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대학생의 폐과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
표 1. 연구대상자
표 2. 폐과를 경험한 대학생의 현상학적 구성요소
References
- https://www.moe.go.kr, 2017.8.30.
- 허창수, "구조조정 속 한국 대학의 현실," 대학: 담론과 쟁점, 제1호, pp.111-128, 2016.
- 성연희, 대학구조개혁의 정책갈등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김영옥, 대학 구조개혁에 관한 법적 쟁점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윤지관, "현단계 한국 대학의 위기 양상과 대학 체제 개편 논의," 동향과 전망, 제99권, pp.201-226, 2017.
- 최회성, "사립대학의 구조조정을 둘러싼 쟁점과 합리적 해결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4권, 제6호, pp.901-919, 2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6.901
- 최보영, 사립대 통.폐합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관한 연구 : 사립대 통.폐합 실현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동규, 국공립 대학 통폐합에 대한 인식도 조사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최경서, 옹호연합모영(ACF)을 활용한 고등교육기관 통폐합 사례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이상연, 대학 구조개혁의 전개과정과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김일환, "한국 대학구조조정의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 : 2003-2012," 경제와 사회, 제110권, 제6호, pp.201-238, 2016.
- 전원희, 최은정, 조은주, "대학생의 분노 경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432-44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432
- 김민경, 조성호,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상실 외상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4권, 제2호, pp.259-279, 2017. https://doi.org/10.16983/KJSP.2017.14.2.259
- 최선경, "1학년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휴학의 기로에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36-5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8.036
- 노지현, "산업재해를 겪은 후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대한 연구: Giorgi 현상학적 연구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제9권, 제1호, pp.315-347, 2015. https://doi.org/10.22867/KAQSW.2015.9.1.315
- 도날드 폴킹혼, 사회과학방법론, 일신사, 2003.
- Amedeo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1991.
- Viktor Emile Frankle, The will to meaning :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Penguin USA, 2014.
-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15, No.1, pp.1-18, 2004.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 신선임, 김수임, "대기업 대졸 신입사원의 이직고민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503-525, 2016.
- 조영매, "상담자의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 재난에 투입된 상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67-85, 2017.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67
- http://blog.naver.com/hi_nso/221071843078, 2017.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