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Government Trust: on the Basis of Individual Trust Factors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정부 요소 및 개인적 요소를 중심으로

  • 최성락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
  • 전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Received : 2019.10.24
  • Accepted : 2019.12.13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rust is a personal emotion that is affec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atmosphere. However, a lot of studies on government trust focus on government factors such as fairness and expertise of the government. Government trust is mainly affected by the capacity and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However, government trust is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by personal factors such as personal disposition and charact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government trust is influenced not only by government factors but also by personal factors such as individual values and general trust tend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government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government factors such as government expertise and fairness. In addition, individual values and general trust tendencies, such as age, political tendency, happiness, prospects for the future, and corporate trust level, are also affecting government trust. This indicates that government trust is influenced not only by government variables such as government expertise and government fairness but also by individual values and trust tendencies. It suggests that government trust is not just a variable influenced by government behavior, but also related to individual values and trust tendencies.

신뢰는 개인적인 감정으로 개개인의 특성 및 사회분위기의 영향을 받는 측면이 존재한다. 그런데 기존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에서는 정부의 공정성 및 전문성과 같은 정부적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주로 정부의 능력 및 특성에 따라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정부신뢰는 이러한 정부적 요소 외에 개인적 성향과 특성 같은 개인적 요소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신뢰가 정부적 요소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 및 일반적인 신뢰 성향과 같은 개인적 요소에도 영향을 받는가를 살펴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정부신뢰는 정부의 전문성과 공정성과 같은 정부 요소와 정의 관계에 있었다. 그리고 연령, 정당지지 성향, 현재의 행복도, 향후 국가에 대한 전망 등 개인적 가치관 요소 및 기업신뢰와 같은 개인의 신뢰 성향도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정부신뢰가 정부의 전문성, 공정성 등과 같은 정부의 변수만이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 및 신뢰 성향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음을 말해준다. 정부신뢰는 단순히 정부의 행태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변수가 아니라, 국민 개개인의 가치관 및 신뢰 성향과도 연관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I. McAllister, The Economic Performance of Governments. in Norris, Pippa(ed.). Critical Citizens: Global Support for Democratic Governmen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 O. Renn and D. Levine, "Credibility and Trust in Risk Communication," Communicating Risks to the Public of the series Technology," Risk and Society, Vol.4 pp.175-217, 1991.
  3. 정광호, 이달곤, 하혜수, "지방정부 신뢰요인의 탐색," 한국행정학보, 제45권, 제4호, pp.181-201, 2011.
  4. 이윤수, "무사안일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부와 정책, 제6권, 제1호, pp.29-47, 2013.
  5. P. Arizti, J. Brumby, N. Manning, R. Senderowitsch, and T. Thomas, Results, performance budgeting and trust in government, Washington, DC: World Bank, 2010.
  6. C. W. Thomas, "Maintaining and Restoring Public Trust in Government Agencies and Their Employees," Administration & Society, Vol.30, No.2, pp.166-193, 1998. https://doi.org/10.1177/0095399798302003
  7. 장용진, "정부신뢰의 원인: 국가간 비교연구," 정부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89-214, 2013.
  8. 최예나, "사회적 자본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주민들과 선출직 기관들간 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0권, 제3호, pp.69-88, 2016.
  9. P. Paxton, "Is Social Capital Declining in the United States? A Multiple Indicator Assessment,"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105, No.1, pp.88-127, 1999. https://doi.org/10.1086/210268
  10. 이양수, "신뢰유형, 관료의 형태, 국정운영평가가 정부역할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논집, 제20권, 제2호, pp.533-552, 2008.
  11. 전대성, 권일웅, 정광호, "정부신뢰에 대한 연구-대통령에 대한 신뢰와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2권, 제2호, pp.181-206, 2013.
  12. F. Fukuyama,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New York: The Free Press, 1995.
  13. 최병춘, "한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CSR 활동이 기업신뢰 및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12, 2018.
  14. 박흥진, "프랜차이즈 기업가 열정이 기업신뢰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12권, pp.117-123, 2016.
  15. 박종철, 이광현,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노력이 기업 신뢰 및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태경상저널, 제1권, 제2호, pp.1-22, 2009.
  16. G. Catterberg and A. Moreno, "The individual bases of political trust: Trends in new and established democrac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Vol.18, No.1, pp.31-48, 2005. https://doi.org/10.1093/ijpor/edh081
  17. J. R. Hibbing and E. Theiss-Morse(eds), What is it about Government that Americans Dislik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8. I. Johnson, "Political Trust in Societies under Transform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Poland and Ukrain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Vol.35, No.2, pp.63-84, 2005. https://doi.org/10.1080/00207659.2005.11043144
  19. M. Levi and L. Stoker, "Political Trust and Trustworthines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Vol.3, pp.475-507, 2000. https://doi.org/10.1146/annurev.polisci.3.1.475
  20. J. S. Nye, P. D. Zelikow, and D. C. King, 국민은 왜 정부를 믿지 않는가, 박준원(역). 서울: 굿인포메이션, 2001; Why people don't Trust Governm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
  21. R. J. Dalton, "Citizen Attitude and Political Behavior,"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Vol.33, No.6/7, pp.912-940, 2000. https://doi.org/10.1177/001041400003300609
  22. R. E. Kasperson, D. Golding, and S. Tuler, "Social Distrust as a Factor in Sitting Hazardous Facilities and Communicating Risks," Journal of Social Issues, Vol.48, pp.161-187, 1992. https://doi.org/10.1111/j.1540-4560.1992.tb01950.x
  23. W. Poortinga and N. F. Pidgeon, "Exploring the Dimensionality of Trust in Risk Regulation," Risk Analysis: An International Journal, Vol.23, No.5, pp.961-972, 2003. https://doi.org/10.1111/1539-6924.00373
  24. W. Mishler and R. Rose, "What Are The Origins of Political Trust? Testing Institutional and Cultural Theories in Post-Communist Societies,"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Vol.34, No.1, pp.30-62, 2001. https://doi.org/10.1177/0010414001034001002
  25. F. C. Turner and J. D. Martz, "Institutional confidence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in Latin America," Studies in Compar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Vol.32, No.3, pp.65-84, 1997. https://doi.org/10.1007/BF02687331
  26. 이우진, 하솔잎, "정부신뢰 무엇이 문제인가? 공정성에 대한 인식과 정부신뢰," 응용경제, 제18권, 제3호, pp.81-104, 2016.
  27. 박희봉, 이희창, 조연상, "우리나라 정부신뢰 특성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3호, pp.45-66, 2003.
  28. J. F. Helliwell,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Modelling, Vol.20, pp.331-360, 2003. https://doi.org/10.1016/S0264-9993(02)00057-3
  29. J. F. Helliwell and R. D. Putnam,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London, Vol.359, No.1440, pp.1435-1446, 2004. https://doi.org/10.1098/rstb.2004.1522
  30. J. Hudson, "Institutional Trust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the EU," Kyklos, Vol.59, No.1, pp.43-62, 2006. https://doi.org/10.1111/j.1467-6435.2006.00319.x
  31. A. Ferrer-i-Carbonell, "Income and Well-Being: An Emperical Analysis of the Comparison Income Effec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89, pp.997-1019, 2005. https://doi.org/10.1016/j.jpubeco.2004.06.003
  32. 최예나, 김이수, "사회적 자본과 주민행복간 관계에 관한 연구: 공동체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7권, 제4호, pp.53-78, 2015. https://doi.org/10.21026/JLGS.2015.27.4.53
  33. 김이수, "정보화마을공동체 활성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설명적 연구: 전라북도 정보화마을주민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9권, 제1호, pp.201-227, 2015.
  34. T. H. Chiles and J. F. McMackin, "Integrating Variable Risk Preferences, Trust, and Transaction Cost Economic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1, pp.73-99, 1996. https://doi.org/10.5465/AMR.1996.9602161566
  35. E. Ostrom, "A Behavioral Approach to the Rational Choice Theory of Collective Actio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92, No.1, pp.1-22, 1998. https://doi.org/10.2307/2585925
  36. C. Bjornskov, "The Multiple Facets of Social Capital.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22, pp.22-40, 2006. https://doi.org/10.1016/j.ejpoleco.2005.05.006
  37. C. Bjornskov, "Social Capital and Happiness in the United State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Vol.3, No.1, pp.43-62, 2008. https://doi.org/10.1007/s11482-008-9046-6
  38. 신화경, 조인숙,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구주거학회 논문집, 제26권, 제3호, pp.99-108, 2015.
  39. 여유진, "사회통합과 행복 간의 관계," 보건복지포럼, 제221권, pp.36-43, 2015.
  40.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한국사회학, 제46권, 제5호, pp.1-33, 2012.
  41. 서정아, 사회자본과 사회지출이 청소년의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2. 이진향, 오미옥,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거제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3호, pp.313-330, 2014.
  43. K. Gronlund, M. Setala, "In Honest Officials We Trust Institutional Confidence in Europe,"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42, No.5, pp.523-542, 2012. https://doi.org/10.1177/0275074011412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