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Closing Department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University

대학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폐과를 경험한 대학생에 관한 질적 연구

  • 김택호 (조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최민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8.12.21
  • Accepted : 2019.02.22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closing department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kind of experience university students have experienced an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in depth.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ducted in - depth interviews with 6 students who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tudy.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study procedure of Giorgi,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eight essential themes and sixteen sub themes were derived. The eight essential themes are 'an event of a psychological difficulty', 'deepening a negative emotions', 'anxiety about the future', 'desperation', 'discrimination',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regret and sorriness' and 'accepta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redu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for students who were in closing department condition. Participants said that they needed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closing department, provide students with the right to know, prepare alternative plans, and emotional car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폐과를 경험한 대학생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폐과를 경험한 대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경험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는 대학 생활 중 폐과를 경험하게 된 대학생 중에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질적 연구방법인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8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드러난 주제가 도출되었다. 8개의 본질적 주제로는 '심리적 어려움의 촉발사건', '폐과 결정에 따른 부정적인 정서 심화', '미래에 대한 불안감', '자포자기', '부적절한 대우', '어려움의 극복을 위한 노력', '후회와 아쉬움', '수용하기'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폐과의 상황에 놓인 학생들에게 심리적 어려움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폐과가 되는 이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학생들의 알권리 보장해주기', '대안책 마련', '정서적 케어'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CCTHCV_2019_v19n2_684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대학생의 폐과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

표 1. 연구대상자

CCTHCV_2019_v19n2_684_t0001.png 이미지

표 2. 폐과를 경험한 대학생의 현상학적 구성요소

CCTHCV_2019_v19n2_684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https://www.moe.go.kr, 2017.8.30.
  2. 허창수, "구조조정 속 한국 대학의 현실," 대학: 담론과 쟁점, 제1호, pp.111-128, 2016.
  3. 성연희, 대학구조개혁의 정책갈등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김영옥, 대학 구조개혁에 관한 법적 쟁점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5. 윤지관, "현단계 한국 대학의 위기 양상과 대학 체제 개편 논의," 동향과 전망, 제99권, pp.201-226, 2017.
  6. 최회성, "사립대학의 구조조정을 둘러싼 쟁점과 합리적 해결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4권, 제6호, pp.901-919, 2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6.901
  7. 최보영, 사립대 통.폐합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 사립대 통.폐합 실현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김동규, 국공립 대학 통폐합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최경서, 옹호연합모영(ACF)을 활용한 고등교육기관 통폐합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0. 이상연, 대학 구조개혁의 전개과정과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 김일환, "한국 대학구조조정의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 2003-2012," 경제와 사회, 제110권, 제6호, pp.201-238, 2016.
  12. 전원희, 최은정, 조은주, "대학생의 분노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432-44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432
  13. 김민경, 조성호,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상실 외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4권, 제2호, pp.259-279, 2017.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259
  14. 최선경, "1학년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휴학의 기로에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6-5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036
  15. 노지현, "산업재해를 겪은 후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대한 연구: Giorgi 현상학적 연구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1호, pp.315-347, 2015. https://doi.org/10.22867/KAQSW.2015.9.1.315
  16. 도날드 폴킹혼, 사회과학방법론, 일신사, 2003.
  17. Amedeo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1991.
  18. Viktor Emile Frankle, The will to meaning :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Penguin USA, 2014.
  19.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15, No.1, pp.1-18, 2004.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20. 신선임, 김수임,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이직고민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503-525, 2016.
  21. 조영매, "상담자의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 재난에 투입된 상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67-85, 2017.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67
  22. http://blog.naver.com/hi_nso/221071843078, 2017.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