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y Research for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Development

한류 방송 콘텐츠 확산을 위한 방안 연구

  • 양문희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 Received : 2019.10.21
  • Accepted : 2019.11.08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Recently,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experienced difficulty caused by political issues. After the decision of THAAD missiles placement by Korean Government, Chinese government adopted restriction policy of the Korean wave. This kind of political conflict can influence K-wave broadcasting contents at any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support system for stable and sustainable K-wave growth.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en experts from broadcasting area, this study attempted to diagnose problems of K-wave related law, system and policy, then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K-wav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K-wave market diversification. As potential markets for K-wave, the Southeast Asia area and western Europe were considered and the advancement plan for these area were studied. Lastly, K-wave improvement plan for China and Japan, the traditional K-wave market also considered. The research suggested the strategies and alternatives for K-wave broadcasting contents development.

최근 몇 년 간 한류 방송 콘텐츠는 사드 배치라는 정치적인 갈등 이슈로 발생한 중국의 한한령에 의해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처럼 정치적인 문제로 한류 방송 콘텐츠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일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기에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한류 발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한류 방송 콘텐츠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한류 확산을 위해 국내법과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부 정책의 개선방안을 점검해보고, 한류 방송 콘텐츠 시장 다변화를 위한 방안도 살펴보았다. 한류 시장 다변화를 위해서는 한류에 관심도가 높은 동남아시아 지역, 한류 블루오션인 서유럽 국가, 여전히 한류의 주요 시장인 일본과 중국의 한류 방송 콘텐츠 확산 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류 방송 콘텐츠 확산을 위한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01/55580/, 2019.10.18.
  2. https://news.joins.com/article/23415822, 2019.10.21.
  3. https://news.joins.com/article/23375772, 2019.10.20.
  4. 한국국제문화교류 진흥원, 한류백서, 2013.
  5. 김의영, "일본 내 한류 비즈니스의 현황과 향후 과제: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9권, 제1호, pp.131-158, 2018. https://doi.org/10.22947/IHMJU.2018.39.1.005
  6. 황낙건, "반한류 정책이 중국 내 한류에 미치는 영향: 한국 TV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35-248, 2018.
  7. 한국국제문화교류 진흥원, 한류백서, 2017.
  8. 장규수,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166-17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166
  9. 문화체육관광부, 2018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2018.
  10. 황인석, "중국내 반한류 집단의 특성과 반한류와 한국상품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82호, pp.201-225, 2009.
  11. 주정민, "한류 콘텐츠에대한 반한류 현상의 원인과 대응," 디아스포라연구, 제7권, 제1호, pp.137-160, 2013.
  12. 김의영, "일본 내 한류 비즈니스의 현황과 향후 과제: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9권, 제1호, pp.131-159, 2018. https://doi.org/10.22947/IHMJU.2018.39.1.005
  13. 이희진, "한류콘텐츠 이용정도가 중국인의 혐한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0호, pp.394-405,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394
  14. 이건웅, "중국의 문화산업 규제와 한한령," 글로벌문화콘텐츠, 제33권, pp.159-180, 2018.
  15. 안창현, "한한령의 현상과 본질, 그리고 우리의 대안 모색," 글로벌문화콘텐츠, 제33호, pp.113-131, 2018.
  16. 황낙건, "일본과 중국 내 반한류 현상에 대한 고찰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한류비즈니스연구, 제1호, pp.211-233, 2014.
  17. 문효진, "한국방송콘텐츠의 태국 진출 및 교류 협력을 위한 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제33권, pp.63-87, 2018.
  18. 임도연, 김진영, "베트남 드라마 한류 재활성화를 위한 현지화 방안,"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pp.163-166, 2018(6).
  19. 류은영, "프랑스, 글로벌 한류의 가능성," 프랑스문화 예술연구, 제38집, pp.443-465, 2011.
  20. 홍석경, "세계화 과정 속 디지털 문화 현상으로서의 한류: 프랑스에서 바라본 한류의 세계적 소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 pp.157-192, 2013.
  21. 민지은, "프랑스 내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의 확산을 위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제28집, pp.61-85, 2013.
  22. 문효진, "한국 방송콘텐츠의 영국 시장 진출 위한 방안 연구," 텔코저널, 제3권, pp.95-11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