식과 진학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자옥(2006). 중학생 진로교육의 실태 및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장현(2014).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고등학교 선택에 대한 인식 : D 중학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지연(2011). 공업고등학교 진학 회피현상에 대한 원인분석 및 개선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성보경영고등학교(2018). 2019 입학생 유치를 위한 홍보기획부 홍보활동 계획서. 성보경영고등학교.
  15. 수원교육지원청(2018). 2018 수원진로지원 기본계획. 수원교육지원청.
  16. 안산공업고등학교(2018). 지역별 징검다리 진로체험 거점 교실 운영 계획서. 안산공업고등학교.
  17. 안산교육지원청(2018). 2018 안산 진로.직업교육 기본계획. 안산교육지원청.
  18. 오형균(2014). 특성화고등학교 학과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경(2005). 진로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의식실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은재(2009). 전문계고등학교 진학 기피현상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마이스터고를 통한 개선 방안.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찬주, 이병욱(2018). 중등단계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 42(1). 30-51.
  22. 이천교육지원청(2018). 2018 이천진로체험지원센터 운영 계획. 이천교육지원청.
  23. 주장훈(2006). 중학교 학생.교사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실태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주현순(2006). 중학생의 고등학교 계열 선택 관련 요인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차복순(2010). 중학생의 진로의식 및 진로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병덕(2017). 중학생의 특성화고 진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하남경영고등학교(2018). 2018 특성화고 학과체험교실 운영 계획. 하남경영고등학교.
  28. 현수 외(2016). 미래지향적 경기 중등 직업교육 정책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청.
  29. 황기호(2009). 중학생의 직업 체험 학습 참여가 전문계 고등학교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Rea, L. M. & Parker, R. A.(1996). 통계조사 실무자를 위한 통계조사방법(한국통계학회 조사통계연구회 역). 파주: 자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