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gnition of Social Pre-parent Role & Educational Needs and Role Readiness for Unmarried Men and Women - IPA Analysis

미혼남녀의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과 교육요구도 및 준비도 - IPA 분석

  • Received : 2019.01.09
  • Accepted : 2019.02.27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by grasping parent role recognition, educational needs and readiness of unmarried men and women. The subjects were 196 unmarried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K-do.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st to 20th, 2018, and analyzed using IBM SPSS WIN/21.0 to ge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heffe-test, paired t-test, and IPA matrix. The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f social pre-parent role was $3.41{\pm}0.27$ (out of 5 points), educational needs was $3.48{\pm}0.41$ points (out of 4 points), and educational readiness was $2.65{\pm}0.57$ points (out of 4 points). educational needs being higher than educational readiness. Through IPA matrix analysis, the area to be strengthened was 'family relation or parent role', and 'self understanding' was the area to encourage putting effort into other evaluation attributes. The area where no further effort is needed and needs improvement in the future was 'spouse selection and marriage', and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were the areas to intensively improv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a standardized strategy in the area A, which has high degree of readiness and needs. Also, it is necessary to take strategies and countermeasures to raise the readiness of area C with low degree of readiness and needs, rather than accepting it as an unnecessary area of further effort input.

본 연구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부모역할 인식과 교육요구도 및 준비도를 파악하여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의 미혼남녀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1일~ 20일까지였고, 자료분석은 IBM SPSS WIN/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heffe-test, paired t-test, IPA matrix 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은 평균 $3.41{\pm}0.27$점(5점 만점)이었다. 교육요구도는 평균 $3.48{\pm}0.41$점(4점 만점)이었고, 역할준비도는 평균 $2.65{\pm}0.57$점(4점 만점)으로, 교육요구도가 역할준비도보다 높았다. IPA matrix 로 분석한 결과, 강화해야 할 부분은 '가족관계나 부모역할'이었으며, 이 영역을 위해 투입될 노력을 다른 영역에 투입하도록 권장하는 영역은 '자기이해'로 나타났다. 더 이상의 노력 투입이 불필요하며 앞으로 개선을 요하는 영역은 '배우자의 선택 및 결혼'이었으며,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영역은 '임신과 출산' 그리고 '자녀양육' 영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구도와 준비도가 높은 A 영역은 계속적으로 잘 유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으며, 요구도와 준비도가 낮은 C 영역을 더 이상의 노력투입이 불필요한 영역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준비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416_f0001.png 이미지

그림 1. IPA matrix

CCTHCV_2019_v19n3_416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요구도와 준비도의 영역에 따른 메트릭스

CCTHCV_2019_v19n3_416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요구도와 준비도의 세부속성에 따른 메트릭스

표 1. 대상자의 특성

CCTHCV_2019_v19n3_416_t0001.png 이미지

표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 교육요구도와 역할준비도

CCTHCV_2019_v19n3_416_t0002.png 이미지

표 3.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 교육요구도, 역할준비도

CCTHCV_2019_v19n3_416_t0003.png 이미지

표 4. 예비부모교육 요구도와 준비도 상호차이(Gap)

CCTHCV_2019_v19n3_416_t0004.png 이미지

References

  1. 이문옥, 심미영, "예비부모의 자녀출산 및 양육관,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261-286, 2011.
  2. 김선주,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효과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383-414, 2016.
  3. 서성희, 김수진,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 대상 Satir 변형체계치료모델 적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30-341, 2015. https://doi.org/10.12934/jkpmhn.2015.24.4.330
  4. 최윤정, 김수희, 부모교육, 공동체, 2011.
  5. 유안진, 신양재, "대학생의 부모됨 동기와 부모역할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31권, 제4호, pp.141-155, 1993.
  6. 이은화, 한국부모교육학회(편), 부모교육의 목적, 서울:교육과학사, 1997.
  7. 정계숙, 문혁준, 김명애, 김혜금, 심희옥, 안효진, 양성은, 이정희, 이희선, 정태회, 제경숙, 한세영, 부모교육, 서울:창지사, 2012.
  8. 김길숙,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내용분석 연구," 열린부모교육학회, 제9권, 제4호, pp.273-291, 2017.
  9. 원성희,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D. W. Winnicott의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이병래,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아동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33-152, 2003.
  11. 허영림, "대학생을 위한예비부모교육의 교양교과목 개발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권, 제2호, pp.165-191, 2007.
  12. 김정미, "예비부모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 유아교육학 논집, 제8권, 제4호, pp.65-85, 2004.
  13. 이은정, 강영식, 박정환, "예비부모의 부모역할과 자녀관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1566-157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4.1566
  14. 박소현, 대학생의 결혼관이 사회적 예비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5.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he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https://doi.org/10.1177/002224297704100112
  16. 신혜영,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7. 여성남, 고등학생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예비부모역할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오영희,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와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이현자,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0.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1. 이선정, "중학생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미래부모 역할 인식,"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6권, 제2호, pp.301-311, 2009.
  22. 백혜정, 임희진, 김현철, 유성철, 2017 청소년 종합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