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ronze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Early Iron Age: A comparative study of bronze artifacts recovered from the Hoam-dong site in Chungju and Chongsong-ri in Buyeo

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제작기술 - 충주 호암동유적과 부여 청송리유적 출토 청동기의 비교 연구-

  • Han, Woorim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wang, Jinju (Conservation Division of NRICH) ;
  • Kim, Sojin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of NRICH)
  • 한우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 Received : 2018.09.30
  • Accepted : 2018.11.12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irty-three Early Iron Age bronzes at the sites of Hoam-dong in Chungju and Cheongsong-ri in Buyeo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study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the provenance of lead. Chemical analysis using X-ray fluorescence showed that 33 bronzes consist of copper(Cu), tin(Sn) and lead(Pb) served as major elements. Major and minor elemental analyses by EPMA were performed on two mirrors and 2 weapons of the bronze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s that bronze mirrors from Chungju and Buyeo were high-tin bronzes(> 30 wt%). And 20% of tin and 5% of lead were founded in bronze weapons. Iron, zinc, arsenic, silver, nickel, sulfur and cobalt detected in four bronzes as minor and trace elements. The four bronzes were alloyed considering their function and were not heat treated after casting due to their high tin content. Lead isotope analysis using TIMS indicates that thirty-three bronzes were distributed southern Korea peninsula except Zone 1. As a result, lead raw materials came from various regions in Korean Peninsula not from Gyeongsang-do regions.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ronze ware generalized at this age, and bronze was produced in various sites using raw materials from various sources.

충주 호암동유적 및 부여 청송리유적 출토 청동기 33점의 분석을 통해 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제작기술과 납의 산지를 연구하였다. 휴대용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한 비파괴 성분분석 결과 출토된 청동기 33점은 인위적으로 납을 첨가한 구리(Cu), 주석(Sn), 납(Pb)의 3원계 합금으로 판단된다. 4점의 청동기(동경 2점, 동검 1점, 동모 1점)의 전자탐침미소분석기를 이용한 성분분석 결과 충주 및 부여 출토 동경은 30%의 주석(Sn)과 10% 미만의 납이 포함된 고주석청동기로 확인되었으며 동모와 동검에서는 20% 내외의 주석과 5%의 납(Pb)이 검출되었다. 미량원소로는 철(Fe), 아연(Zn), 비소(As), 은(Ag), 니켈(Ni), 황(S) 및 코발트(Co)가 검출되었다 청동기 4점은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여 합금되었으며 주석함량이 높아 주조 이후 열처리는 하지 않았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를 이용한 충주와 부여 출토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해 초기철기시대 청동기 33점은 Zone 1을 제외한 한반도 남부 전 지역에 걸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충주와 부여에서 출토된 청동기는 경상도 지역의 납 원료를 사용하지 않고 한반도 내 다양한 산지의 납 원료를 사용했음을 판단하였다. 출토지가 달라 제작기술과 원료산지의 차이점이 존재할 것이라 추정하였으나 분석결과를 통해 이 시기의 청동기의 제작기술은 일반화되어 있었으며,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산지의 원료를 이용하여 청동기를 제작하였음을 추정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국립문화재연구소

References

  1. 강대일, 홍종욱, 1998, 문화재 비파괴 분석법의 현황과 문제점 보존과학연구 19, pp.39-67.
  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7, 부여 청송리 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pp.44-53
  3. 김소진, 한우림, 황진주, 정연중, 한민수, 2015, 출토 지역과 시대에 따른 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류 특성 보존과학연구 36,
  4. 이은우, 김소진, 한우림, 황진주, 한민수, 2017, 출토 청동유물 부식의 형태학적 고찰 및 부식생성물의 특성 연구 문화재46(3), pp.120-121.
  5. 중원문화재연구원, 2017, 충주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부지 내 충주 호암동 유적 중원문화재연구원, pp. 1-2, 35-67.
  6.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2014,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를 이용한 청동유물의 산지추정 국립문화재연구소
  7. 황진주, 2009, 우리나라 청동문화재의 주성분 조성분포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히라오 요시미츠 편저, 최영희 옮김, 2001, 문화재를 연구하는 과학의눈,학연문화사, p.37, 96.
  9. 馬淵久夫, 平尾良光, 1983, 鉛同位體比法による漢式鏡の研究(二) MUSEUM382, pp.16-26.
  10. 馬淵久夫, 平尾良光, 1987, 東アジア鉛鑲石の鉛伺位體比 考古學雜誌73-2, pp.199-245.
  11. Jeong Youn-Joong, Chenong Chang-sik, Shin Dong-bok, Lee Kwang-Sik, Jo Hui-Je, Mukesh Kumar Gautam, Lee In-sung,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pp.116-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