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Tourism Council on the Activation of Rural Tourism

마을 관광협의체가 농촌관광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 이익수 (청주대학교 관광비즈니스경영학과)
  • Received : 2018.12.11
  • Accepted : 2018.12.20
  • Published : 2019.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urism councils on the activation of rural tourism by comparing the rural tourism sites with the tourism councils and the rural tourism sites without tourism councils. The comparative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statistical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number of tourists, sales volume, and income level,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satisfaction, return 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ll the item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s were active in the rural tourism area where the tourism council was composed.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the tourism council consist of administrative agencies, experts, tourism operators, experts, etc., and constantly develop strategic programs such as diverse opinions and unique constellations.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rural tourism in the future, it can be said that the tourism council should be constructed, and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experts and residents in each field can participate equally.

본 연구는 관광협의체가 농촌관광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광협의체가 구성되어 있는 농촌관광지와 관광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농촌관광지를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비교지표는 관광객 수, 매출규모, 소득수준 등의 통계적 정량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한 만족도, 재방문, 구전의도의 정성지표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의 모든 항목에서 관광협의체가 구성되어 있는 농촌관광지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협의체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행정기관, 전문가, 관광운영자, 전문가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의견과 독특한 축체 등 전략적 프로그램 등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해 관광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구성시 각 분야의 전문가 및 주민이 고루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CCTHCV_2019_v19n1_187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모형

CCTHCV_2019_v19n1_187_f0002.png 이미지

그림 2. A 농촌관광지

CCTHCV_2019_v19n1_187_f0003.png 이미지

그림 3. B 농촌관광지

CCTHCV_2019_v19n1_187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비교연구 결과 요약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CCTHCV_2019_v19n1_187_t0001.png 이미지

표 2. 정량적 지표 비교

CCTHCV_2019_v19n1_187_t0002.png 이미지

표 3. 정성적 지표 비교

CCTHCV_2019_v19n1_187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박상연, 농촌 6차 융.복합 산업 발전을 위한 농업, 가공, 관광의 역할과 상호작용,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 농촌경제연구원, 2017 도시민 농촌관광 실태조사, 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2018.
  3. 강성진, 손호기, "공정여행으로서 농촌관광 태도 및 만족과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농촌체험마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제30권, 제5호, pp.313-333, 2015
  4. 유동숙, 홍경환,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농촌관광의 행동의도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31권, 제3호, pp.65-80, 2017.
  5. 김기현, 최연화, 윤유식, "외국인 관광객의 농촌관광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도 및 충성도 연구," 관광연구, 제30권, 제3호, pp.21-40, 2015.
  6. 서철현, 김보미, 박혜준, "농촌관광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제11권, 제4호, pp.63-83, 2015.
  7. 박시현, "농촌 6차산업화를 위한 농촌관광의 발전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pp.1-21, 2013.
  8. 김광선, 안석, 박지연,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융․복합 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016.
  9. 이익수, "농촌문화관광의 구성요소가 농산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73-8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073
  10. 강영은, 박미정, 김상범, 김은자, "카드분류법을 통한 농촌관광자원 유형 분류 : 농촌 어메니티 자원 DB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경관연구, 제6권, 제2호, pp.63-71, 2012.
  11. 경북일보, "포항시, 주민주도형 농촌관광 협의체 업무협약식," 2018년 3월 29일자 기사
  12. 김용렬, "과감한 농촌관광정책이 필요하다," KREI 논단, 2018.2.20.
  13. 농업용어사전, "농촌관광(Rural Tourism)," 농촌진흥청(네이버 지식백과).
  14. 김보미, 감성어휘를 활용한 농촌관광이미지 측정척도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5. 정찬성, 농촌관광 체험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6. OECD, "Tourism Strategies and Rural Development," Orgain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Paris), 1994.
  17. 강영은, 박미정, 김은자,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모바일 농촌자원정보 앱(App) 수용태도 및 이용의도 연구," 관광연구, 제28권, 제4호, pp.195-216, 2013.
  18. 박시현, "농촌관광의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 농어촌관광연구, 제22권, 제1호, pp.1-17, 2015.
  19. 김장하,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전략 개발," 호텔리조트연구, 제8권, 제1호, pp.105-117, 2009.
  20. 김성태, 관광특구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로컬관광거버넌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1. 안윤주, 거버넌스 주체간 협력의 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북부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2. J. Newman, "Modernizing Governance : New Labour, Policy and society," London; sage, 2001.
  23. 김현수, 김철원, "관광두레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32권, 제7호, pp.35-50, 2018.
  24. 김아진, 김이태, 박태준, "지역 수상관광개발의 관광거버넌스 형성과정 정책네트워크 분석 : 낙동강 생태탐방선 도입 및 뱃길복원 관광자원화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30권, 제5호, pp.355-376, 2015.
  25. 장은경, 공병천, 이진형,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성요소 분석 : 증도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233-249, 2011.
  26. 도경록, 송재일, 한상현, "지역관광 거버넌스의 평가와 개선방안," 관광연구논총, 제23권, 제1호, pp.213-235, 2011.
  27. 한도연, 농촌체험관광의 만족요인이 농특산물 구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8. 최윤지, 황정임, 한송희, "도시민의 농촌관광 만족도에 관한 연구," 농어촌관광연구, 제22권, 제2호, pp.59-73, 2015.
  29. 김선희, "농촌체험관광 운영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인식차이," 동북아관광연구, 제10권, 제2호, pp.225-242, 2014.
  30. 이후석, "Pine과 Gilmore의 체험요소가 농촌관광객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9권, 제3호, pp.109-121, 2015.
  31. 최영창, 김성수, "청소년 농촌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 만족도 및 충성도의 구조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18권, 제2호, pp.239-261, 2007.
  32. 이정규, "농촌관광체험객의 구매행동에 따른 농산물 가공상품 선택속성과 만족도 분석,"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7호, pp.249-264, 2016.
  33. J. W. Lounsbury and J. R. Polik, "Leisure Need sand Vacation Satesfaction," Leisure Sciences, Vol.14, pp.105-119, 1992. https://doi.org/10.1080/01490409209513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