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nce of the Joint Inscription of Falconry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매사냥' 공동등재의 특성과 의의

  • 황경순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18.09.29
  • Accepted : 2018.11.08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strategies and issues involving a joint inscription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lement to UNESCO through multinational cooperation and conclusiv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ultinational filing. The case of "Falconry", which was jointly filed by 18 State Parties including ROK and inscribed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on 2010, was analyzed as the main object of discussion The issu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ate Parties that participated at the joint nomination process got to grasp the purpose of the multinational nomination mechanism a lot better than before through drawing up the nomination forms. Especially, we learned that the inscription of the falconry eventually has to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f ICH in general and applying that knowledge at the submission of the multinational file was the major aspect for the inscription on the list in 2010 and the extension of the inscription 2012. Second; the very nature of prosecution of the multinational nomination, State Parties are given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over their shared ICH element, through which a mutual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other countries - which means implementing the very ideology of UNESCO- to contribute to cooperation and peace among nations through multinational nominations. Third, the falconry,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Directives of the <>, has a chance to be deemed a Best Practice case, since it continuously extends through more and more State Parties participating to the multinational file. Extension of a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element can help defusing the tension caused by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intangible heritage and can mean more awareness of the purpose of the convention.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공동등재제도가 다 국가 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어떠한 전략과 쟁점을 통해 실현되는지에 주목하고, 이로써 공동등재제도의 특성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논의 대상으로 한국을 포함한 18개 국가가 2010년에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공동등재한 '매사냥' 사례를 분석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사냥의 인류무형유산 공동등재 참가국들은 등재신청서 작성을 통해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등재제도의 취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매사냥의 등재가 결과적으로 무형유산 전체의 가시성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등재신청서에 반영한 것이 2010년 공동등재와 2012년 등재확대에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동등재 추진의 특성상 참가국들은 공유유산을 매개로 협력과 소통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상호간의 문화와 민족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었다. 이것은 공동등재를 통해 국가의 협력과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유네스코 이념의 실천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셋째, 인류무형유산 매사냥은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이행지침에 의거하여 지속적으로 참여국가가 확대됨으로써 공동등재에 있어 모범적 사례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동등재의 확대는 특정 무형유산의 소유자를 규정하는 문제를 두고 발생하는 국제 간 긴장을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협약의 취지에 대한 당사국의 이해가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유산전승실태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 문화재청, 2010, <매사냥 인류무형유산 등재신청서>
  3. 송민선, 2017,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등재를 위한 교류협력방안 연구 文化財 제50호 제2권
  4. 2009,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강릉시.동북아역사재단, 국경을 넘는 무형유산: 동아시아 공동 무형문화유산의 다원성과 보편성, 2009 동아시아 공동 무형문화유산 국제포럼 자료집
  5. 200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6. 2005,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이행지침
  7. 2012,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무형유산의 창조적 가치와 지속가능발전, 2012 무형유산보호 국제회의 자료집
  8. 2013,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10년간의 노력: 회고와 전망 학술세미나 자료집
  9. 황경순, 2013,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民族文化論叢 제55집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0.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11.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홈페이지 https://ich.unesco.org
  12.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un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