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students majoring fashion in colleg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behaviors preparing a further career

전문대학 패션 전공 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석혜정 (오산대학교 패션스타일리스트과) ;
  • 이종숙 (성결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7.18
  • Accepted : 2019.10.12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he requirements for students in colleges majoring in fashion at two-year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to perform behaviors in preparation for a further career more effectively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behaviors preparing a further care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behaviors preparing a further career, and the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 negative impact on the behaviors preparing a further career. Moreover,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behaviors preparing a further career.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social support from family members or relevant third parties is required for improving the behavior of students majoring fashion in colleges to prepare a further career. To this end, the quantity or scope of social support is not the main issue, but the meticulous approach to fit each student's need for making students recognize such social support.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in colleges to enha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ir abilities, values or desires.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은. (2008). 진로장벽, 심리적 독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4년제 여자대학생과 전문대 여자대학생의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태용. (2008).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보경. (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봉환. (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영경. (2008).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0(4), 1191-1210.
  6. 김종운, 김현희. (2016).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741-766.
  7. 김지혜. (2002). 미혼모를 위한 생태체계적 지지집단 개입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성연, 박영진, 이봉근. (2016).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4(4), 719-730.
  9. 박재은, 이정애, 이지연, 정익중. (2011). 청소년기 애착이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3), 93-116.
  10. 방준호. 4월 청년실업률 '역대 최고'...고용률도 하락. (2017. 5. 11). 한겨레. 자료출처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94287.html
  11. 송현심, 홍혜영. (2010).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1(3), 1325-1350.
  12. 신정옥. (2011).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교육연구, 19(2), 109-141.
  13. 신지영, 박성실, 형정은. (2012).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1), 19-35.
  14. 엄태영, 박은하, 주은수. (2011).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빈곤청소년의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로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3), 197-222. https://doi.org/10.15709/HSWR.2011.31.3.197
  15. 이명숙. (2003). 대학생의 진로자기 효능감과 진로 장애지각준비행동 간의 관계 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은경. (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이종숙, 석혜정. (2016)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대한 미용학회지, 12(4), 357-366.
  18. 이종숙, 유유정. (2016).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장애와 취업스트레스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대한미용학회지, 12(3), 285-290. https://doi.org/10.15810/JIC.2016.12.3.012
  19. 이현림, 송재영. (2004).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5(2), 393-407.
  20. 조명실. (2007).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조성연, 문미란. (2006).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8(4), 731-748.
  22. 진현정. (2011).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정서 지능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최인선. (2016).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한주원. (2013).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논총, 22(2), 117-140.
  25. 홍성순. (2012). 패션전공 대학생의 전공인식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경기권 2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6(5), 39-56. https://doi.org/10.12940/jfb.2012.16.5.39
  26. 황정원. (2016. 7. 25). 통계로 본 우리나라 대졸자의 취업현황. 교육통계연구센터. 자료출처 https://kess.kedi.re.kr/post/6655636?
  27. 황지영. (2015).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Barbara, M. F., & Darrell, A. L. (1998). Increas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 35-43. https://doi.org/10.1002/j.2161-1882.1998.tb00122.x
  29. Betz, N. E., & Hackett, G. (1986). Application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J Soc Clin Psychol, 4, 279-289. https://doi.org/10.1521/jscp.1986.4.3.279
  30. Betz, N. E., Klein, K. L., & Taylor, K. M. (1996).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31. Blustein, D. L. (1997). A contex-rich perspective of career exploration across the life rol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 260-274.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7.tb00470.x
  32. Blustein, D. L., Prezioso, M. S., & Schultheiss, D. P. (1995). Attachment theory and career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3(3), 416-432. https://doi.org/10.1177/0011000095233002
  33. Burk, R. J., Bristor, J. M., & Rothstein, M. G. (1995). The role of interpersonal networks in women’s and men’s career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39-50. https://doi.org/10.1037/0022-0167.38.1.39
  34. Gushue, G. V., & Whitson, M. L. (1996). The relationship among support ethnic ident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 Afr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Applying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3(2), 112-124. https://doi.org/10.1177/0894845306293416
  35.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326-339. https://doi.org/10.1016/0001-8791(81)90019-1
  36. Lakey, B., & Cassady, P. B. (1990). Cognitive proces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337-343. https://doi.org/10.1037/0022-3514.59.2.337
  37.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0),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38. Luzzo, D. A.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locus of control and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4, 227-228.
  39. O’Brien, K. M. (1996).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dolescent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8(1), 257-274. https://doi.org/10.1006/jvbe.1996.0024
  40. Sarason, I. G., Levine, H. M., Bashsm, R. B., & Sarason, B. R. (1983). Assessing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27-139. https://doi.org/10.1037/0022-3514.44.1.127
  41. Sarason, J. P., Pierce, C. R., Shearin, E. N., Sarason, I. G., & Waltz, J. A. (1991). Perceives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273-287. https://doi.org/10.1037/0022-3514.60.2.273
  42. Wethington, E. M., & Kessler, R. C. (1986).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 78-89. https://doi.org/10.2307/2136504
  43. Whiston, S. C., & Keller, B. K. (2004). The influences of the family of origin on career development: A review and analysi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2(4), 493-568. https://doi.org/10.1177/0011000004265660
  44. Zimet, S. G., & Farly, G. K. (199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