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Crime Prevention Design based on Public Data Analysis: Focusing on Seoul

공공데이터분석 기반 범죄예방환경설계 적용 : 서울시 중심으로

  • 김성준 (남서울대학교 빅데이터산업보안학과)
  • Received : 2019.08.15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Violent crimes have increased continuously due to the development of urban society and have become a threatening factor against the residential safety of citizens. The prevention of these crimes is always a major topic in human society and one of the fundamental elements of the quality of life and safety of citizens.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as a preventive measure. Currently, South Korea is promoting the openness and utilization of public data, and crime prevention is one of the fields that can utilize public data actively. This approach to crime prevention utilizing public data will be helpful for the proposal of policies from new viewpoints departing from the general utilization measures of CPTED that improve streetlights and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installations, whose limitations have been pointed out as they are only mechanical surveillance. Thus, this study sets the research scope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tatus of five criminal offens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in recent years provided by the data portal in Seoul City, the capital of South Korea, as the utilization data and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utilize classical music as a new policy for regions where the improvements are most needed. The open-source Python analysis program was employed as the main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method.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강력범죄의 예방은 언제나 인류의 중요 화두 중 하나이다. 최근의 대표적인 예방법은 도시에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을 적용해 설계하는 것이다. 이 개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감시와 접근통제인데, 그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기계적 감시에 속하는 것이지만 새로운 흐름에 맞추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다른 관점에서의 클래식 범죄예방 정책 제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용하는 공공데이터로 한국의 중심지인 서울시 데이터 포탈에서 제공되는 최근 년도의 자치구별 5대 범죄 발생현황통계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 가장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범죄예방정책을 제안하도록 한다.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방법으로는 오픈소스인 Python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수연 (2003). 알코올 중독 성인의 선율 선호도와 음악 치료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영길, 오세연 (2008). 도시의 지역적 특징과 범죄와의 관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7(2), 65-92.
  3. 김기호 (2016). 절도 및 절도 범죄자 실태분석.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병학 (2013). 외국인 밀집지역의 치안 위험요인 연구: 서울시 구로구의 중국인 범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영수 (2010). 절도범죄 발생의 동향 및 방범 예방대책.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나유미 (2002).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환자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재풍 (2008).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활동(CPTED): 담장에서의 음악효과의 적용. 한국치안행정논집, 5(2), 97-110. https://doi.org/10.25023/KAPSA.5.2.200812.97
  8. 박종훈, 임형택, 이성우 (2017). 패널모형을 적용한 5대 범죄바생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133-160.
  9. 배훈주 (2004). 서양 음악 감상의 효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은별 (2013). 직무 스트레스와 음악감상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송인령 (2008). 우울한 내담자를 위한 MI 치료사례.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5(1), 67-90.
  12. 신상영, 조권중 (2014). 서울의 범죄발생 특성과 안심도시 추진방안. 정책리포트, 161, 1-21.
  13. 심범수, 이한준, 유동희 (2016). Development of Customized Trip Navigation System Using Open Government Data. Journal of Internet Compution and Services, 17(1), 15-21. https://doi.org/10.7472/jksii.2016.17.1.15
  14. 오미진 (2011). 도시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은실 (2016). 저소득층 아동의 충동성과 자기조절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단일사례연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정숙, 박지선, 안성훈, 김민정 (2014). 묻지마 범죄자의 특성 이해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이상기 (2010).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 및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선형 (2017). 분노범죄는 언론보도에서 어떻게 재현되는가?: 분노관련 강력범죄 언론보도 내용분석.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장한 (2015). 분노/충동범죄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0. 이하영 (2016). 신세대 병사를 위한 음악활용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효창, 이제화, 김대진, 하미경 (2011). 상업지역 보행로의 범죄안전 환경을 위한 조명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2(1), 73-89.
  22. 임창주 (2006).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임형진, 전용태 (2014). 방범용 CCTV의 범죄유형별 범죄예방효과 연구. 한국범죄학, 8(2), 75-96.
  24. 최석현 (2013). 분노사회의 진단과 관리전략. 이슈&진단, 89, 1-24.
  25. 홍연웅 (2014).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학회지, 25(4), 769-777.
  26. Hirsch, E. L. (2007). Weaponizinf Classical Music: Crime Prevention and Symbolic Power in the Age of Repetiotion. Journal of Popular Music Studies, 19(4), 342-358. https://doi.org/10.1111/j.1533-1598.2007.00132.x
  27. Midtveit, E. (2005). Crime Prevention and Exclusion: from Walls to Opera Music. Journal of Scandinavian Studies in Criminology and Crime Prevention, 6, 23-38. https://doi.org/10.1080/14043850510035137
  28. Oscar, N. (1973).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New York, Collier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