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Pile Cloth Rugs Produced after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 말기 이후 첨모직 깔개에 관한 연구

  • Park, Yoon-Mee (Dept. of Korean Traditional Clothes, Dankook University) ;
  • Oh, Joon Suk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 박윤미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 오준석 (국립민속박물관 유물과학과)
  • Received : 2018.09.12
  • Accepted : 2018.11.12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Cheommojik is a pile cloth, a type of textile whose surface is covered with short piles. The term chaedam was us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o refer to pile cloth rugs, while the terms yoongjeon, dantong and yangtanja were us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Various documents, newspaper articles and photographs confirm that pile cloth rugs were used by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royal famil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onward, and that there were domestic manufacturers of such rugs at that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six pile cloth rugs that were produced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five of which feature Persian knots made of cut pile, the other being made with the loop pile method. The cut pile rugs are rectangular in shape and measure between 72-98cm by 150-156cm; and they are decorated in the middle with patterns of butterfly, deer, and tiger or the ten longevity symbols, and along the edges with patterns composed of 卍 symbols. The ground warp of all six rugs are made from cotton yarn, while the ground weft is made of cotton yarn on three pieces, wool on one piece and cotton and viscose rayon. The ground weft yarn from four pieces are Z-twist yarn made with two or more S-twist cotton yarn. Four to six colors were used for the pile weft, all being natural colors except for red. Two or more S- or Z-twist yarn were twisted together in the opposite twist for the pile weft, with the thickness determining the number of threads used. Six or more weft threads were used to make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rug; and the ground warp ends were arranged by tying every four of them together. For the left and right edges, three or more threads were wrapped together into a round stick-like form, and the second and third inner ground warps from the edges were stitched on to the wrapped edge. For the loop pile, loops were made in the direction of the warp; the ground warp and the ground weft may have been made with cotton, the pile warp with wool yarn. An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ree rug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types of animal hair were used for the pile weft. Despite some inconclusiv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goat hair and fat-tailed sheep hair were used,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kinds of animal fur were used in the production of pile cloth rugs. The six rugs examined in this study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between the late 1800s and the early 1900s. Although the manufacturer of the rugs cannot be confirmed, we concluded that the rugs were produced in Korea after referring to the documentation of the domestic production of pile cloth rugs during the aforementioned period and the form and placements of the patterns on the rugs.

첨모직은 표면에 짧은 파일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선시대 후기에는 첨모직 깔개를 지칭하는 용어로 채담이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에는 융전과 단통, 양탄자 등으로 불리었다. 조선 말기 이후의 여러 문헌이나 신문기사, 그리고 각종 사진자료를 통해 첨모직 깔개가 왕실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사용하였고 당시 국내에서 제작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 말기 이후의 첨모직 깔개 6점을 실물 조사하였는데 5점은 페르시아매듭의 컷파일이며 1점은 루프파일의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컷파일의 깔개는 크기가 가로 72~98 ${\times}$ 세로 150~156cm의 직사각형이며, 나비, 사슴, 호랑이, 그리고 십장생 등의 주 무늬를 중앙에 배치하고 卍자를 가장자리에 배치하였다. 컷파일의 소재는 지경사는 모두 면사이며 지위사는 3점은 면사, 1점은 모사, 그리고 1점은 면사와 비스코스레이온의 혼섬사이다. 지위사는 4점이 S꼬임의 실 여러 올을 합쳐 Z방향으로 합사한 실을 사용했다. 파일위사는 4~6가지의 색이 사용되었는데 홍색을 제외하고 모두 염색을 하지 않은 자연색 그대로의 모섬유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S나 Z꼬임의 모사를 2올 이상 합하여 반대방향으로 꼬임을 주었는데 굵기에 맞춰 올수를 합하였다. 깔개의 위아래 가장자리는 위사를 6올 이상 넣고 남은 지경사는 몇 올씩을 한데 묶어서 정리하였으며, 좌우 가장자리는 3올 이상의 면사를 가운데 놓고 수평으로 감아 마치 둥근 막대처럼 만들며, 가장자리에서 2~3번째 지경사를 징거서 튼튼하게 고정하였다. 루프파일은 경사방향으로 고리를 만든 경첨모직이며 지경사와 지위사는 면사, 파일경사는 모사로 추정된다. 소재의 성분 분석이 가능했던 깔개는 3점으로 파일위사는 판단이 불명한 것을 제외하고 염소와 비미종 양으로 판명되어 첨모직 깔개에 다양한 종류의 동물털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6점의 깔개는 180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된다. 깔개의 정확한 제작지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당시 국내에서 첨모직 깔개를 제작하고 있다는 문헌기록과 깔개의 문양의 조형성을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려사(高麗史), 卷三十八 世家 卷第三十八 恭愍王 2年 1月
  2. 동문선(東文選), 卷之二
  3. 삼국사기(三國史記), 卷第三十三 雜志 第二 器用
  4. 삼국유사(三國遺事), 卷第三 塔像第四
  5. 세종실록(世宗實錄) 55卷, 世宗 14年 2月 18日
  6. 승정원일기 477冊 숙종 39년 4월 13일
  7. 광해군일기 [中草本] 183卷, 光海 14年 11月 9日
  8. 일본서기 卷22, 推古天皇 7年 9月 1日
  9. 태조실록 총서
  10. 태종실록 31卷, 太宗 16年 5月 7日
  11.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2016, 조선철을 아시나요 (일본에 전래된 조선 카페트)
  12. 심연옥, 2016, 한국 자수박물관 소장 '毛毯房帳' 연구 조선철을 아시나요 (일본에 전래된 조선 카페트) 특별강연 자료집,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pp.49-50
  13. 국립고궁박물관, 2011, 하정웅 기증 순종 황제의 서북순행과 영친왕.왕비의 일생, pp.47, 50, 72
  14. 국립중앙박물관, 2008, 조선시대 초상화 II, pp.2-23
  15.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p.292
  16. 국립현대미술관.한미사진미술관, 2012, 대한제국 황실의 초상 1880-1989, pp.31, 191, 137
  17. 김순남, 2011, 16세기 조선과 野人 사이의 모피 교역의 전개, 한국사연구 (152), 한국사연구회, pp.71-108
  18. 김혜란, 2016, 우리나라의 깔개와 휘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 농림축산식품부, 2016, 15년 기타 가축통계 조사집계표(총괄) 2015年 其他家畜統計
  20. 문화재청, 2007, 한국의 초상화. 눌와, p.43
  21. 박순지.이춘계, 1994, 고대부터 고려까지 모피물에 관한 고찰 복식 22, 한국복식학회, pp.193-204
  22. 박윤미, 2000, 朝鮮後期 傳統 毛毯의 製織에 관한 硏究 아시아 民族造形學報 제1집, pp.141-153
  23.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한국고전용어사전
  24. 손용석, 2002, 양(羊)의 생태에 관하여 양의 생태와 민속, 국립민속박물관, pp.31-43
  25.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2007, 명품도록, pp.190-191
  26. 심연옥, 2002, 한국 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pp.54-59
  27. 심연옥, 2016, 한국 자수박물관 소장 '毛毯房帳' 연구 조선철을 아시나요 (일본에 전래된 조선 카페트) 특별강연 자료집, pp.45-51
  28. 오준석, 2005, 천연섬유와 모피 식별 아틀라스, 국립민속박물관
  29. 온양민속박물관, 1995, 退湖 李貞烈 遺物圖錄, p.91
  30. KOTITI, 2013, 카펫용 양모종 KOTITI Webzine 섬유소재 해설, 13(19)
  3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자료조사실, 1984, (國譯)韓國誌, 최선, 김병린 공역, 韓國精神文化硏究院
  32.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33. 위키피디아, en.wikipedia
  3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orean.go.kr
  35. 대한매일신보, 1904년 12월 7일 외보외국통신
  36. 동아일보, 1928년 1월 31일 기사
  37. 동아일보, 1938년 3월 20일 경제면 기사(뉴스)
  38. 동아일보, 1938년 3월 20일 경제면 기사(용어해설)
  39. 동아일보, 1940년 5월 6일 기사
  40. 황성신문, 1900년 12월 26일 광고
  41. 祇園祭染織硏究會, 1971, 祇園祭染織名品集 下, 京都: 藝艸堂, pp.71-73
  42. 祇園祭山鉾連合會, 2012, 祇園祭山鉾懸裝品調査報告書 渡來染織品の部 , 京都, pp.23, 25
  43. 公益財團法人 祇園祭山鉾車連合會, 2013, 京都近郊の祭禮幕調査報告書 渡來染織品の部, pp.15-16
  44. 吉田孝次郞, 1998, 京都祇園祭の染織美術 山.鉾は生きた美術館, 京都書院, pp.45, 121-123
  45. 婦人畵報社, 1934, 皇族畵報, 東京社, p.90
  46. 紫禁城出版社, 2010, 故宮藏毯圖典, p.32
  47. 竹之内一昭, 奥村章, 福永重治, 向久保健蔵, 実森康宏, ジョリー ジョンソン, 本出ますみ, 2015, 正倉院宝物特別調査 毛材質調査報告 正倉院紀要, pp.1-112