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elf-directed Pharmaceutical Traini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harmaceutic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U.S.

한국과 미국의 약사 연수 교육 분석을 통한 자기 주도적 약사 연수 교육 도입 방안

  • 정수철 (부산광역시약사회 정약국)
  • Received : 2018.11.12
  • Accepted : 2018.12.07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side effects of using drugs can greatly threaten the health of the public.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 very few reports of current side effects. This can be activated by linking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to the Drug Utilization Review (DUR) currently used by pharmacies. A study of the U.S.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where drug use assessment is activated, can find ways to activate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In 'Pharm IT 3000', which is used as a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in pharmacies, we examined how to enable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The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 on actual program operation have found a convenient way to report side effects by linking the Pharm IT 3000 prescription preparation assessment to the item.

현재 한국의 약사 연수 교육은 연간 8시간으로 대한약사회와 그 산하 지부 및 분회에서 주로 실시하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다수의 약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교육은 학습효과가 제한적이며 적극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약사 제도의 역사가 긴 미국의 약사 연수 교육을 문헌 연구 하여 한국의 약사 연수 교육의 발전 방안을 찾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 미국의 약사 연수 교육 운용 방식, 평가제도, 교과목 등이었다. 연구 결과 미국의 약사연수 교육은 다양한 방식이었으며 이수 시간이 길며 약사 면허 갱신 제도와 연계되어 있었다. 한국의 약사 연수 교육이 교육 시간의 연장, 교육 내용의 다양화, 자기 주도적 학습 및 현장 실습 교육을 도입 한다면 현재보다 더 발전할 것이다.

Keywords

표 1. 한국의 약사 연수교육 자료 수집

CCTHCV_2019_v19n1_598_t0001.png 이미지

표 2. 한국과 미국의 약사연수교육 비교[19-22]

CCTHCV_2019_v19n1_598_t0002.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선혜, 보건의료인의 연수교육형태 비교분석 및 약사 전문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 박민아,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 이진법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 S. D. Brookfield, "Self-directed learning : From theory to practice, New Direc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San Francisco, CA : Jossey-Bass, pp.87-90, 1985.
  4. 메디파나뉴스, http://medipana.com /news/newsviewer.asp?NewsNum=227501&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2018.11.2.
  5. 데일리팜, http://www.dailypharm.com/News/177615, 2018.11.1.
  6. 정애희, 약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국가별 교육제도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유연미, 유동주, 용철순, 유봉규, "현행 약사연수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18, 2008.
  8. 박용석, 약사 연수교육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9. 조정인, 우리나라 약사 연수교육의 실태분석, 영남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최영란, 자기생산(Autopoiesis)활동으로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 원리탐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1. 안경인, 자기주도적 학습의 주요 이론을 통한 미술표현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2. 권혜진, 교육조직에서 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사-학생 관계의 질(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Georgia, GA, 1977.
  14. 약사공론, http://www.kpanews.co.kr/article/show.asp?idx=189351, 2018.10.25.
  15. 보건복지부, 의료인 면허신고제 및 보수교육지침, 2012(5).
  16. 권경희, "미국의 약사연수교육제도," 대한약사회지, 제6권, 제57호, 1995.
  17.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y Education, https://www.acpe-accredit.org/pharmacists, 2018.10.29.
  18. Board of Pharmacy Specialties, http://bpsweb.org/, 2018.10.30.
  19. 대한약사회, 약사 연수교육 현황, 대한약사회, 2016.
  20. 대한약사회, http://www.kpanet.or.kr, 2018.10.31.
  21. 대한약사회, 약사연수교육개선방안, 2008.
  22. 약사법 시행규칙
  23. 김봉규, "실용 영어 능력 강화를 위한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영어학습법 연구," 21세기 영어 영문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3, pp.69-95, 2015.
  24. 김옥현, 선정주, 공정현, "간호학생의 창의성, 책임지향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pp.2809-2821, 2015.
  25. 강혜경,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참여형 콘텐츠관리 시스템 설계,"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9, No.1, pp.41-50, 2014.
  26. 김경수, 교육몰입도 향상을 위한 체험형 학습모델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7. 정애희, 정선회, 권경희, "약사의 전문성강화를 위한 국가별 평생교육제도 비교연구," 약학회지, Vol.58, No.4, pp.277-285, 2014.
  28. 유승윤, 권용진, 의사연수교육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2003.
  29. 신제원, "치과의사 보수교육 발전을 위한 실행방안,"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7, No.12, pp.790-796, 2009.
  30. 김정아, "웹기반 간호사 보수교육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7권, 제2호, pp.361-375, 2001.
  31. 김숙정, 지혜련, 김남영, 임유진, "광주지역 간호사의 보수교육 현황 및 교육요구도 조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pp.575-596, 2017.
  32. 최진원, "2016 보수교육기관 평가지표를 통한 보수교육 정책 지원 방안 모색," 코칭연구, Vol.9, No.4, pp.127-142, 2016.
  33. 배의식,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권 강화 방안," 사회복지법제연구, Vol.5, No.1, pp.95-113, 2014.
  34. 배기숙, 김진회, 김자영, "응급구조사 보수교육실태와 요구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pp.376-38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76
  35. 고정희, 허정, 한미라, "서울지역 간호사 보수교육 실시 분석 : 오프라인교육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2, No.6, pp.527-538,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6.527
  36. 정봉재, 박지군, 강상식, 노시철, "방사선사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 연구,"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1, No.6, pp.1-8, 2017.
  37. 박현애, 조인숙, 김정은, "인터넷상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4, No.2, pp.59-68, 1998.
  38. 김한별, "조직 내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비판적 접근,"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Vol.9, No.2, pp.31-51, 2006.
  39. 박길수, 신덕상, 이희수, "군인의 자기주도성에 근거한 군 인적자원개발의 가능성 탐색 :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 HRD연구, Vol.6, No.2, pp.141-164, 2010.
  40. 주호수, "자기 주도적 학습의 개념화와 교육적 시사점," 교육과정연구, Vol.21, No.1, pp.203-221, 2003.
  41. 김지선, 박진아, "멀티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1, pp.115-119, 2010.
  42. 심재구, 김연민, 박수진, "방사선과 학생의 스마트 학습법 적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4, pp.661-667, 2016.
  43. 손세정, "시뮬레이션 교육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 몰입 및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pp.473-486, 2017.
  44. 정창숙,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Vol.7, No.10, pp.319-329, 2017.
  45. 박민정 , 최임숙,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논총, Vol.33, No.2, pp.1-30, 2012.
  46. 김장현, 정지윤, "UCC의 교육적 활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3, pp.125-143, 2009.
  47. 데일리팜, http://www.dailypharm.com/ Users/News/NewsView.html?ID=246527, 2018.11.29.
  48. 약사공론, http://www.kpanews.co.kr/, 2018.11.29.
  49. 데일리팜, http://www.dailypharm.com/ News/232765, 2018.11.15.
  50. 서현정, 김성식, "고등학교 정보보안단원의 체험형 스마트교육 콘텐츠 적용 수업이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6, pp.50-52, 2016.
  51. 임상욱, "가상현실 기반의 군 정신교육 프로그램," 정신전력연구, No.50, pp.89-12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