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oderat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 김보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 장경은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오현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8.10.31
  • Accepted : 2019.01.31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relationship to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300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P and A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ata.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 < .05 for all analys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s of smartphone dependency than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y increased according to age. The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y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ir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Seco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pe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can buffer the advers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ubsequently build strong,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Keywords

BOJGB2_2019_v15n1_5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치

BOJGB2_2019_v15n1_57_t0001.png 이미지

표 2.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BOJGB2_2019_v15n1_57_t0002.png 이미지

표 3.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9_v15n1_57_t0003.png 이미지

표 4.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BOJGB2_2019_v15n1_57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균호 (2017).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상미 (2000).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아동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재수 (2014). 가족기능성과 학교적응유연성의 관계에서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6), 140-151. doi:10.5392/JKCA.2014.14.06.140
  4. 권윤희, 김정남 (2004).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충동성, 공격성 및 감성지능과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5(3), 460-470.
  5. 권혁찬, 안귀여루 (2015).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과사용에 미치는 영향: 자기 통제를 매개 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22(5), 255-274.
  6. 길경숙 (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47-164.
  7. 김미숙 (2001).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병년, 최홍일 (2013).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 대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29(1), 1-25.
  9. 김소영 (2016).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수진, 김혜숙 (2011).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10(2), 203-222.
  11.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12. 김연화 (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영미 (201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대처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223-242. doi:10.18398/kjlgas.2015.29.1.223
  14. 김영미, 심희옥 (2000). 부모와의 의사소통, 교사와의 관계 및 교내외 활동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1(4), 159-175.
  15. 김영순, 신효정 (2014).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학교 적응의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사회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학연구, 20(3), 253-275.
  16. 김인경, 박상욱, 최혜미 (2017).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의사소통 능력, 외로움, 대인관계 건강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637-648. doi:10.5762/KAIS.2017.18.1.637
  17. 김지선, 백지숙 (2015).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3(1), 53-64.
  18. 김지성, 김화수 (2012). 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한부모가정학, 5(1), 25-35.
  19. 노성향 (199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부적응.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노원경, 김태은, 정은주, 김의정 (2013). 초등교사가 인식한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가진 학생의 문제행동 특성과 학급차원의 지원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221-247. doi:10.24211/tjkte.2013.30.3.221
  21. 노윤옥, 전미경 (2006).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1), 1-16.
  22. 도금혜 (2008).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5), 861-872. https://doi.org/10.5934/KJHE.2008.17.5.861
  23. 류세인, 조인숙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9), 6180-6189. doi:10.5762/KAIS.2015.16.9.6180
  24. 민하영 (1991). 청소년 비행 정도와 부모 자녀 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박석규, 이은영 (2015).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컴퓨터, TV 사용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7(2), 576-588. doi:10.13000/JFMSE.2015.27.2.576
  26. 박수빈 (2013). 중학생의 스마트폰중독이 학교생활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박순이 (2016).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정아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배성만, 박중규, 고영삼 (2012).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심리, 행동적 문제와 인터넷 사용동기의 이중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3), 529-544. doi:10.16983/kjsp.2012.9.3.529
  30. 배진영 (2012). 청소년의 뉴미디어 의존실태와 관련변인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백혜원, 신윤미, 신경민 (2014).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정서 및 행동의 문제. 신경정신의학, 53(5), 320-326. doi:10.4306/jknpa.2014.53.5.320
  32.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 한국언론학회 (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33. 서윤정, 이동훈 (2011). 중학생의 자아상태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학교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류분석이론 관점에서. 상담학연구, 12(6), 2123-2144. doi:10.15703/kjc.12.6.201112.2123
  34. 서지혜 (2012).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 동기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석말숙, 구용근 (2014).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9(4), 905-928. doi:10.13049/kfwa.2014.19.4.905
  36. 선명숙 (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안녕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손은경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송두리 (2013).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심보현 (2013). 청소년의 거절 민감성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양혜경 (2014).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오윤정 (2015).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부모감독의 조절효과.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윤명숙, 김남희, 박완경 (2014). 중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에 미치는 게임 및 가족, 여가요인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21(4), 309-337.
  43. 윤혜정, 권경인 (2011). 휴대전화 중독 청소년들의 특성 및 중독과정 촉진 요인. 상담학연구, 12(2), 577-598. doi:10.15703/kjc.12.2.201104.577
  44. 이경미, 김완일 (201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6), 2627-2644. doi:10.15703/kjc.15.6.201412.2627
  45. 이기영, 최성열, 신성철, 장성화 (2008).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또래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5(4), 111-133.
  46. 이미경 (2014).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수진, 문혁준 (2013). 중학생의 자기통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만족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587-598. doi:10.5934/kjhe.2013.22.6.587
  48. 이신애, 방윤이, 임윤미, 민혜영, 박효정 (2018). 여대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6), 188-196. doi:10.5762/KAIS.2018.19.6.188
  49. 이연미, 이선정, 신효식 (2009).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학교환경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29-43.
  50. 이은영 (2010).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재연 (2013).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 학교생활 적응,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이지은 (2014).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현황과 중독실태에 대한 고찰.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임금옥, 강길현, 박희서 (2015).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청소년 비행의 인과경로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1), 247-254. doi:10.9708/jksci.2015.20.1.247
  54. 임미림 (2014).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임정아, 김명식 (2018).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공격성과 충동성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395-405. doi:10.14400/JDC.2018.16.3.395
  56. 장성화, 조경덕 (2010). 청소년의 우울, 대인불안, 학교적응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1), 285-293. doi:10.5392/jkca.2010.10.11.285
  57. 장영애 (2008).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 영향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1), 87-99.
  58. 정연호, 류점숙, 신효식 (2005).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2), 145-158.
  59. 정은다 (2013).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충동성 및 사회성 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조주은, 정옥분 (2004).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1(3), 135-155.
  61. 조하나, 백용매 (2009). 아동, 청소년상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2), 1035-1049. doi:10.15703/kjc.10.2.200906.1035
  62. 지선화 (2013).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지효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과 성취동기 및 자아존중감 관계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21, 75-96.
  64. 차유림 (2001).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최경순 (1993).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4(2), 115-135.
  66. 최선우, 김승현 (2015). 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2(3), 365-383. doi:10.16983/kjsp.2015.12.3.365
  67.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연구팀 (2015). 2015년 미디어보유와 이용행태 변화.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6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6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2016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70. 한현지 (2015).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1. 황연덕, 이진숙 (2012).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1), 223-236. doi:10.5723/kjcs.2012.33.1.223
  72. 황희숙, 김은희, 주희진 (2012).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지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409-430.
  73. Kardefelt-Winther, D. (2014).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ritique of internet addiction research: Towards a model of compensatory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1, 351-354. doi:10.1016/j.chb.2013.10.059
  74.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Guilford Press.
  75. Nunnal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series in psychology) (Vol. 3). New York: McGraw-Hill.
  76.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m, M., & Wilson, M. (1985). Family inventories.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77. Satir, V. (1983). Conjoint family therapy.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78. Wong, T. Y., Yuen, K. S. L., & Li, W. O. (2015). A basic need theory approach to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Frontiers in Psychology, 5, 1562. doi:10.3389/fpsyg.2014.01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