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ity Study for Digital Game Players: Based on Game Classification Factors

디지털 게임 플레이어의 주관성 연구: 게임 분류 속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1.11
  • Accepted : 2019.03.01
  • Published : 2019.03.28

Abstract

As game players have been more diverse and new features of digital games have been emerged in recent days, it is important to find out and understand how recent game players recognize and classify digital games. Thirty game players conducted Q-analysis of twenty-nine Q-statements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on game typology. By using a QUANL program, three different types were revealed. For game classification, 'Physical Environment Centric Players' type highly values external game elements from the outside perspectives. 'Contents Centric Players' type considers internal game elements a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Emotional Experience Centric Players' type values his/her subjective feeling and thought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in developing a framework of game players with their perspectives on game classification.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람들의 범주가 더 넓고 다양해졌고, 새로운 속성들이 게임에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지금의 플레이어들이 게임을 어떻게 인식하고 분류하는지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플레이어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디지털 게임 분류 요소에 대한 Q표본 29개를 기반으로 Q방법론을 수행하였다.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유형이 구분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외부적인 관점에서 보이는 게임 구성요소를 중요한 분류 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어 '물리적 환경중심 플레이어'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게임 내부에 존재하는 구성요소들이 게임을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이라고 인식하기에 '콘텐츠 중심 플레이어'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유형은 게임을 분류하는 데에 있어 게임 플레이어 자신의 주관적 느낌과 생각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감성 경험 중심 플레이어'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의 게임 플레이어들이 실제 게임을 어떻게 인식하고 분류하는지, 그 유형과 특성을 프레임워크로 분류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CCTHCV_2019_v19n3_27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Q 소팅 분포도

표 1. Q 표본

CCTHCV_2019_v19n3_275_t0001.png 이미지

표 2. 유형별 아이겐값과 변량

CCTHCV_2019_v19n3_275_t0002.png 이미지

표 3. 유형별 상관계수

CCTHCV_2019_v19n3_275_t0003.png 이미지

표 4. 유형별 인구학적 특성 및 인자 가중치

CCTHCV_2019_v19n3_275_t0004.png 이미지

표 5. 제1유형의 대표 진술문 및 표준 점수(±1.00 이상)

CCTHCV_2019_v19n3_275_t0005.png 이미지

표 6. 제1유형과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큰 진술문

CCTHCV_2019_v19n3_275_t0006.png 이미지

표 7. 제2유형의 대표 진술문 및 표준 점수(±1.00 이상)

CCTHCV_2019_v19n3_275_t0007.png 이미지

표 8. 제2유형과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큰 진술문

CCTHCV_2019_v19n3_275_t0008.png 이미지

표 9. 제3유형의 대표 진술문 및 표준 점수(±1.00 이상)

CCTHCV_2019_v19n3_275_t0009.png 이미지

표 10. 제3유형과 다른 유형과의 차이가 큰 진술문

CCTHCV_2019_v19n3_275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창수, 오은해, "모바일 게임 비즈니스 분류 모형의 개발 및 특성 분석," e-비즈니스연구, 제6권, 제1호, pp.27-52, 2005.
  2. 천연비, 장성균, 우탁, "게임 메커니즘에 따른 스마트폰 게임 분류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5-24, 2012. https://doi.org/10.7583/JKGS.2012.12.6.15
  3. 전경란, "컴퓨터 게임의 장르 요인 및 특징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저널, 제10호, pp.84-90, 2005.
  4. 윤형섭, 강지웅, 박수영, 오영욱, 전홍식, 조기현, 한국 게임의 역사, 북코리아, 2012.
  5.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겨울호, pp.105-136, 2004.
  6.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885&contents_id=87038
  7. 김기범, 이혜정, 이정우, "지능형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405-42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405
  8. 이은아, 박용범, "게임장르 분류를 위한 제안," 한국게임학회지, 제2권, 제1호, pp.32-40, 2002.
  9. 이설희, 권민석, "게임 장르의 유형화," 한국게임학회지, 제8권, 제3호, pp.3-14, 2008.
  10. 천연비, 장성균, 우탁, "게임 메커니즘에 따른 스마트폰 게임 분류 연구," 한국게임학회지, 제12권, 제6호, pp.15-24, 2012.
  11. C. Elverdam and E. Aarseth, "Game Classification and Game Design Construction Through Critical Analysis," Games and Culture, Vol.2, No.1, pp.3-22, 2007. https://doi.org/10.1177/1555412006286892
  12. 배혜진, 김석태, "FPS 게임 구성요소의 중요도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1," 디자인학연구, pp.61-72, 2007.
  13. 남수정, 황혜선,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119-135, 2007.
  14. R. Bartle, "Hearts, clubs, diamonds, spades: Players who suit MUDs," Journal of MUD research, Vol.1, No.1, pp.1-19, 1996. https://doi.org/10.1007/BF02348331
  15. D. Westwood and M. D. Griffiths, "The Role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Video-game Play Motivation: A Q-methodology Study,"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3, No.5, pp.581-585, 2010. https://doi.org/10.1089/cyber.2009.0361
  16. 한광현, 이한철, 김태웅, "이용 충족관점에서의 모바일게임 플레이어 유형과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2호, pp.15-39, 2007.
  17. N. Yee, "Motivations for play in online gam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9, No.6, pp.772-775, 2006. https://doi.org/10.1089/cpb.2006.9.772
  18. 이혜정, 김인규, 이정우, "IT 프로젝트 팀원의 리더십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주관성연구, 제30호, pp.65-88, 2015.
  19. 김찬우, 정인영, "Q방법론을 활용한 푸드 트럭 이용고객의 주관적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514-524,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5.514
  20. 김흥규, "Q 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주관성연구, 제1호, pp.15-33,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